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주현 교수의 한국어 웹페이지 입니다. 

석박사 연구실 

현재 박사과정들의 연구:  

1) 홍통통 (국제 금융, 중국기업 데이타, 기업 레버리지)

"FDI and import competition and domestic firm's capital structure: Evidence from Chinese firm-level data,"Emerging Markets Review, forthcoming

2) 선종인(국제경영/무역, 한국기업데이타, 기업생산성, FDI) 


박사과정의 추가 연구 가능분야 

1) 서비스 무역 및 문화산업 국제화, 예 BTS 경제효과

2) 기업의 AI 도입과 digitalization 그리고 국제화

위 주제 및 국제무역과 금융 분야에 관심있는 석박사 지원자들의 대학원 진학을 환영합니다! 석박사 진학 관련 이메일로 언제든지 상담요청 가능합니다.

고려대 경영대학 대학원 진학 (https://graduate.korea.ac.kr/matriculate/koreans_n.html)


최근연구

논문소개: 한국의 월세와 전세계약: 신용위험과 자본비용 (제목번역), [2020년 한국경제학술상 수상]

방탄소년단(BTS) 이벤트의 경제적 효과: 2019 서울 파이널 공연

방탄소년단(BTS) 이벤트의 경제적 효과: 부산, 서울 5기 팬미팅을 중심으로


언론보도

[문화광장] 방탄소년단 서울·부산 팬미팅 경제효과 5천억 원 육박, KBS, 2019/7/25

편주현 고려대 교수 “6월 중 미 금리 인상 예상, 연말 2%될듯, MTN [더리더], 2017/06/13.

北核 실전배치땐 외국자본 발 뺄 우려… 한국경제 ‘시한폭탄’, 동아일보, 2016/10/18.

한은 대구ㆍ경북 기업 원화절하 영향 단기이익 그쳐", 연합인포맥스, 2016/05/27.

北리스크 고조로 언론·학계 관심 쏠렸는데… KDI ‘북한경제리뷰’ 배포 돌연..., 국민일보, 2016/03/01.

원화 약세, 장기적으로 수출기업에 독 될 수도,연합뉴스, 2015/08/27.

세계관광경제학회 최우수 논문상 수상, 한국대학신문, 2015/07/28.

경쟁저하가 소득불평등 유발한다…불평등 심할 수록 확장적 재정정책도 안먹혀, 매일경제, 2014/12/10.

KIEP 美 재정절벽 현실화하면 韓 성장률 1.1%P↓”, 연합뉴스, 2012/12/31.


연구보고서 & 논문

점진적 통일과정에서의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통합 방안,” (강문성, 김형주, 이만종, 이영훈, 이종화, 이홍식, 박순찬 공저) KIEP, 14-06, 2014.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가간 자금흐름 분석과 시사점,” (임태훈, 이동은 공저),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14-03, 2014.

남북한 경제통합의 혜택과 한반도 통일 국가의 역할,” (이종화, 강문성 공저), Asiatic Research Institute, Korea University, 2014.

금융통합이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 (이동은, 안지연, 강은정 공저),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13-07, 2013.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 거시금융 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이동은, 양다영 공저),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12-09, 2012.

환율변화에 따른 마크업(markup) 및 수출량 변화 분석,” (공저), 지역연구, 2016, 32(4), 19-38.

실질환율 충격이 대구·경북지역 제조업체 생산성 및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공저), 지역연구, 2016, 32(1), 27~49. 

북한의 핵 관련 리스크가 우리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 (공저, 허인, 카톨릭대학교), 동북아경제연구, 2014, 26(4), 175~196.

“War and Trade: The Determination of the War-provoking Probability,” International Economic Studies (국제경제연구), Vol. 13, No 2, 2007  (전쟁과 무역: 전쟁확률의 내생적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