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스톤 디자인: 영상콘텐츠편집실습
캡스톤 디자인: 영상콘텐츠편집실습
지도 교수: 조상미
과목 개요: 이론영상언어/미학의 기초를 어도비 프리미어 편집툴의 기본 & 심화기법에 기반하여 영상제작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영상제작에 적용 및 실현하는것이 주요목적입니다.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 영상제작 미학에 대한 이해하고 자유롭게 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합니다. 실습 위주로 디지털 기술 및 소프트웨어 활용 기법들을 초보적인 수준에서 학습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의 의미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실제 인문예술 분야 학습과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곽선재(20196602, 디지털인문예술 전공)
회상
과거를 회상하는 한 남자, 그 남자는 어느 장소에서 과거를 회상하고 있을까요?
김예진(20182837, 경영학과)
도로시의 모험
허리케인에 휩쓸려 이상한 나라에 떨어진 도로시가 신비한 세계 속을 모험하다 앨리스를 만나 집으로 돌아옵니다.
김지윤(20182843, 심리학과)
비대면, 화면 뒤 모습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비대면으로 이루어졌던 수업이 점차 대면으로 바뀌고 있다. 비대면으로 수업을 제공하고 시청하는 교수님과 학생들의 화면 뒤 모습을 가벼운 웃음과 함께 볼 수 있도록 담아보았다.
김희경(20202945, 경영학과)
VLOG | 시험 끝나고 놀러 가기
춘천 김유정 문학촌을 방문하면서 하루 일상을 담은 브이로그
남서영(20195153, 콘텐츠 IT)
함께 떠날래요?
바쁜 일상으로 여행을 가지 못하는 분들에게 영상을 시청함으로써 함께 여행을 떠난듯한 자유로움과 편안함을 느끼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제작한 짧은 힐링 영상 "함께 떠날래요?" 입니다.
문예진(20207045, 디지털미디어콘텐츠 전공)
코로나블루
2020년 1월 국내 코로나 첫 확진자 발생 이 후 우리의 시간은 그날에 멈춰있다. 모두가 단절 된 상황 속에서 각자 삶의 방식을 찾아 살아가는 모습을 영상으로 제작했다.
박은환(20206616, AI로봇융합전공 )
내 방
정들었던 내 방의 물건들이 하나 둘씩 사라지며, 마지막에는 아무것도 없는 내 방의 모습으로 끝나며 공허함과 허전함을 보여준다.
백선영(20197153, 디지털인문예술 전공)
너의 시선으로
“반려견의 시선에서 바라본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성민조(20221046, 인문학부)
LOVE DIVE 뮤직비디오
나르시시즘의 내용이 바탕인 노래를 사용하여 뮤직비디오라는 영상 형식을 통해 ‘자신을 사랑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과 용기를 키우자’ 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한다. 또한 남들이 보고 원하는 자신이 아닌 자신 스스로가 개성있는 이미지를 만들자는 메시지를 담은 내용이다.
신혜수(20182119, 심리학과)
" What is your ________? "
"당신의 ____은 무엇입니까?" 라는 질문에 대해 영상으로 대답했습니다.
여러분의 ____은 무엇인가요?
안재혁(20182221, 사회학과)
과연 우리는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를 접하고 많은 시간 이용하는 요즘, 주어진 시간 안에서 과연 우리는 필요한 만큼 미디어를 시청하는지, 하루종일 유튜브를 시청하며 다른 일정을 소화 하면서도 미디어에서 손을 떼지 못하는 한 인물을 등장시켜, 우리의 미디어 생활을 반성해보고자 영상을 제작했다.
오승미(20191062, 국어국문학과)
대학일지
한 학기동안의 대학생들의 이야기를 이미 있는 소스 등을 이용하여 솔직하게
풀어내는 영상이다.
윤정미(20202998, 경영학과)
인 메모리
'나' 를 영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컨셉: 나 자신/포토영상
임찬영(20161086, 디지털미디어콘텐츠 전공)
코로나&전시동물의 구속 아이패드를 통해 자유를
코로나19로 마스크 속에 갇힌 우리, 삶이 통제당하고 4인 이상 집합 금지라는 방역법을 지키며 2년을 살아왔다. 2년도 길게 느껴졌지만, 평생을 우리에서 살아야하는 전시동물들은 언제 죽을지도 모르고 삶을 살아간다. 이런 상황을 아이패드를 통해 줌을 하며 4인 이상이라는 틀을 깨고 동물들을 사진과 영상, 그림을 그려줌으로 잠시나마 자유를 되찾아주는 위안을 삼자.
최민석(20182580, 디지털미디어콘텐츠 전공)
즐거운 마임축제
코로나가 사태가 완화 된 후 다시 시작하는 마임축제를 홍보하는 영상이다. 크게 아수라장, 공연, 도깨비 난장으로 나누어 영상을 제작했다.
최수빈(20181237, 영어영문학과)
Growing up is ____
어른이 되어도 어렸을 때 성장했을 때 처럼 쉬지않고 노력해서 더 나은 사람, 성장한 사람이 되겠다. 나는 성장을 멈추지 않겠다. '어른'이라는 단어로 나의 성장을 끝맺을 순 없다라는 의도를 담은 영상입니다.
