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essor
손동화 | Donghwa Shon
PhD. |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부교수
전공 : 건축계획 및 설계
교수 연구실 : E8-3 323호
phone : 043-261-2433
e-mail : dhshon@cbnu.ac.kr
Current Position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부교수
스마트건축연구실 지도교수
Education
2018.02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공학박사
2010.03 일본 쿄토대학(京都大學) 대학원 건축학과 공학석사
2008.03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 건축학과 이공학사
Principal Career
[경력]
2024.09 - 현재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부교수
2019.04 - 2024.08 현재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조교수
2019.04 - 2020.08 건축공간연구원 부연구위원
2018.09 - 2019.04 가천대학교 건축학과 연구교수
2018.02 - 2018.08 가천대학교 AAL 헬스케어 스마트홈 연구단 선임연구원
2012.04 - 2012.12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연구인턴
2010.04 - 2012.03 대한민국 해군 시설병 만기제대
[활동]
2025.08~ 제2기 충청북도 공공건축가
2025.05~ 충청북도 단양군 군계획위원회 위원
2025.05~ 충청북도 건축사 징계위원회 위원
2025.03~ 충북개발공사 기술자문위원회 위원
2025.01~ 세종특별자치시 건축위원회 위원
2025.01~ 충청남도 지방건설기술심의위원회 설계심의분과위원
2024.01~ 한국주거학회 사업이사
2024.05~ 대한건축학회 건축창의러닝(AEL)위원회 위원
2024.12~ 세종도시교통공사 개발사업 위원
2024.09~ 한국수력원자력 기술자문위원
2024.05~ 우정사업조달센터 기술자문위원
2024.05~ 자산관리공사 공공개발사업 기술자문위원
2024.04~ LH 제16기 건축설계공모 분야 기술심사평가위원
2024.01~ 한국농어촌공사 공공건축 설계공모 심사위원
2024.01~ 조달청 심의위원
2023.08~ 충청남도 교육청 설계공모심사위원
2023.06~ 한국전력공사 전력건축 설계ㆍ시공 기술자문 심의위원
2023.02~ 인천도시공사 건축설계공모 심사위원
2022.12~ 서울주택도시공사 건축설계공모 심사위원
2022.07~ 증평군 공공디자인 진흥 위원회
2022.05~ 대한건축학회 충북지회 지역전통건축 및 문화재위원회 위원
2020.05~ 한국주거학회 학술이사
2019.12~ Frontiers in Psychology, Environmental Psychology, Review Editor
2013.08~ 대한건축학회 정회원
2013.01~ 한국주거학회 정회원
Honors
2025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 발표상
2024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 발표상
2023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 발표상
2023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 발표상
2013 한국주거학회 우수논문 발표상
2014 서울대학교 기초학문분야 후속세대 선정
Patent
2025.03 옥상 증축형 스마트팜, 특허번호 : 10-2782199
2025.02 옥상 증축형 스마트팜, 특허번호 : 10-2772233
2023.09 옥상 증축형 스마트팜을 위한 환경조절기술, 출원번호 : 10-2023-0122922
2023.09 옥상 증축형 스마트팜을 위한 구조 및 시공기술, 출원번호 : 10-2023-0119691
2017.12 실내 온도조절 장치, 특허번호 : 10-1813796
2016.06 미세먼지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 방법, 출원번호 : 10-2016-0081688
2016.06.29 루버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루버장치 제어 방법, 출원번호 : 10-2016-0081690
qualifications
2023 BSI BIM Project Information Certified Professional
Project
[연구과제]
다중 분산발전 기반의 옥상온실형 스마트 그린빌딩 융복합 시스템 개발 및 실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1
건축물관리계획 활용성 제고 방안 마련 학술연구 용역, 한국부동산원, 2024
도시건축 외부 구성요소 구축 및 활용을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연구, 한국연구재단, 2021
코로나 취약 건축도시 정보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2021
충북지역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건축도시 연구,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 2020
코로나 시대 캠퍼스 내외부 공간 개선방안 연구, 충북대학교, 2020
딥러닝 기반 지역특성 반영 건축물 외관정보 구축 및 생성연구, 충북대학교, 2020
건축도시 공간환경 진흥을 위한 건축외관 구축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20
Publication
[연구보고서·단행본]
