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고아름, 김태욱, 유기억. 2025. 중도(춘천, 강원)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8(1): 105-125.
88. Jun-Hee Jeong, Jong-Soo Kang and Ki-Oug Yoo. 2024.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urbance impacts on Mt. Baekseoksan(Pyeongchang-gun, Gangwon-do).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40(4): 286-296.
87. 유기억. 2024. 식물과 노래 가사의 융합과 재조명, 『노랫말 속 꽃 이야기』. 한국연구 16: 275-281
86. 정준희, 유기억. 2023. 백석산(강원도 평창군) 식물자원의 분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6(4) 341-368.
85. 이윤순, 고아름, 김경아, 유기억. 2022. 팔봉산(충청남도, 서산시) 관속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5(1): 44-70.
84. 안성모, 박유정, 강하람, 이하림, 김경아, 유기억, 천경식. 2021. 한반도 습지(영월, 강원도)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39(2): 169-183.
83. 김경아, 고아름, 이윤순, 천경식, 유기억. 2021. 덕세산(인제, 강원) 일대의 관속 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51(2): 147-165.
82. Kyeong-Sik Cheon, Seoung-Chun Park, Kyung-Ah Kim, Ki-Oug Yoo. 2019. A newly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Viola palmata L. (Violaceae). Korean J. Pl. Taxon. 49(4): 380-384.
81. Kyung-Ah Kim, Ho Lee, Kyeong-Sik Cheon and Ki-Oug Yoo. 2019. A new species of Viola (Violaceae): Viola ramiflora K. O. Yoo. Korean J. Pl. Taxon. 49(2): 140-144.
80. Eui-Kwon Jung, Dae-Hyun Kang, Ki-Oug Yoo, Myounghai KWAK,Young-Dong KIM and Bo-Yun KIM. 201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ST-SSR markers for Astilboides tabularis (Saxifragaceae), endangered species in Korea. Korean J. Pl. Taxon. 48(3): 195-200.
79. 김경아, 천경식, 유기억. 2018. 오음산(강원, 홍천 및 횡성)의 관속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8(1): 48-64.
78. 천경식, 김경아, 유기억. 2016. 백암산(강원, 홍천)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9(2): 171-188.
77. 강종수, 한준수, 천경식, 김경아, 박용호, 유기억. 2015. 한석산(인제, 강원)의 관속 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5(1): 1-27.
76. 윤연순, 김경아, 유기억. 2015. 개병풍 자생지의 환경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8(1): 64-78.
75. 천경식, 정경숙, 임형탁, 유기억. 2014.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한석사초(사초과).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7(4): 247-249.
74. 박용호, 박수현, 유기억. 2014.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민털비름(비름과).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4(2): 132-135.
73. 김경아, 천경식, 유기억. 2014. 가침박달 자생지의 환경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7(2): 155-173.
72. 김경아, 한준수, 천경식, 박용호, 강종수, 유기억. 2014. 도솔산(강원, 양구)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4(1): 59-76.
71. 한준수, 천경식, 김경아, 옥길환, 정희진, 유기억. 2013. 조봉(강원, 양양) 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6(1): 119-142.
70. 김경아, 한준수, 천경식, 유기억. 2013. 제주도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 자생지의 환경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1): 1-10.
69. Gil-Hwan Ok and Ki-Oug Yoo. 2012. Habita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splenium scolopendrium L.and its RAPD Analysis. Korean J. Plant Res. 25(6): 719-730.
68. 김경아, 유기억. 2012. 엽록체 D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계통유연관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2(4): 282-293.
67. 한준수, 천경식, 김경아, 유기억. 2012. 흥정산(강원, 평창) 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징.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5(4): 416-432.
66. 정희진, 천경식, 옥길환, 유기억. 2012. 강원도 동해안 3개 하천 하구역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복원녹화 15(2): 57-75.
65. 옥길환, 천경식, 장진환, 유기억. 2012. 연복초(Adoxa moschatellina L.)의 분포와 자생지 입지환경-강원도를 중심으로-.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5(2): 259-269.
64. 천경식, 한준수, 김경아, 옥길환, 유기억. 2012. 울릉도 미역고사리(Polypodium vulgare L.)의 입지환경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1): 1-10.
63. 김경아, 한준수, 천경식, 장진환, 옥길환, 유기억. 2012. 강원도 내륙 북부지역의 민속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5(1): 48-62.
62. 한준수, 천경식,김경아, 정희진, 유기억. 2011. 강원도 남동부 지역(동해시, 삼척시)의 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4): 383-397.
61. 이선경, 한준수, 유기억. 2011. 깃대봉(경기, 가평)의 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4(5): 564-583.
60. 김경아, 유기억. 2011. PCR-RFLP와 ITS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계통유연관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2): 119-129.
