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생산 및 연료전지' 기술정책 세미나
2025.10.21.
이번 세미나는 충남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비R&D)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미래를 여는 청정에너지, 충남에서 시작하다!”라는 슬로건 아래 수소산업의 핵심 기술과 최신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주요 강연 내용으로는 △에너지경제연구원 강병욱 단장의 '글로벌 수소 동향 및 국내 수소 전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정호 박사의 '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 운영 전략과 경제성 분석' △한국자동차연구원 남찬혁 박사의 '전기동력 자동차 핵심 부품 효율 운전을 위한 통합 열관리 시스템 기술' △한국자동차연구원 이호성 박사의 '대형 수소 트럭 개조 실증 사례 연구' △에프씨아이 임희천 고문의 '모바일형 PEM 연료전지 개요' △단국대학교 주형국 교수의 '수전해 기반 가압 수소 생산 및 차세대 암모니아 합성기술' △충남테크노파크 윤여빈 박사의 '충남 수소산업 현황 및 지원 현황' 등이 소개됐다.
신진연구자 소개(2025년 8월호) 2025.08.01
대한화학회 화학세계, Vol.65, No.08 (2025), 60
소개글
주형국 교수는 수소 및 암모니아 기반의 무탄소 에너지 전환 기술을 연구하는 전기화학 촉매전극 계면 반응 및 시스템 분야의 전문가입니다. 특히 저온 및 고온 조건에서의 암모니아 합성·분해,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 연료전지, CO2전환 반응 등 다양한 전기화학 시스템에서 촉매·전극 설계부터 공정 최적화까지 폭넓고 실용적인 연구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단국대학교 E-Chem. ELFes 연구실은 수소와 암모니아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하며, 전기화학 반응 메커니즘 규명, 고성능 비귀금속 촉매 개발, 통합형 촉매전극 및 시스템 설계를 통해 지속가능한 수소·암모니아의 생산·저장·활용 기술을 선도하고자 합니다.
주요연구분야
• 전기화학(Electrochemistry)
• 암모니아 합성 및 분해(Ammonia Synthesis and Decomposition)
• PEM/AEM 수전해(PEM/AEM Water Electrolysis Systems)
충청남도 라이즈(RISE) 사업 선정!! "지역혁신 선도하는 초격차 대학으로 도약"
2025.06.03
우리 대학이 경기도·충청남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RISE) 사업에 선정돼 지·산·학·연을 넘어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초격차 대학으로 도약한다.
천안캠퍼스는 충청남도 라이즈 사업의 핵심과제이자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지역취업 보장 충남형 계약학과 운영’과 ‘기초지자체-대학 협약기반 자율형 지역 현안 해결’ 등 총 10개 프로젝트에 선정됐다.
천안캠퍼스는 ▶지역 취업 보장 충남형 계약학과 운영 ▶천안시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협력 프로젝트 ▶보령시와 연계한 수소 산업 활성화 등 지역 맞춤형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특히 계약학과는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우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과 기업이 계약을 맺고 학생 선발부터 교육과정 설계까지 협업하는 프로젝트다. 단국대는 지역 신성장동력산업인 차세대 디스플레이, 탄소중립 에너지, 바이오융합 부분의 계약학과를 신설해 인재를 양성한다는 목표다.
*단국대학교 수소에너지학과 대학원생 장학금 및 연구지원금 지원 !!!
출처 :
[DKU WEBZINE] https://webzine.dankook.ac.kr
[중부일보] https://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694358
[U's Line] https://www.usline.kr/news/articleView.html?idxno=29956
충남 수소산업 전문성 강화 재직자 교육 세미나 및 충남 수소산업 육성 세미나
2024. 12. 10. ~ 11.
탄소중립경제특별도 선포 기념, 수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수소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재직자 교육강화 동력 확보 필요
충남도 수소 및 에너지 정책방향 비전 제시
단국대, 충청도, 지역 산업체 간 협력을 통해 수소 산업 생태계 구축 및 일자리 창출
단국대와 협력하여 지역 맞춤형 재직자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수소산업 전문성 강화
‘충남 에너지 융복합단지 지정’을 위한 첫걸음이 시작됐다. 시는 10일부터 11일까지 베니키아 호텔에서 ‘충남 수소산업 육성 세미나’가 개최돼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충남도와 단국대학교가 공동주최한 이번 행사는 충남도가 추진하는 ‘2025 에너지 융복합 단지 지정’을 목표로 도내 수소산업 육성과 기관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출처 :
[Nate뉴] https://news.nate.com/view/20241211n29631
[충청신문] https://www.dailycc.net/news/articleView.html?idxno=817032
[서산시대] https://www.bj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111
당진시, 탄소중립 위한 에너지전환 포럼 개최
2024. 10. 15
당진시와 기후위기 대응‧에너지전환 지방정부협의회가 공동 주최하는 ‘탄소중립 에너지전환 포럼’이 컨벤션 설악에서 10월15일 열린다. 이번 포럼은 지방정부 차원에서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에너지 전환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주요 발표자들이 수소, 암모니아 등 신재생에너지원의 정책 및 기술 전망을 제시할 예정이다.