데이터 기반 정책을 위한 건축물 생산량 지수 개발 연구, auri, 2023
건축외관 정보 구축을 위한 딥러닝 적용방안 연구, auri, 2020
고령친화 도시환경 진단과 고령자 보건 빅데이터 분석, auri, 2020
한옥건축양식 개념 및 사례분석을 통한 정책 담론 연구, auri, 2019
[간행물]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을 위한 우선 후보지역 도출 방안, auri, 2020
언론 및 SNS를 통해 본 한옥마을 인식 및 주요 이슈, auri, 2020
Paper
[학위논문]
전통 도시가로 경관구성의 데이터마이닝 분석 –북촌지역 한옥입면과 가로요소를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2018.02
쿄토시 구시가지형미관지구의 중고층 집합주택 파사드 구성요소에 대한 감성평가 –러프집합 분석법을 이용한 구성요소 조합의 추출, 석사학위논문, 2010.03
오픈빌딩의 현재와 방향에 관한 연구 –일본, 네덜란드, 한국의 국제비교, 학사학위논문, 2008.03
[학술지논문]
김병진, 손동화 (2025). Spatial Distribu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Regional Revitalization Strategies in Chungcheong Province, South Korea, Land, 14(1167).
이지은, 손동화 (2025). 판례분석을 통한 건축저작권 침해 판단기준 도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41(2).
송주형, 임은택, 허지수, 손동화 (2024). 국내 고령친화 스마트홈의 사회 이슈 및 연구 동향 분석과 발전 전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5(6).
허지수, 손동화, 임은택, 송주형 (2024). 스마트팜과 연계한 청년 공유주거의 설계방안 - 인천광역시 제물포역 인근 주거지를 대상으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5(6).
이다니엘, 손동화, 김성래(2024). 국내 대학 도서관 공간의 VAE 분석과 개선방안 -충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증축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40(9).
변나향, 이현복, 이현하, 손동화(2024). 도심형 스마트팜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40(3).
Jieun Lee, Eunteak Lim, Nahyang Byun, Donghwa Shon (2024). Eco-Friendly Technology Derivation and Planning for Rooftop Greenhouse Smart Farm, Buildings, 14(398).
손동화, 이예진 (202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취약시설의 진단 -공간과 사회문화, 행태적 관점의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9(4).
Donghwa Shon, Kiyong Byun, Soyong Choi (2023). Identification of Facade Elements of Traditional Areas in Seoul, South Korea, land, 12(277).
Donghwa Shon, Eunsuk Lee, Yejin Lee, Jieun Lee, Nahyang Byun (2023). Characteristics of Smart Farms for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Buildings, 13(93).
Donghwa Shon, Suengbum Kim, Nahyang Byun (2022). Derivation Method of Architectural Asset Value Enhancement Zones in South Korea, land, 2022, 11(4), 584.
Donghwa Shon, Byungjun Noh, Nahyang Byun (2022). Identification and Extracting Method of Exterior Building Information on 3D Map, Buildings, 12(4), 425.
Nahyang Byu, Donghwa Shon (2022). Living Place Matters_The Duplicity of Shared Housing in the Young Adults of South Korea, Frontiers in Psychology, 13, 634905.
물리학적 장의 개념을 통한 건축과 풍수 배치원칙의 조응관계 분석, 건설기술 논문집, 2021, 40(1), 1-6.
몽골 주거 유형별 공간특성과 사용행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2(4), 2021, 61-68.
포스트 코로나 시대 건축 실습교육과 공간활용 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7(7), 2021, 43-53.
‘한옥건축양식’범주 구체화를 위한 유형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6(11), 2020, 15-24.
Future Changes to Smart Home based on AAL Healthcare Service,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8(3), 2019, 194-203/
하이브리드한옥 모델에 대한 인식 평가, 한국주거학회논문집,30(3), 2019, 29-36/
주거공간의 IT기기 장착을 위한 통합형 모듈에 관한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33(6).
