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We are looking for highly motivated students who want to join NCSL as undergraduate research interns, graduate students (M.S. or Ph.D.).
(NCSL에 합류하고자 하는 학부연구생, 대학원생 (석사 및 박사, 학석연계 및 석박통합과정) 모두 환영합니다. 자세한 문의는 메일을 [학부 홈페이지 참조] 통해 연락주세요.)
핵심 연구 분야: Processing-in-Memory, Modeling & Simulation, Processor Design
Please feel free to contact us!
News
Aug 01, 2024
"2024년 기초연구실 (Basic Research Lab; BRL) 선정"
우리 학부 소속이신 김용태 교수님께서 연구책임자(Lead-PI)를 맡으신,
"유전체 DNA 염기서열 분석 가속화를 위한 페타스케일 인-스토리지 컴퓨팅 기초연구실" 사업이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본 사업에는 우리 연구실과 더불어, 정인욱 교수님, 김명석 교수님께서 공동연구자(Co-PI)로 참여하고 계시며, 앞으로 최장 약 6년(33개월 + 후속 3년)간 우리 학부의 총 4개 연구실들이 연구그룹으로 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생명정보학 분야의 난제인 De-novo Assembly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돌파구를 SW 및 HW
관점에서 찾고자 하는 연구이며, 추후 여러 응용 분야를 위한 Near-data Processing 기술의 기반이 되리라 기대합니다.
Sep 30, 2024
임정훈 학생, "2024 IBM 양자 리더십 트레이닝 프로그램" 선발 및 교육 수료
축하합니다!! 우리 연구실에서 석사 학위 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임정훈 학생이 2024년도 IBM 양자
리더십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선발되어 교육을 수료하였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전국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5년 이상의 산업계 경력자 중에서 매 년 단 15명 만을
선발하는 프로그램으로,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에 선발된 참여자들은 4주간 집중적으로 양자컴퓨팅과 관련된 기본 교육을 받습니다.
그리고, 교육 3주차에 미국 New York에 소재한 IBM TJ Watson Research Center에
양자컴퓨팅 교육 연수를 다녀옵니다.
Research Topics
"생물정보학 프로그램 가속을 위한
Processing-in-Memory 구조" 연구
컴퓨팅 자원에 기반한 유전자 정보 처리는 신약 개발, 질병 분석, 수명 연장 등 현재 생명공학 분야의 가장 뜨거운 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우리는 생물정보학에서 가장 골치아픈 난제로 여겨지는 De-novo Assembly의 가속을 위한 컴퓨터 구조 개선에 앞장섭니다.
Q: 왜 난제인가?
A: "이젠 연산이 아닌, 데이터 이동이 병목 현상의 주 원인. CPU/GPU 프로세서 규모의 증대가 답이 아닙니다."
Solution: 데이터를 연산장치까지 이동시키지 않고,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연산을 합니다. (PIM + ISC)
SW에서의 도전 (PIM+ISC를 위한 SW)
확장성이 보장되는 De-novo Assembly 알고리즘 개발
CPU + GPU + PIM + ISC 기반 이종-멀티코어 프로세싱을 위한 프로그래밍 모델 개발
HW에서의 도전 (어떻게 PIM+ISC를 구성해야 하는가)
Bioinformatics Application들의 파이프라인 별 동작 특성에 최적화된 processing element 설계 (Fine-grain Domain-specific Processor 도입)
Bioinformatics 프로세싱에 적합한 Processing-in-Memory 구조 설계 및 컴파일러 구현
[관련 연구 프로젝트]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가속화를 위한 페타스케일 인-스토리지 컴퓨팅 기초연구실"
기초연구실사업(BRL), 한국연구재단 (2024 - 2027)
DES/ABS을 통한 실세계 문제 해결
가공할만한 컴퓨팅 파워와 AI 기술 발전에 힘입어, 이제는 현실 세계의 문제를 컴퓨터를 통한 모델링/시뮬레이션을 활용해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잦아지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과거 컴퓨터 아키텍처 시뮬레이터 구현 및 시뮬레이션 관련 경험과, Discrete Event Simulation (DES) 및 Agent-based Simulation (ABS) 등 여러가지 모델링 방법론 등을 기반으로 현실 세계의 여러 문제들을 모델링하고, 딥러닝 및 강화학습 기법, 휴리스틱 알고리즘 등을 활용하여 상황인식/최적화/행동결정 등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활용 분야]
국방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물류 최적화 (Warehouse Simulation, Route Optimization, Last-Mile Delivery Optimization)
인간-로봇 협력 형 시나리오를 위한 동선 최적화
팬데믹 시뮬레이션 (코호트 격리, 대중교통 통제 등)
신재생에너지/원자력 하이브리드 기반 파워그리드 시뮬레이션
우주 개척을 위한 지구 외 위성/행성 자원 개발 시뮬레이션
Image source: NVIDIA, "NVIDIA AI Solutions for Efficient Supply Chain Operation"
차세대 전장 상황에 적합한 M&S 플랫폼 + LLM 기반 의사결정/평가 시스템 구축
해당 연구 주제에 대한 상세한 사항을 알아보고 싶다면, 직접 면담을 통하거나 메일을 통해서 문의하여 주세요.