첫 번째 발표는 김재민 지역경제녹색얼라이언스 대표가 ‘자치단체 탄소중립 도시 추진 방향’을 주제로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어서 강영택 한국수소연합 정책지원실장이 ‘에너지전환(수소)을 통한 탄소중립 방안’에 대해, 주형국 단국대학교 수소에너지학과 교수는 ‘수소 및 암모니아 정책 및 기술 전망’을 발표한다
H2 MEET‘탄소중립과 수소연료전지’세미나 개최
2024. 09. 26.
- 한국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 주관 탄소중립과 수소연료전지 업계의 역할 및 과제 등 세미나 개최로 업계 협력 방안 모색 -
- 2세션 토론에서는 단국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주형국 교수가 좌장을 맡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소 손영준 박사, 한국그리드포밍 강지성 대표 등 전문가가 참석하여 토론을 진행.
76th Annual International Society of Electrochemistry (ISE) Meeting in German, Symposium Organizers
Symposium 3 Electrochemical and bioelectrochemical synthesis of small molecular products
Symposium Organizers: Carlo Santoro (Coordinator), University of Milano-Bicocca, Italy. Corina Andronescu, University Duisburg-Essen, Germany. Fatwa Abdi,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HyungKuk Ju, Dankook University, South Korea.
2025년 독일 Mainz에서 개최되는 ISE 국제 전기화학회 연간미팅의 심포지엄 주최자 중 한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단국의 미래와 혁신 이끈다’ 우수 선도학과 16개 학과 선정!!
2024. 09. 02.
선도학과에는 ▶[죽전캠퍼스](총10개 학과) △사학과 △법학과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경영학부 △융합반도체공학과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특수교육과 △도예과 ▶[천안캠퍼스](총6개 학과) △에너지공학과 △제약공학과 △의생명과학부 △문예창작과 △스포츠경영학과 △심리치료학과가 이름을 올렸다.
젊은 과학자 소개. 2024.08.15
공업화학전망, 제27권, 제4호, 2024
국립공주대 과학교육연구소 스타브릿지센터, '스타브릿지 캠프' 개최. 2024. 06. 17.
진로특강은 단국대 에너지공학과 주형국 교수가 초청 특강 진행.
출처 :
[VERITAS]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09247#google_vignette
[세종방송] http://www.sejongtv.kr/news/articleView.html?idxno=189100
[충남일보] https://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6203
도-단국대 제3차 수소산업 육성 세미나 개최…수소 및 암모니아 기술 소개. 2023. 09. 20.
주형국 단국대 에너지공학과 교수가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기술’, 조강희 인하대 화학공학과 교수가 ‘그린 암모니아 합성 기술’을 주제로 발표하는 등 수소분야 전문성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
출처 :
[충청도민일보] http://www.dominilbo.com
[대전일보] https://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7262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김기선) 지구·환경공학부 이재영 교수 연구팀은 전기에너지만으로 질소를 암모니아로 전환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해 탄소 배출이 없는 '그린 암모니아' 생산을 위한 새로운 공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미원상사신진과학자상: 공업화학 분야에서 학술적으로 크게 기여할 역량이 있는 만 40세 미만, 박사학위 수여 후 10년 이내 신진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
탄소 배출 없는 그린 암모니아 생산효율 높인 촉매전극 개발. 2021.11.29.
경북대는 이혜진 화학과 교수팀이 이재영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교수팀과 주형국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 박사와 공동연구를 통해 나노금속산화물촉매에 친수성 이온성 액체를 도입, 기존 촉매전극보다 촉매 반응 활성점이 우수한 탄소섬유 기반 촉매전극층을 개발.
출처 : https://www.etnews.com/20211129000136
CSIRO team optimistic about use of nitrogenase in applications such as green ammonia production for carrying H2. 2020.07.27
In a review paper published in the journal ChemSusChem, researchers from Australia’s CSIRO conclude that the combination of synthetic biology and materials chemistry will provide many viable options to allow the use of nitrogenase for energy applications, such as the production of green ammonia for use as a preferred liquid carrier for hydrogen.
출처 : https://www.greencarcongress.com/2020/07/20200727-rapso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