실내 마감 구조재에 전기와 통신이 매입된 통합형 장착시스템 (AAL 프레임)의 설계,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33(5).
하이브리드 한옥의 유형과 구성모델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9(6), 2018, 101-109.
베트남 하노이 소재 한국 아파트 현지 거주민의 거주유형과 특성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3(11), 2017, 45-53.
Evaluation of Design Issues and the Social Perceptions of the Asian Culture Complex, South, Architectural Research, 19(3), 2017, 53-62.
장애인 거주시설 평면변경 안에 대한 유효성 검증에 관한 연구 –심층인터뷰와 VAE를 통한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2), 2017, 13-23.
CFD Modelling of Air Temperature Reduction and Airflow Induced by the Use of Chilled Wall Panels Based on the Biological Principles of Zebra Stripes, Architectural Science Review, 60(6), 2017, 507-515.
Optimization of Wind Louver Angle By CFD Simulation, ARCHITECTURAL RESEARCH, 18(4), 137-145.
바이오미미크리 건축연구를 위한 생체정보 분류체계 구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1(6), 2014, 65-75.
쿄토시 구시가지형미관지구에서 중고층 집합주택 입면의 구성요소에 대한 감성평가 -러프 집합을 이용한 구성요소 조합의 추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5(3).
카자흐스탄 아파트 단위세대 평면변경 사례를 통해 살펴본 주거요구의 경향,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5(1).
[학술발표대회논문]
공동주택의 스마트팜 적용 가능성 고찰,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34(2).
Derivation of passive technologies of smart farm design, URBIO 2022.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paces Vulnerable to COVID-19 in Seoul, South Korea, 13th ISAIA Conference.
스마트팜 계획 개념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41(2), 541-544.
국내 스마트팜 관련 연구동향 조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41(2), 585-588.
국내외 사례를 통한 도심형 스마트팜 유형분류,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41(2), 601-604.
대학 캠퍼스 인근 카페 공간 사용행태 분석 -시험기간 충북대학교 인근 카페를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41(1),761-762.
AAL 헬스케어 스마트홈의 미래발전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8 No.2
북촌지역 전통 가로경관 구성요소의 유형분류,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7 No.2
Rehabilitation of deteriorated apartment housing through Community Spac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 Psychology(ICEP)
장애인 거주시설 공간 변화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Vol.1(춘계),
Development of hybrid louver with shade and wind-catcher functions and simulation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ivil Engineering and Urban Planning (CEUP)
Development of Bio-mimicry Wind Louver Surface Design, International Proceedings of Chemic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V0l. 93
The Development of a Cooling and Heating Architectural System by Adopting Biological Principl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st Asia Architectural Culture(EAAC)
The Pattern Analysis of Living Characteristics in Vietnamese Apartments, The Asia-pacific Network for Housing Research, 2015 v.2
Changes of Communal Living of Elders using Village Community Centers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The Asia-pacific Network for Housing Research, 2015 v.1
쿄토시 구시가지형미관지구의 중고층집합주택 파사드의 구성요소에 대한 감성평가,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3 v.2
Islamic Apartment Planning : Based on Traditional Design Elements,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s in Asia
나주 금계천 전통경관 조성을 위한 건축입면구성요소 선호도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A study on play spaces within children's activity circle based on one's home : Spatial analysis with GPS databases and 360-degree photos, Part 2,Summaries of technical papers of Annual Meet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Study on Play Spaces within Children's Activity Circle Based on One's Home : Spatial analysis with GPS databases and 360degree photos, Part 1,Summaries of technical papers of Annual Meet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Study on Configuration Rules of Scenic Elements in Kumandong Historic Building District in Naju City, Korea : Part 2 Sturctural Analysis of Scenic Elements employing Kohonen Network, Summaries of technical papers of Annual Meet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Study on Configuration Rules of Scenic Elements in Kumandong Historic Building District in Naju City, Korea : Part 1 Sensibility Evaluation and Description of Scenic Elements using Panoramic Range Data, Summaries of technical papers of Annual Meet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