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I am a Ph.D. candidate in Child and Family Studies (specializing in development) and Human Life & Innovation Design at Yonsei University, Rep. of Korea.
I earned a master's degree in Family and Gerontology Studies. During my time in the family and gerontology research lab, I developed a strong interest in researching family dynamics and applying a lifespan perspective to family studies. My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across the lifespan, with my master's thesis specifically addressing mid-life marital relationships. This work naturally led me to pursue a doctoral program.
Currently, I am interested in expanding my research to explore digital usage within parent-child relationships. I am particularl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role parents should play in the digital world that Generation Alpha, born and raised in the digital era, will grow up in. My research also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digital usage on family dynamics and the ideal attitudes or perspectives today's parents should adopt concerning both their own and their children's digital habits.
Additionally, I hope to explore how the development and adoption of digital devices will influenc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across the lifespan.
아동가족학과/인간생애와 혁신적디자인
박사과정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Human Life & Innovation Design, Development
Yonsei-ro 50, Samsung Hall 214
Seoul, South Korea
yslee0822@yonsei.ac.kr
#Chiid and Family Studies #Parent-child relationships
#Generation Alpha #Digital Parenting #Digital Literacy #Technology
#Digital Divide #Couple Relationships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Education
2024~2025
University of Oregon
Pre-Doc. Family and Human Services, Prevention Science
(Advisor: Dr. Jen Doty)
2022~ (expected)
Yonsei University
Ph.D.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Human Life & Innovation Design, Development)
(Advisor: Dr. Hyoun Kyoung Kim)
2019~2021
Yonsei University
M.S.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Human Life & Innovation Design, Family & Gerontology)
(Advisor: Dr. Hey Jung Jun & Dr. Hyoun Kyoung Kim)
2015~2019
Chonbuk University
B.A. Department of Child Studies
Certificates
건강가정사 (여성가족부)
보육교사 2급 (보건복지부)
해결중심전문상담사 3급 (해결중심치료학회)
컴퓨터활용능력 2급 (대한상공회의소)
MOS Master (Microsoft Office Specialist)
우쿨렐레지도사 3급 자격증 (교육과학기술허가법인 (사)한국방과후학교연합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국사편찬위원회)
Experiences
2019. 03 - 2021. 08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 라이프텍 휴먼라이프 연구센터 연구보조원
2019. 08 - 2020. 02 Scandinavian Institute of Policy Studies Administrative Staff (Research Staff)
2020. 01 - 2021. 01 해결중심치료학회 자격관리위원회 간사
2020. 03 - 2021. 08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가족 및 노년학 연구실 연구조교(R.A/ T.A)
2021. 07 - 2021. 09 건국대 건강고령사회연구원 ‘사회복지시설 심층조사’ 연구원
2021. 09 - 2022. 02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 라이프텍 &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SSK) 지원사업 석사급 연구보조원
2022.03 - present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 라이프텍 휴먼라이프 연구센터 연구보조원
2023. 07.10 - 07.21 영국 Nottingham Trent University- Summer Design School 수료
2024.03 - 2025. 03 University of Oregon,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Human Services (Pre-doc, courtesy faculty)
Awards & Scholarships
2019. 03 - 2021. 08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재학조교 장학 (연구조교)
2022. 05 한국노년학회 2022 전기 학술대회 우수 포스터논문상 (이예슬 외)
2022. 08 연세대학교 미래융합연구원 ICONS 장학생
2022. 09 - 2022. 12 연세대학교 대학원생 아이디어 인큐베이팅(IIF) 지원사업 장학
2022. 03 - 현재 연세대학교 BK 21 Human Life & Innovation Design 참여대학원생 장학
2022. 12 한국노년학회 2022 후기 학술대회 우수 포스터논문상 (주수산나 외)
2022. 12 한국노년학회 2022 후기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송시영 외)
2023. 1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2022-2 학술지원프로그램> 최우수
2023. 2. 연세대학교 고등교육혁신원 '사회혁신 연구성과 공모전' 우수상
2023. 6. Outstanding Poster Presentation Award - 12th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2023
2023. 9 - 2025. 8 인문사회 학술연구비 특별지원사업 지원자 선정 (학문후속세대)
2023. 11 연세 Junior 융합연구 그룹 (GENCONnect) 우수상
2024.01.10. 연세대학교 혁신 우수논문 - 장려상 (디지털 소통능력과 디지털 이용중재의 관계: 초등학생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2024. 01. 한국연구재단 BK21 사업 해외연수 장학생 선발
2024. 10. 한국인간발달학회 가정과삶의질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우수포스터논문상
2025. 03 한국아동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우수포스터논문상
2025. 08. 한국연구재단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지원사업 선정 (인문사회)
Journal papers
이예슬, 전혜정, 박하영, 주수산나. (2020). 노년기 배우자 관계 만족도와 자녀 관계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40(6), 1287-1305.
