Ultrafast THz
Optoelectronics
Laboratory
Ultrafast THz
Optoelectronics
Laboratory
본 실험실은 THz(테라헤르츠)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물리,화학,생물,전자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및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THz 전자기파는 스펙트럼 분포상 마이크로파와 광파의 중간에 위치하며, 1THz는 파장으로 0.3mm, 에너지로는 4mV에 해당하는 극 적외선 영역입니다. 테라헤르츠 주파수 영역대의 신호는 개발하기 어려워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었지만, 최근 극초단 펄스레이저의 출현과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THz 전자기파의 발생이 가능해졌습니다.
본 실험실은 Ti:Sapphire 펨토초 펄스레이저와 3개의 THz system을 구비하고 있고, 이를 이용해 전 세계 연구자 상위 2% 전태인 교수님의 지도 하에 테라헤르츠를 응용 및 실용화를 할 수 있는 여러 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실험실 소개 영상]
[Recent Research]
1. S.-W. Cho, T.-I. Jeon, "High-sensitivity terahertz spectroscopy for enhanced resonance detection of microscopic and sub-milligram quantities of lactose powder", Opt. Express, 33(8), 17103-17120 (2025)
2. H.S. Bark, M.-W. Park, J.E. Bae, K.-H Jang, Y. U. Jeong, K. T. Lee, F. Rotermund, T.-I. Jeon, "Enhanced Terahertz Characterization of Multilayer Graphene on Guided-Mode Resonance Filter: Boosting Sensitivity and Precision in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Adv. Mat. Tech, 10(5), 2400603, (2024)
3. H.-S. Yang, M.-W. Park, K.-H. Kim, O.L. Li, T.-I. Jeon, J. Kang , "Facile in situ synthesis of dual-heteroatom-doped high-rate capability carbon anode for rechargeable seawater-batteries ", Carbon, 189 , p. 251 (2022)
4. H. S. Bark, M. –W. Park, I. H. Baek, K.-H. Jang, Y. U. Jeong, K. T. Lee, and T.-I. Jeon, “Broadband terahertz guided-mode resonance filter using cyclic olefin copolymer,” Optics Express, vol. 30, no. 5, pp. 7976-7986, Feb.(2021).
727, Taejong-ro, Yeongdo-gu, Busan, Republic of Korea
Tel : 051-410-4926, E-mail : jeon@kmo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