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을 중심으로 1년을 주기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빛의 속도 변화, 별의 위치 변화를 연구하여 지구의 공전을 알아냈다.
달의 변화은 달이 지구를 공전하면서 태양빛을 반사하는 모습이 달라지는 현상입니다. 달의 위상 변화는 초승달 → 상현달 → 보름달 → 하현달 → 그믐달의 순서로 반복됩니다.
태양이 뜰 때부터태양이 질 때 까지
태양이 지고 나서 부터 태양이 뜨기 전 까지
지구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매일 지구가 한 바퀴 도는 자전을 하여 태양이 보이는 시간과 볼 수 없는 시간이 생깁니다.
Q: 자전만하는데 어떻게 낮과 밤이 생기나요?
a:태양빛을 받는곳, 못받는곳도 있어서 입니다.
지구가 공전할 때, 바뀌는 계절별 별자리
사자자리, 머리털자리, 목동자리, 처녀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땅꾼자리, 헤라클래스자리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물고기자리
오리온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남십자자리가 보이지 않는 이유는 위도 차이 때문입니다.
남십자자리는 남반구에서 잘 보이는 별자리, 북반구에서는 지평선 아래에 있어 위도가 높을수록 가려져 보이지 않아서 한국처럼 북위 30~40도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거나 아주 낮게 떠서 보기가 어렵다.
파리자리
지구, 달과 관련된 현상
달과 태양의 중력으로 바다 물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현상.
지구의 자전과 달의 공전으로 물의 수위가 높아지거나 낮아진다. 바다 생태계, 어업 활동에 영향을 준다.
달의 중력은 바다 물의 수위를 높이면 물이 지구의 자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아서 지구의 자전 속도를 늦추고, 이로 인해 하루가 0.001초씩 길어지고 있어서 변화는 아주 천천히 일어납니다.
달이 지구 중심으로 공전할 때 달에는 지구를 끌어당기는 중력이 작용함. 만약에 달이 사라진다면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가 변하게 되어서 지구의 기후도 급격하게 변하게 됨. 자전축은 태양, 달의 중력으로 세차 운동을 한다.
현재 지구는 하루 한 번 24시간동안 자전합니다. 하지만 달이 지구에서 멀어진다면 느리게 회전하고 하루 길이는 길어지는 겁니다. 바다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물이 자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아서 자전 속도가 느려집니다. 현재 달은 지구에서 매년 약 3.8㎝ 씩 멀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