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이반 일리치 저/허택 역 | 느린걸음 | 원제 : THE RIGHT TO USEFUL UNEMPLOYMENT
[ 대여 불가능 ]
이반 일리치 저/허택 역 | 느린걸음 | 원제 : THE RIGHT TO USEFUL UNEMPLOYMENT
[ 대여 불가능 ]
관련분류 : 국내도서 >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출간 : 2014년 09월 30일
이반 일리치의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는 인간을 무력하게 만드는 이 시스템과 전문가들에 대한 신랄한 반론이며, 인간이 지닌 자발적 행동 능력에 대한 강력한 변론이다. ‘20세기의 가장 탁월한 사상가’로서 여러 학문을 넘나들며 현대의 상식과 진보에 근원적 도전을 던진 이반 일리치. 이 짧고 강력한 에세이는 그의 저서 중에서도 거의 유일하게 현실 사회와 우리 삶을 바꾸기 위한 구체적 방향을 명쾌하게 제시했다. 일리치는 이 책에서 ‘우리를 쓸모없게 만드는 이들’이 누구이며 그들이 수행하는 숨은 역할이 무엇인지 밝혀내면서 지금껏 누구도 제기하지 못한 시장 의존사회의 근본 문제를 지적한다. 그리고 무력감 속에 살 수밖에 없는 이들에게‘ 쓸모 있는 실업’이라는 새로운 저항의 길을 제시하며 개인의 자율과 창조가 꽃피우는 현대 자급 사회의 청사진을 그려준다.
이반 일리히
Ivan Illich
이반 일리치만큼 논쟁적이며 수많은 수식어가 따라붙는 이 시대의 사상가도 드물다. “가장 급진적 사상가”(TIME)이자 “위대한 사상가”(가디언)였고, 주류 체제를 떨게 하는 “지식의 저격수”(뉴욕타임스)였다. 12개 국어에 능통하고, 화학과 신학, 역사를 전공했으며 그가 현대 사상에 끼친 영향은 사회학, 철학, 신학, 역사학, 과학기술을 넘나든다. 하지만 그는 어떤 범주와 분류에도 넣을 수 없는 사상가이다.
이반 일리치는 1926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중부 유럽을 떠돌다가 나치 박해를 피해 이탈리아로 피신한 후, 화학ㆍ신학ㆍ역사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았다. 1951년 로마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교황청 국제부직이 예정되었으나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빈민가의 보좌신부로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살았다. 1956년 서른 살에 푸에르토리코 가톨릭 대학교의 부총장이 되었다. 1966년 멕시코에 <문화교류문헌자료센터CIDOC>를 설립해 당시 전 세계가 숭배하던 개발 이념에 도전했다. 이 센터는 급진 운동의 근거지이자 사상의 싱크탱크가 되었다. 교회에 대한 비판으로 교황청과 마찰을 빚다가 1969년 스스로 사제직을 버렸다. 1971년 『학교 없는 사회』를 발표한 후, 『공생을 위한 도구』, 『의학의 한계』 등으로 현대 문명에 근원적 도전을 던지며 세계적 사상가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현대 관념의 뿌리를 밝히기 위해 12세기로 거슬러 오르는 사상적 여정을 시작해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 『텍스트의 포도밭에서』 등을 출간했다. 사회학ㆍ철학ㆍ경제학ㆍ여성학ㆍ종교학ㆍ언어학 등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기며, 가장 근원적이기에 가장 급진적인 사상가로 평가 받는다. 말년에는 한쪽 뺨에 자라는 혹으로 고통 받았지만 현대식 의료 진단과 치료를 거부했다. 2002년 12월 2일 독일 브레멘에서 눈을 감았다. 〈가디언〉, 〈르몽드〉, 〈뉴욕 타임즈〉 등은 사후 특집 기사 등을 통해 그에게 20세기 최고의 지성 중 한 명이라는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보수주의자에게는 ‘사상의 저격수’로 두려움의 대상이었고, 진보주의자에게는 시대를 앞선 성찰로 불편함의 대상이었던 이반 일리치. 21세기 인간 해방의 길은 이반 일리치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도서 정보 출처 : http://www.yes24.com/24/goods/14712528
대여 :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