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의 略字制定

韓国의 制定略字를 整理하고 体系化하는 모든 作業은 牽龜@muenchner_氏의 労苦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 자리를 빌려 깊은 謝意를 伝하고 싶습니다.

※作成中입니다.

大韓民国의 漢字政策의 槪要

韓国은 自古로 悠久한 漢字文明圈의 一員으로서 漢字를 使用한 歷史는 中華 버금으로 長久하지 않을까 싶다. 故로 에서는 自然히 來로 多樣한 略字를 使用해왔는데, 近來에 들어 漢字 來의 누습으로 置簿하는 탓에 忽視되고 있는 韓国式 略字를 集大成하여 整理하는 것은 오래도록 筆者의 바람이었다. 그러나略字의 는 至極히 방대고 資料는 到処에 散在해 있는 故로人으로서는 力量未達이기에 全部를 헤아리는 것은 可当치도 않았다. 그런 渦中에 国內에서 公式的으로 略字를 制定하려는 試図가 数次例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筆者는 이를 「韓国의 制定略字」라고 称한다.

文敎部「漢字略字試案」542字(1967年11月)

文敎部 所属 国語審議会 漢文分科委員会(当時 委員長:趙容郁)는 1967年 11月10日에 文敎部 制定 常用漢字 1,300字 가운데 542字의 略字試案을 마련하여 国語審議会에 提出했다. 이 은 「漢字略字試案」(漢文略字試案이라고도)이라는 名称으로 報道되었으나 便宜上 「文敎部略字」라고 称하겠다. 同年 11月20日字 『연세춘추』의 論評에 따르면, 이 가운데 日本式 新字体와 同一한 것이 57字, 中共式 簡化字와 同一한 것이 33字, 樣式을 절충하여 制定한 것이 43字이다. 一部 사소한 字形差異를 無視한다면 中日 兩国의 標準字形과 一致하는 文敎部略字의 数는 더 많아질 것이다.

文敎部略字의 制定이 어떠한 緣由로 着手된 作業인가 하는 것은, 文敎部 自体가 이미 統되어 사라진 政府部이기도 하고, 또 워낙에 오래된 일이기 때문에 関聠 一次資料에 対한 接近이 容易하지 않은 탓에 追跡이 어렵다. 이곳에는 当時의 新聞記事를 通해 報道된 間接資料에 依한 바를(主로 朝鮮日報를 基準으로)記述하겠다.

漢文分科委는 同年 2月23日京鄕新聞에서는 2月27日로 報道에 略字制定에 着手했다. 1968学年度 敎科書에 于先 適用하는 것이 一次的인 目標였다. 略字制定에는 李家源 延世大 敎授를 包含한 7人委員長:趙容郁;委員:閔泰植, 李家源, 車相轅, 車柱環, 金敬琢, 金能根)이 核心的으로 関与했다. 常用漢字(当時 1,300字)에서 劃가 많은 字를 主로 고치고, 中日의 事例를 參考하면서 正字의 音·形·義 等에 따라 採択함과 同時에 草書와 行書의 簡便한 書法을 採択한다는 原則下에 9個月만에 542字를 選定하였다고 한다. 略字試案 完成 열린 国語審議会는 28人으로 構成되었는데, 李熙昇博士가 議長, 崔鉉培氏가 副委員長으로 選出되었다. 同年同月 11일부터 各自 該当 試案을 審議하여 11月21日 午後2時에 字別 合意를 모아 通過시킬 予定이었다. 그 後에는 言論界와 学会의 人事를 招致하여 翌年에 確定을 볼 計劃이었다.

그러나 崔鉉培 副委員長뿐만 아니라 의 人, 民間新聞社는 곧바로 날카롭게 반발하였다. 「漢字略字는 漢字敎育의 二重負担」「無理한 部分은 再検討해야」「国籍 없는 略字」 外 多樣한 批判이 있었다. 한글学会는 着手 初期부터 「略字制定이 한글專用法의 立法精神에 어긋난다」며 強硬한 反対 立場을 表明해왔다. 文敎部略字에는 該当 略字가 使用된 実例는 있으나 자주 쓰이지 않아 生疏한 字形이 많았고, 実際로 使用된 例가 없음에도 作爲的으로 改変이 加해져 만들어진 것도 있었기에 거센 否定的 輿論은 当然한 処事였다. 結局 21日에 열린 첫 모임에서 圧倒的인 反対意見으로 該当 試案을 철회했다.

『東亞日報』 1967年11月11日字 報道

『연세춘추』에 실린 否定的 見解

『朝鮮日報』 1967年11月22日字 記事

文敎部「漢字略字制定案」215字198字(1967年12月)

542字의 漢字略字試案이 輿論의 反対에 白紙化되자 文敎部는 漢文分科委에 위촉하여 通用되는 慣用略字 215字를 추려 新略字制定案을 마련하고 同年 12月21日 国語審議会에 上程했다. 同日 午後에 進行된 審議에서 6字의 字体를 고치는 한편 字劃이 比較的 적은 17字(氣, 歷, 曆, 面, 無, 密, 收, 樹, 隨, 飛, 時, 際, 祭, 察, 鄕, 響, 惠)는 正字로 고치고 198字만을 制定하기로 意見을 모았다. 이 亦是 李家源 延世大 敎授를 包含한 7人(構成人員이 前과 같은지는 不明)이 民間에서 通用되는 略字만을 수집하여 한 달만에 마련한 것이다. 大衆性 있는 略字를 爲主로 制定한 것이다 보니, 一部 한글專用論者를 除外하면 参席者 21人 가운데 거의 大部分이 贊同하여 逐字審議를 主張하였고, 調律을 거쳐 上記의 修整事項이 나오게 된 것이다. 그러나 審議途中 略字制定에 反対한 6人東亜日報에서는 4人으로 報道)이 突然 退場하는 바람에 成員未達로 正式으로 採択与否를 決定짓지 못한채 散会했다.

