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u's LAB
Human Disease Network Laboratory
What we do
우리 연구실은 다양한 대사 질환과 경조직 질환 간의 상호 유기적인 연관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환자 및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경조직-연조직 또는 경조직 질환-대사질환 간의 네트워크 분석 및 새로운 조절인자 발굴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연구업적으로 콜레스테롤 대사이상이 퇴행성관절염의 원인임을 최초로 밝혀 세계적인 학술지인 Nature에 발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성과를 높이 인정받아 ‘2020년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100선’에서 생명/해양 분야 최우수성과에 꼽혔습니다. 그리고 뼈 항상성 조절에 관여하는 핵심 유전자 HIF2α의 분자적 조절 기전 및 골다공증 치료 가능성 규명, 치주염과 비만의 연관성에 관한 NAMPT의 치주염 조절기전 연구를 통해 우수한 저널에 게재하는 등의 업적을 도출하였습니다.
우리의 최종목표는 경조직 질환의 발병기전에 대한 새로운 조절 경로와 제어 기술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경조직 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Our laboratory is conducting research on network analysis between hard tissue-soft tissue or hard tissue disease-metabolic disease and discovering new regulators using patient and animal models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mutual organic association between various metabolic diseases and hard tissue diseases. As a representative research achievement, it was first discovery that abnormality in cholesterol metabolism is the cause of degenerative arthritis, and it was published in Nature, a world-class academic journal. In addition, achievements such as the molecular regulatory mechanism of HIF2α, a key gen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bone homeostasis, and the possibility treatment of osteoporosis was identified, and NAMPT's periodontitis regulation mechanism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itis and obesity was published in excellent journals.
Our ultimate goal is to develop new regulatory pathways and control technologies for the pathogenesis of hard tissue diseases, as well as contribute to establish a new paradigm for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hard tissue diseases.
Research interests
• 경조직 질환 발병기전연구
1. Osteoarthritis (OA)
연골퇴행 및 퇴행성관절염 제어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세포수준 및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분자적 기전을 규명하고, 관절염 제어 기능 인자들의 실질적인 관절염 치료/진단 효능 검증
2. Periodontitis (PD)
치주조직에서 분리한 치주세포를 이용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이나 치주염의 대표적인 원인물질인 LPS를 처리하였을 때, 치주세포 내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를 발굴하고 치주염 발병에 있어서 발굴한 유전자들에 의한 치주염 조절 기전 연구
3. Osteoporosis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분화 및 활성에서 뼈 항상성 유지의 분자적 조절 기전을 밝히고 만성 골대사질환인 골다공증의 새로운 치료약물로서의 가능성 확인
• 경조직 질환 네트워크 규명 연구
1. 대사이상
- 비만, 고혈압과 같은 대사증후군과 치주염 및 골 관절염 링크 유전자 발굴 및 제어물질 탐색
- 호르몬 조절을 통한 경조직 질환 조절 기전 규명
2. 일주기리듬교란
- 노화/염증으로 인한 생체리듬 교란과 같은 체내 생리활성 변화와 치주질환/관절염의 연관성 및 신규조절자 탐색
3. Microbiome
- 무릎관절 내 핵심 미생물을 탐색 및 병인 기전 분석 및 제어기전 규명
전남대학교 정문을 지나 용봉탑에서 우회전 합니다. 그 후 테니스 장과 용지 사이길로 들어오시면, 용지 앞에 치의학전문대학원 2호관 건물이 보입니다.
실험실은 치의학전문대학원 2호관 320호 입니다.
실험실 번호 : 062- 530- 4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