Choi, S., Kang, M., Lee, Y., Lee, S. A., Kim, H. K., & Lee, H. K. (2021). Interdisciplinary Service Design Approach to Promote Sustainable Solutions in Social Complexity: Case Study on Korean Elderly Residential Stability during COVID-19.Applied Sciences,11(24), 12009.
이예슬, 주수산나, 김현경, 박하영. (2021). 중년기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 태도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사노동 참여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 39(4), 31-47.
이예슬, 주수산나, 김현경. (2022).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42(2), 317-334.
김율리, 주수산나, 이예슬, 김현경. (2022). 노년기 부부의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감의 매개효과: APIMeM 모형을 활용하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60(3), 471-481.
구혜민, 이승은, 이예슬, 김현경. (2022).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을 통한 부모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3(4), 485-497.
이예슬, 주수산나, 김현경. (2022). 디지털 소통능력과 디지털 이용중재의 관계: 초등학생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3(4), 485-497.
이지원, 이예슬, 명재영, 이승은, 신현재. (2023). 지속가능한 캠퍼스를 위한 디자인 개입 제언-A 대학 미화원-대학원생의 쓰레기 문제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9(1), 297-310.
Joo, S., Lee, Y., & Kim, H. K. (2023). Characterizing different patterns of digital competenc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among older adults: findings from South Korea. Aging & Mental Health, 1-8.
김지원, 강지윤, 명재영, 신승원, 이예슬, 송주현, 신현재. (2024). 청소년 좌식행동 감소 및 운동 증진을 위한 또래 네트워크 기반 디자인주도 개입방안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31(1), 8-20.
Kim, H. K., Joo, S., Lee, Y., Sin, H. L., & Capaldi, D. C. (2025).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isk Factors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From 2012 to 2023. Partner Abuse, 16(1), 59–145. https://doi.org/10.1891/PA-2024-0040
Kwon, H., Baek, J., Seo, C., Lee, S., Lee, J., Lee, Y., ... & Lee, C. (2025). Optimizing Heart Rate Variability Detection: An Algorithm for Enhanced ECG and PPG Measurements.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1-14.
Lee, Y., Doty, J., Ma., X., & Waasdorp, T. E. (under review). The impact of parental mediation on adolescent communication skills: A multi-group analysis of technology interactions as a mediator across age groups.
Ma., X., McWhirter Biosen, M., Dillard, C., Lee, Y., Absalon, E., & Doty, J. (under review). Bridging Early Adolescents’ Online and In-Person Experiences: Qualitative Implications for Emotional and Relational Well-Being
Lee, J., Lee, Y., Oh, S. J., & Kim, H. K. (under review). Characterizing Digital Parenting: A Dyadic Study of Generation Alpha Children in Korea
이예슬, 이지혜, 이금선, 주수산나, 김현경. (under review). 분할함수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기 스마트폰 의존.
Conference presentations
(구두발표)
최수지, 이설아, 강미선, 이예슬, 김현경, 이현경. (2020. 06.). 노인의 거주안정감 증진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연구: ‘작은 일상’ [구두 발표]. 2020 한국디자인학회 봄 국제학술대회. 2020. 6. 27. 온라인.
강미선, 이예슬, 김율리, 손치현, 김현경, 백준상. (2021. 01.). 포스트 코로나 19 상황의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지원 연구: 디지털 큐레이션 캘린더 [구두 발표]. 2021 The HCI Society of Korea 학술대회. 2021. 1. 27–29. 온라인.
송시영, 주수산나, 이예슬, 강미선, 김현경. (2022. 11.).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온·오프라인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구두 발표]. 2022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2. 11. 온라인.
이예슬, 허윤성, 이지원, 이민지, 김현경. (2022. 12.). 알파세대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자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구두 발표]. 2022년 SSK 네트워킹 합동 심포지엄 차세대 사회과학자 학술대회. 2022. 12. 온라인.