1967年 年內에 合議를 보아 198字案을 採択할 計劃이었으나 実現되지 못한 듯하다. 그러다가 1968年 3月30日, 文敎部는 朴正熙 政府의 한글專用化 5個年計劃이 具体化됨에 따라 漢字略字案을 廃棄하기로 決定하였다. 그렇게 67年 3月부터 着手하여 1年間 進行된 略字制定의 試図는 끝내 実現되지 못한채 歷史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東亜日報』 1967年1222 報道

朝鮮日報』 1967年12月22日 報道

韓国語文会新聞用略字試案」181字(1981年)

1980年代에 갑자기 浮上한 韓国語文敎育硏究会(以下, 語文会의 標準略字 制定의 動態는 新聞紙面上에서 漢字의 分別을 더 容易케 하자는 데서, 또 紙面에서는 正字를, 筆記에서는 略字를 使用하는 兩層化된 文語習慣을 解消하고자 提言된 것이기도 하다. 以前 文敎部의 事例와는 対照的으로 모든 過程이 신속하게 経過되었다. 韓国語文会刊 『語文硏究』9卷2号(1981年10月)에는 異例的으로 略字制定에 関한 記事가 많으며, 1981年11月에는 新聞社에 181字의 略字使用을 勧告하기에 이른다. 이 모든 一連의 論議의 始発点은同年 4月16日字 朝鮮日報 学藝欄에 揭載된 徐康和 校閱部長(当時 韓国語文会 理事)의 記事 「略字시대로 가자」였다. 이는 勿論 当時 朝鮮日報이 略字制定을 通한 紙面刷新에 協助的이었던 까닭에 兩者間의 調律이 円滑했던 것도 있었다.

同年 5月14日 韓国語文会 定期総会에서 위촉된 4人의 小委員(朴魯春, 徐康和, 成元慶, 金斗燦)이 略字問題를 担当하였다. 4月16日字 朝鮮日報에 일찍이 173字의 徐康和 略字試案이 揭載되었는데, 5月23日 朝鮮日報社 校閱部長室에서 열린 第1次 審議에서 該当 試案을 土臺로 論議를 発展시켜 나가기로 決定했다. 또 同日 審議에서 1967年 11月 文敎部略字의 失敗要因을 分析하고 略字選定의 方向性을 論議하였으며, 外에도 多樣한 意見이 나왔으나 筆者가 注目한 것은 中共과 日本의 先例대로 于先 적은 字数의 略字案을 내놓고 逐次的으로 補完하자는 意見, 中共과의 마찰을 避하기 위해 中共 簡化字는 対象에서 除外하자는 意見, 敎育用 基礎漢字(1,800字)를 略字制定의 基盤으로 삼자는 論議  等이다. 5月31日의 第2次 審議後 朴魯春 委員은 理事會에 旣決定 124字, 未定 37字, 未審査 240字의 「基礎漢字(1,800字) 略体 試案(발초)」를 配布했다.

第2次 審議後 理事會에 配布된 油印物 中 旣決定 124字. 未定 37字, 未審査 240字는 活字化되지 못했다.

第3次 審議에서는 1,800字의 敎育用 基礎漢字 바탕에서 2,000字의 新聞漢字로 基準을 再次 틀게 되었고, 六大新聞(東亜日報, 每日経済新聞, 朝鮮日報, 中央日報, 韓国経済新聞, 韓国日報)과 放送에서의 略字活用 実態를 調査했고, 第4次 審議에서는 新聞漢字를 中心으로 「修正 略字試案」을 내놓았다. 그 目錄은 下記과 같다.

第4次 審議에서 나온 「修正 略字試案」

第5次 審議後 設問을 돌렸고 그 回信을 参考하여 第6次 審議에서 略字의 取捨選択을 敢行했다. 例示는 複雑하므로 省略한다. 「新聞用 略字」의 理事会 最終 通過分은 字種 89字와 그로부터 派生된 系列字 92字를 合친 計181字이다. 이는『語文硏究』 30号에 公開되었으며 韓国語文会는 言論機関과 印刷業所에서 該当 略字試案을 使用해줄 것을 要請했다. 이 모든 過程은 3個月만에 完遂됐다.

理事會 通過分 181字

朝鮮日報 新聞略字 90字(1983年)

—価

—国





毆—


舊—旧
覺—覚
觀—観
關—関







—読
—党
—乱
—恋
—塁
樓—楼
—猟
禮—礼
—湾
—蛮
—売
—宝
發—発
—辺
—実
壽—寿
屬—属
攝—摂
數—数
濕—湿
燒—焼
絲—糸
續—続

纖—繊
繡—𫃯
繩—縄
—声
—粛
—蝿
辭—辞
—釈
隨—随
—囲
壓—圧
—応
—与
—誉
—訳
—予
—医
餘—余
鬱—欝
傳—伝
劑—剤
濟—済
蠶—蚕

證—証
轉—転
—嘱
—庁
—総
—処
蟲—虫
—触
—逓
鐵—鉄
—択
—沢
廢—廃
劃—㓰
學—学
擴—
會—会
獻—献
畵—画
繪—絵
號—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