성대규(20225176,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상상과 현실의 대학생활
우리가 상상하던 대학생활 하지만 코로나가 생겨난지 2년이 지나고 우리가 상상하던 학교생활은 사라지고있었다.영상 첫부분은 일어나서 학교를 가는 장면입니다.하지만 현실은 집에서 컴퓨터를 키며 온라인수업을 듣는 장면입니다. 두번째 장면은 시험공지가 나오고 대면시험으로 공지가올라오지만 학교를 처음가보는 장면이라길을 못찾는 상황을 나타냈습니다. 세번째 장면은 시험이 끝난후에 친구들에게 연락이와 신나게 놀고 또한 신나게 놀아 돈이 부족한 장면을 찍은 것이며 하지만 현실은 아무연락없이 놀러가지고 못하고 영상으로 대리만족을하며 돈은 쌓이기만 하는 장면입니다.
조민희(20222580, 미디어스쿨)
수원 화성 홍보영상
노래에 맞춰 수원 화성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소개하는 영상입니다.
이지연(20192573, 언론방송융합미디어 전공)
나와 너의 하루
매일 바쁘게 살아가는 대학생 '지연'은 어느날 집에와서 반려견 '뿌요'의 사진을 보다가 문득 내가 집에 없을때 뿌요의 일상은 어떤지 궁금해진다. 본격 '지연'과 '뿌요'의 일상 비교
김나연(20222504, 미디어스쿨)
수원 브이로그
친구와 함께 수원의 곳곳을 여행하는 브이로그 영상
오은재(20225195, 소프트웨어융합대학)
뮤지컬 Vlog
쉽게 접하지 못하는 뮤지컬을 보는 브이로그 영상으로, 뮤지컬 극장 내부와 뮤지컬의 내용, 등장인물 소개까지 설명하는 브이로그입니다. 저처럼 영화는 쉽게 접하지만 뮤지컬은 접하지 못했던 사람들을 위해서 이 주제를 선택했습니다.
김병헌(20222917, 금융재무학과)
톰의 최후
바다에 조난되어 표류하던 톰이 무인도에 도착했고, 그 무인도에서 배를 굶던중 제리를 만나 사냥을 시도하게 되고, 도망치는 제리를 쫒다보니 식인종마을에 도착하게 됩니다. 그후 톰은 식인종과 맞닥뜨리며 톰자신이 자신을 요리하게되는 최후를 맞이하는 내용의 영상입니다. 이영상은 여러장의 사진을 모아 모션캡쳐를 적극 활용하여 만든 영상입니다.
김서현(20207057, 광고홍보학과)
(G) I-DOL : TOMBOY 교차편집
수업 중 배운 기법을 교차편집에 적용하였습니다.
김마로(20216110, 의예과)
건강하게 살기
건강을 위협받는 대학생들에게 헬시라이프의 중요성과 방법을 알려주는 영상
이하정(20202634, 광고홍보학과)
스스로 칠해보는
이 작품은 그저 그렇게 단조롭게 흘러가는 일상 속에서 소소한 변화를 일상에 녹여내며, 단조롭던 일상을 다채로운 일상으로 만들자라는 메시지를 담은 작품입니다. 항상 똑같은 일상에 지치지 말고 소소한 변화를 주며 지루함에서 탈피하자는 바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차이슬(20192633, 광고홍보학과)
캣 아트워크
반려동물의 사진으로 아트워크 작업 후 모션 애니메이션을 제작습니다. 신비롭고 낯선 느낌의 아트워크 작품을 클로즈업한 상태에서 시작하여 궁금증을 일으키는 것을 의도했습니다.
최현지(20173049, 사회학과)
색감을 담는 시간
부드럽고 따뜻한 색감의 귀여운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담은 힐링 영상 .
지형우(20171233, 영어영문학과)
목적지에 도착했습니다
1인제작 단편 공포영화
버스를 놓친 주인공은 네비게이션을 통해 집적 도착지로 갈려하나
갈수록 이상하게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그리고 누군가의 인기척
결국 외딴데로 유인하는데 성공한 살인마를 만나게 되는데...
유혜준(20226626, 미래융합스쿨)
Swan
백조의 호수와 관련된 영상이다.
처음에는 미운오리 새끼가 강가를 거닐다가 백조의 호수와 관련된 동화책을 보고 “나 인가..?” 라는 표정으로 쳐다본다. 이윽고 사람으로 변신한 다음 노래에 맞춰 춤을 춘다.
Maidar Khuselbayar (20198021, 디지털미디어콘텐츠 전공)
캠퍼스의 벚꽃
캠퍼스의 벚꽃을 통해 모든게 새롭게 열린다는 의미를 담았다
장은서(20221090, 인문학부)
lookbook
평소 옷에 관심이 많아서 예전부터 찍어왔던 전신 사진 몇 장을 골라 모션을 이용하여 부분 부분을 보여주고 마지막에 옷 정보를 띄우며 간단하게 만들어 본 룩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