연구 주제 특성 상, 대한민국 학생만 참여 가능합니다.
[관련 분야]
국방 ICT,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 (Discrete Event Simulation),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Agent-based Modeling)
국방 AI (M&S + LLM)
하이브리드 공습(극초음속 미사일, 드론 스웜, 다연장 로켓포)에 따른 미사일 방어체계 피로도 시뮬레이션 (방어 한계)
TDG기반 훈련용 워게임 시뮬레이터 (w/ LLM)
메트로폴리스 지역의 대피(evacuation) 시뮬레이션
차세대 무기 체계의 도입 타당성 평가를 위한 모델링/시뮬레이션
공중항공모함(SS-UAV), 아스널쉽, 해상형 드론항공모함,
드론 탑재형 4세대 MBT, 드론 포탄, 군용 대인 4족 무인병기
Image source: https://en.wikipedia.org/wiki/Professional_wargaming
"CXL 인터페이스 기반의 다중 GPU 환경을 위한,
확장가능한 Near-Far 메모리 아키텍처" 연구
Large Language Model (LLM)을 넘어서,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시대에 다가감에 따라, Deep Learning 모델들의 학습과 추론을 위해서 막대한 규모의 GPU 자원 활용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중 GPU 환경에서의 메모리 병목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1)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eNVM) 및 스토리지급 메모리 (Stoage Class Memory; SCM) 기반의 Far Memory와
(2) 높은 대역폭 및 낮은 지연시간을 가지는 HBM 기반의 Near Memory 시스템으로 구성된 Near-Far Memory Architecture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확장 가능한 Near-Far 메모리 구조를 Multi-GPU 환경에 적용하여 LLM 구동 및 Heterogeneous Computing 환경에서의 시스템 성능을 대폭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련 연구 프로젝트]
A Smart Near-Far Memory Architecture for Data-intensive Workloads
Yonsei-Samsung Joint Research Program, Samsung Electronics (2021 - Present)
PI: Prof. Bernd Burgstaller, Yonsei (공동 연구 수행 中)
"xPU 및 다중 계층 메모리 시스템 기반의 초고성능 이종컴퓨팅 시스템 구축" 연구
본 연구는 xPU (CPU, GPU, NPU, DPU, QPU, NDPU ...) 및 다중 계층 메모리 (Near-Far Memory & Pooled Memory with CXL) 기반의 이종 컴퓨팅 구조 설계, 관리 기법 및 프로그래밍 모델 수립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초고성능 이종컴퓨팅 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산, 메모리, NoC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병목 현상을 해소하여, 다양한 분야의 응용프로그램들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궁극의 HPC 시스템의 달성을 목표로 한다.
[관련 연구 프로젝트]
지역지능화 혁신인재양성사업 (GrandICT/ITRC), IITP (2022 ~ 2029)
ICT융합연구센터 (Lead-PI: 김지현 교수님): [Link]
공동연구: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남덕윤 교수님 (세부과제 PI @HPC lab)
[관련 분야]
Computer Architecture, Algorithm, Compiler
Programming Model
Processing-in-Memory, Neural Processing Unit
"신뢰성 및 확장성이 보장된 양자 컴퓨팅 기법" 연구
IBM의 Quantum Processor가 1000-qubit을 넘어서는 수준에 이른 지금, 양자컴퓨팅 영역에서의 가장 중요한 화두는 더 많은 큐비트의 확장이 아닌, 주어진 qubit를 제대로 활용하여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가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NISQ Quantum Computer의 취약점을 보완하여, 확장가능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양자컴퓨팅 기술에 관한 기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관련 연구 프로젝트]
TBA
[관련 활동]
2024 IBM Quantum Leadership Training Program: 임정훈 학생 수료!
[관련 분야]
Computer Architecture, Quantum Computing (NISQ)
Quantum Algorithm, Compiler
How to Join Our Research Group?
컴퓨터 구조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실들의 경우, 다음에 해당하는 기본적인 배경만 있다면 누구나 연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CS, CSE, AI, EE 등 전산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에 대해서 전공/부전공/복수전공 등 다양한 형태로 학부 과정을 보냈다면 충분합니다.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스킬 (C, C++, Python): 해당 세 가지 언어는 컴퓨터 아키텍처 관련 연구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들입니다.
학부 수준의 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수업 수강 (수료)
만약, 좀 더 수월한 연구를 위해서 추가적으로 필요한 배경들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학부 수준의 병렬 컴퓨터 프로그래밍 및 구조, 컴파일러, 알고리즘 지식 (수업을 듣지 않았어도, 관련된 기반 지식을 갖추고 있으면 충분함)
(디지털) 논리회로 설계 (및 실습) 수업 수강 경험 (Verilog/VHDL의 기본적인 원리를 알고 있음)
This represents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students interested in joining our research group.
Must be a major, minor, or dual major in Computer Science (C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CSE),
Artificial Intelligence (AI) or Electrical Engineering (EE).
Basic Programming Skills (C/C++ or Python)
Undergraduate-level knowledge of Computer Architecture and Operating System
This represents the recommended requirements for students interested in joining our research group.
Must meet at least the minimum requirements
Undergraduate-level knowledge of Massive Parallel Programming, Compiler, and Algorithm
Undergraduate-level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Digital Logic Circui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