허윤성, 이예슬. (2022. 12.). 알파세대 아동의 온라인 친구관계가 오프라인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긍정적 디지털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구두 발표]. 2022년 SSK 네트워킹 합동 심포지엄 차세대 사회과학자 학술대회. 2022. 12. 온라인.
Lee, J., Lee, Y., Oh, S. J., & Kim, H. K. (2024, June 16-20). Parenting for the digital future: A dyad-centered approach for understanding digital parenting and Generation Alpha children’s problem behaviors [Paper Symposium]. 27th Bienni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ural Development (ISSBD), Lisbon, Portugal.
Lee, Y., Kim, D., Yorke, C., & Kim, H. K. (2024, June 16-20). The role of digital parenting among children with dysregulated anger: A moderated mediation model [Paper Symposium]. 27th Bienni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ural Development (ISSBD), Lisbon, Portugal.
Kim, H. K., Joo, S., Lee, Y., Lee, J., & Lee, K. S. (2024, November 20-23). Multimodal approaches to stress in children [Paper Symposium]. 2024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NCFR) Annual Conference, Seattle, USA.
Lee, Y., Doty, J., Ma., X., & Waasdorp, T. E. (2025, November 19-22). Profiles of Digital Parenting Styl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yberbullying among Early Adolescents [Paper Symposium]. 2025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NCFR) Annual Conference, Baltimore, USA.
(포스터 발표)
이예슬, 김현경, 주수산나. (2021. 11.).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포스터 발표]. 한국노년학회 후기 학술대회. 2021. 11. 26. 온라인.
이예슬, 김현경, 주수산나. (2022. 04.).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가족의 디지털 소통능력 유형과 디지털 이용제한 [포스터 발표]. 2022 춘계연합학술대회(한국아동학회). 2022. 4. 29.–5. 5. 온라인.
구혜민, 이승은, 이예슬, 김현경. (2022. 04.).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을 통한 부모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 [포스터 발표]. 2022 춘계연합학술대회(한국아동학회). 2022. 4. 29.–5. 5. 온라인.
이예슬, 조은호, 강미선, 이승은, 김현경. (2022. 05.). 온·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이 세대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집단의 조절효과 [포스터 발표]. 한국노년학회 전기 학술대회. 2022. 5. 20. 서울특별시 이룸센터.
김율리, 주수산나, 이예슬, 김현경. (2022. 05.). 노년기 부부의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감의 매개효과: APIMeM 모형을 활용하여 [포스터 발표]. 2022 춘계공동학술대회(대한가정학회). 2022. 5. 28. 온라인.
주수산나, 이예슬, 김현경. (2022. 11.). 노인의 디지털 시민성 유형에 따른 외로움 및 온·오프라인 사회적 관계 [포스터 발표]. 한국노년학회 후기 학술대회. 2022. 12. 2. 서울시여성가족재단.
Lee, Y., Kang, M., Joo, S., & Kim, H. K. (2022. November 2–6). How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through online communication: A moderated mediation model [Poster presentation].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Indianapolis, Indiana, USA.
Song, S. Y., Oh, S. J., Lee, J., Lee, Y., Joo, S., & Kim, H. K. (2023. March 23–25).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on online-formed peer relationships in Generation Alpha: Findings from ADDS project [Poster presentation].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RCD) 2023 Biennial Meeting, Salt Lake City, Utah, USA.
Choi, C., Park, M. Y., Lee, Y., & Kim, H. K. (2023. April 13–15). The effects of school experiences on status offense through criminogenic knowledge structure among Korean youth [Poster presentation].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nce (SRA) 2023 Annual Meeting, San Diego, California, USA.
Lee, Y., Song, S. Y., Kang, M., Joo, S., & Kim, H. K. (2023. June 12–15). How age affects loneliness through digital communication skills [Poster presentation].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2023, Yokohama, Japan.
Song, S. Y., Kang, M., Lee, Y., Lee, H. J., & Kim, H. K. (2023. June 12–15). Effects of digital literacy on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Mediation role of digital citizenship [Poster presentation].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2023, Yokohama, Japan.
Lee, Y., Song, S. Y., Joo, S., & Kim, H. K. (2023. November 8–12). How can we solve the loneliness problems with intergenerational digital divide? [Poster presentation].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3 Annual Scientific Meeting, Tampa, Florida, USA.
