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전공
학사과정 안내
학사과정 안내
목차
(시설 이용 안내는 링크 를 참고바랍니다.)
한국어교육전공은 모어가 한국어가 아닌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교육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전공입니다.
교육과정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데 요구되는 이론적·실제적 지식과 관련된 강의로 구성됩니다.
졸업 후 조건을 갖춘 졸업생은 국적에 관계 없이 <한국어교원자격증> 2급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일정과 제출 서류는 매 학기 바뀔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서강대학교 대학원 입학전형 홈페이지를 참고바랍니다.
석사과정은 24학점, 박사과정은 36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모든 학생은 한 학기에 최대 4과목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필수 6학점은 다음 과목 중 2과목을 선택합니다.
「한국 문화교육 연구, 한국어 교재개발 연구, 한국어 말하기듣기교육 연구, 한국어 문법교육 연구, 한국어 쓰기교육 연구,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선택 학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석사과정(18학점): <한국어교육자격증> 취득을 희망하는 학생은 영역별 필수 이수 학점(18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한국어교육자격증> 취득을 희망하지 않는 학생은 한국어교육전공 5과목(15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논문 작성/ 프로젝트 완료를 위해 1학기 3과목, 2학기 3과목, 3학기 2과목 수강을 권장합니다.)
박사과정(30학점): <한국어교육자격증> 취득을 희망하는 학생은 영역별 필수 이수 학점(18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한국어교육자격증> 취득을 희망하지 않는 학생은 한국어교육전공 5과목(15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더하여, 「한국학 전문 세미나」 12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최소 글로벌한국학과의 9과목(27학점) 이수)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영역별 필수 이수 학점'은 아래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 안내를 참고바랍니다.
① 종합시험
응시 시기: 석사, 박사과정 학생은 입학 후 6학기 이내, 석박통합과정 학생은 입학 후 10학기 이내
시험 시행: 매년 3월 말, 9월 말
시험 과목: 학과 내규에서 지정한 과목(석사과정 2과목, 박사과정 3과목)
평가 방식: 필기 또는 구술시험 (과목당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합격)
재응시: 과목당 최대 2회까지 허용
응시 방법
종합시험 신청 기간에 시험 응시를 희망하는 과목의 교수님께 연락드립니다.
교수님과의 상담을 통해 시험 일시, 장소, 시험 방식을 전달받습니다.
(시험 방식은 교수님이 결정합니다. 필기 시험일수도, 구술 시험일 수도 있습니다)
학과 조교장에게 연락하여, 시험 일시, 장소, 시험 방식을 말합니다.
시험을 응시합니다.
② 외국어시험
한국인: 영어시험 응시 필수(TOEIC 730 / TOEFL 79 / New TEPS 327 / IELTS 6.0 이상 면제 가능)
국제 학생: 영어 또는 한국어 중 1개 선택
면제 기준: 다음 중 하나를 충족하면 외국어시험 면제
TOPIK 5급 이상 취득 (2024.03.01 개정 기준)
본교 한국어교육원 4급 이상 수료증 제출
입학 시 면제 기준 이상의 성적을 제출한 경우, 재학 중 별도 제출은 불필요합니다.
외국어 시험은 외국어 시험 신청 기간에 어학성적표를 대학원 행정팀에 제출하여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③ 연구방법론 과목
학위논문을 제출하려는 학생은 다음의 연구방법론 관련 과목 중 하나 이상을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KOS6205 응용사회학 연구방법론 / KOS6403 고급한국학세미나: 양적 연구 방법 / KOS6313 에듀테크와 한국어 교육
④ 연구윤리교육
논문 제출 전까지 연구윤리강좌를 수료하거나, 본교에서 개설하는 연구윤리 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⑤ 학술지 논문 게재 실적(박사과정)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하기 전까지, 해당 학과 대학원 운영위원회에서 인정하는 학술지에 논문 1편 이상을 게재한 실적이 있어야 합니다.
석사과정생은 아래 둘 중 하나의 조건을 충족한다면 논문을 제출하지 않고 졸업이 가능합니다.
가. KCI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지에 논문 게재(주저자 혹은 교신저자)
나. 9학점 추가 이수 후 학술보고서 제출
단, 학점 이수 계획서를 미리 지도교수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추가 학점 이수를 완료하고 학술보고서를 제출하여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심사위원회 심의)
졸업 후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중 정해진 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해 수강해야 하는 과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어교육전공을 졸업하고,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신청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대학원 과정의 졸업 요건을 표로 제시합니다.
자세한 장학금 규정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장학 게시판을 참고바랍니다.
아래 언어 능력을 갖춘 국제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합니다. 수업료 감면 방식입니다.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은 입학 후 4학기, 석박통합은 입학 후 8학기까지 지급합니다.
기타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글로벌한국학과 이메일(gkssg@sogang.ac.kr)로 연락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