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알츠하이머병 타겟 고속 약물 스크리닝 기술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원인인 아밀로이드 베타를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약물 고속 스크리닝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더욱 나아가 헌팅턴병, 프라이 질환 등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범위를 점점 확장하여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타우 올리고머에 의한 알츠하이머병 타겟 약물 스크리닝 기술
알츠하이머병의 주원인 중 하나인 타우 올리고머의 약물로 인한 분해를 관찰하고자, 금나노입자와의 합성을 통해 타우-금나노입자 응집체를 합성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아밀로이드 베타이외에도 알츠하이머병에 영향을 주는 다른 인자들에 관해서도 퇴행성 뇌질환 약물의 반응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고효율성 저농도 시간차 다중약물전달시스템
뼈의 구성 성분인 collagen과 hydroxyapatite로 제작한 스캐폴드에 골재생 치료 약물들이 포함된 생분해성 입자를 탑재하여 해당 약물들이 시간차를 두고 방출되도록 조정한 " 고효율성 저농도 시간차다중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파골세포막 코팅나노입자 개발
체내에서 오래된 뼈를 제거하는 파골세포 (osteoclast)는 국소환경에 세포외소포체 (extracellular vesicle)를 분비하여 새로운 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 (osteoblast)의 분화와 활성을 촉진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파골세포의 세포막을 추출하여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이 높은 나노입자에 코팅하여 골 재생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치료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노화 센서 개발
실제 생물학적 나이는 개인마다 편차가 있어 노화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분자각인 고분자 기법을 사용하여 노화 관련 바이오마커를 다중 검지할 수 있는 생물학적 나이 센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콜레라 독소 센서 개발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의 독소로 인해 콜레라에 감염된다면 간단하고 빠른 검지가 필요합니다. 독소가 장을 통해 침투하는 매커니즘을 생체 모방하여 우리 몸에 존재하는 독소를 빠르고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였습니다.
황색포도상구균 독소 센서 개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뇌수막염, 균혈증,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빠르고 정확한 현장진단(Point of Care)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세균에서 분비된 용혈소(알파-헤모라이신)이 적혈구에 결합하는 방식을 모방하여 우리 몸에 존재하는 독소를 빠르고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였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 개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CoV), 중동호흡기증후군(MERS-Cov),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SARS-CoV-2) 등 전 세계에 대유행을 가져온 코로나 바이러스는 언제든지 새로운 모습으로 인류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바이러스 센트럴도그마의 핵심 단백질인 Mpro를 타겟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을 개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