Lee, Y., Joo, S., Lee, J., & Kim, H. K. (2024. April 18–20). Dealing with anxiety first: The role of anxiety in the association between coping strategy and daily stress among Generation Alpha in South Korea [Poster presentation].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nce (SRA) 2024 Annual Meeting, Chicago, Illinois, USA.
정윤교, 이예슬, 김현경. (2024. 04.). 알파 세대 초등학생의 ADHD 증상이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조절효과 [포스터 발표]. 2024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2024. 4. 27. 상명대학교.
Lee, Y., Joo, S., & Kim, H. K. (2024, June 16-20). Effects of gender-specific interaction patterns of anxiety and coping types on daily stress among children in Korea [Poster presentation].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ural Development (ISSBD) 2024 27th Biennial Meeting, Lisbon, Portugal.
Lee, J., Joo, S., Lee, Y., & Kim, H. K. (2024, June). Daily negative events and stress: Gendered moderating role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leep efficiency [Poster presentation].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ural Development (ISSBD) 2024 27th Biennial Meeting, Lisbon, Portugal.
이예슬, 이지원, 김현경. (2024. 10.). 알파세대 아동 디지털 양육 프로파일: 부모 디지털 역량의 역할 [포스터 발표]. 2024 한국인간발달학회 추계학술대회, 2024. 10. 25. 서울특별시 숙명여자대학교.
이지혜, 주수산나, 이예슬, 김현경. (2024. 11). 알파세대 초등남아의 디지털 문제행동과 수면시간의 관계에서 일상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포스터 발표]. 2024년 한국발달심리학회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2024. 11. 2. 서울특별시 연세대학교.
서창훈, 권혁현, 백지영, 이상록, 이지혜, 이예슬, 주수산나, 김현경, 이창민. (2024. 11.). PPG에서 ECG를 복원하기 위한 딥러닝 기반 생성모델 [포스터 발표]. 2024년 대한전자공학회 추계학술대회, 2024. 11. 22-23, 강원도 하이원리조트 컨벤션타워.
Lee, Y., Lee, J. H., Lee, K. S., Joo, S., & Kim, H. K. (2025. May 1–3). Characterizing the diverse trajectories of smartphone dependency in Korean adolescents [Poster presentation].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RCD) 2025 Biennial Meeting, Minneapolis, Minnesota, USA.
Lee, Y., Doty, J., Ma, X., & Waasdorp, T. (2025. May 1–3). Beyond screens: Media parenting, adolescent technology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challenges [Poster presentation].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RCD) 2025 Biennial Meeting, Minneapolis, Minnesota, USA.
정윤교, 이예슬, 김현경. (2025. 04.). 알파세대 초등학생의 억제 곤란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 중고강도 신체활동과 성별의 조절된 조절효과 [포스터 발표]. 2025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2025. 4. 26. 서울, 대한민국.
이예슬, 주수산나, 한단비, 김현경. (2025. 05.). 가족응집성과 가족유연성이 초등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부모-자녀 공동활동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2025 한국인간발달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2025. 5. 31. 서울특별시 서울대학교.
Projects
2021. 09 -현재
BK21 FOUR 공감, 공존, 공생하는 사회를 위한 혁신적 디자인 교육연구단(참여대학원생)
2021. 09 - 현재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위한 혁신: 알파 세대의 디지털 일상 ADDS (Alpha Generation Digital Daily Survey) 종단 데이터 구축(석사후연구원/연구보조원)
2021. 01 - 현재
지역사회 통합과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청년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구보조원)
2022. 07 - 2023. 12
인천광역시 교육청 학생성장 종단연구
(연구보조원)
2023.02 - 2023.08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데이터 기반 아동 스트레스 케어 디지털 플랫폼 및 기기 개발
(연구보조원)
2022. 04- 2023. 03
디지털 디바이스 기반 알파 세대의 일상 및 신경인지기능 데이터 구축
(연구보조원)
2022. 11- 2023. 12
스트레스 관련 아동 대상 표준 DB 설계 (연구보조원)
2020. 07 - 2021. 08
노인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시스템 개발 연구(학생 연구보조원)
2019. 03 - 2021. 08
한국 도시농촌지역 어르신 연구 Korean Urban Rural Elderly Study(K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