59. 서원복, 유기억. 2011.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RAPD분석.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1): 66-80.
58. 한준수, 유기억. 2010. 백석산(강원․양구)의 식물상. 한국자연보호학회지 4(2): 68-80.
57. 천경식, 한준수, 사원복, 김경아, 유기억. 2010.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Y.N.Lee) 자생지의 환경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9(11): 1337-1353.
56. 김경아, 장수길, 천경식, 서원복, 유기억. 2010. 줄댕강나무 자생지의 환경 및 생태 특성.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0(3): 135-144.
55. 김진수, 조동광, 정지희, 김영희, 유기억, 천경식. 2010. ISSR 표지인자에 의한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의 유전다양성과 구조.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8(4): 360-367.
54. 장수길, 천경식, 김경아, 장진환, 유기억. 2010. 왕제비꽃 자생지의 생태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4): 261-273.
53. 천경식, 김경아, 서원복, 장진환, 유기억. 2010. 인공호 호소사면 나대지의 식물분포 특성과 녹화를 위한 식물 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2): 24-41.
52. 정규영, 박명순, 남보미, 홍기남, 장진, 정형진, 유기억. 2010. 갈라산(경북 안동시· 의성군) 관속식물의 분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1): 99-114.
51. 장수길, 이우철, 유기억. 2009. 제비꽃속의 미기록 변종: 털낚시제비꽃.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9(4): 299-303.
50. 천경식, 장수길, 이우철, 유기억. 2009. 개느삼의 분포와 자생지 환경특성.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9(4): 254-263.
49. 유기억, 천경식, 장수길. 2009. 동강할미꽃 자생지의 환경 및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5): 439-446.
48. 한준수, 이혜정, 이우철, 유기억. 2009. 춘천지역(강원, 춘천)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5): 412-424.
47. 장수길, 천경식, 정지희, 김진수, 유기억. 2009. 모데미풀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식생. 환경생물 27(3): 314-322.
46. 서원복, 장진환, 유기억. 2009. 일산(강원, 화천)의 관속식물 분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2): 159-179.
45. 최해진, 조남규, 유기억, 최봉수, 김성문. 2009. 양구군 해안면 친환경농업 경작지의 잡초 발생 실태. 한국잡초학회지 29(1): 32-38.
44. 임재원, 유기억. 2009. 초,중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인용된 관속식물의 종류와 특징.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1): 78-95.
43. 유기억, Jun Wen. 2008. Waxy와 atpB-rbcL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Coryloideae의 계통 유연관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8(4): 371-388.
42. 한준수, 이혜정, 이우철, 유기억. 2008. 춘천 동북부 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연보호학회지 2(2): 104-131.
41. 김기중, 김영동, 김주환, 박선주, 박종욱, 선병윤, 유기억, 최병희, 김상태. 2008. APG 분류체계에 따른 한국 관속식물상의 계통학적 분류.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8(3): 197-222.
40. 이혜정, 한준수, 이우철, 유기억. 2008.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4): 356-395.
39. 유기억, 장수길, 이우철. 2007. 엽록체 DNA의 matK와 atpB-rbcL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제비꽃속(Viola)의 계통유연관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7: 1-15.
38. 장수길, 이우철, 유기억. 2006. 태백제비꽃과 근연분류군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6: 163-187.
37. 유기억, 김종화. 2006. 엽록체 DNA의 trnL-trnF 지역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제비꽃속 (Viola) 식물의 유연관계 분석. 한국화훼연구회지 14: 232-240.
36. 강상수, 백원기, 이우철, 장근정, 유기억. 2006. 복계산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 208-226.
35. 김종화, 장원석, 경혜영, 현영호, Yesun Erdene Davaasuren, 심은조, 이주경, 최용순, Michikazu Hiramatsu, 김규원, 유기억. 2006. 한국산 참나리 2, 3배체 집단에 대한 주성분 분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 300-307.
34. 서동주, 백원기, 이우철, 유기억. 2006. 대덕산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 277-295.
33. Hong Su-Young, Kwang-Soo Cho, Jong-Taek Suh, and Ki-Oug Yoo. 2005. Disaccordance of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RAPD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Aster. Plant Resources 8: 36-43.
32. 김미나, 장수길, 유기억. 2005. 덩굴딸기(Rubus oldhami)의 종내변이.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 260-269.
31. 유기억, 장수길, 이우철. 2005.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제비꽃속(Viola)의 계통 유연관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5: 7-23.
30. 김종화, 경혜영, 현영호, 최용순, 박용철, Michikawa Hiramatsu, 유기억. 2004. 우리 나라 참나리의 분포와 산포에 관한 연구. 한국화훼연구회지 12: 127-141.
29. 유기억, 이우철, 권오근. 2004. RAPD, ISSR과 PCR-RFLP를 이용한 한국산 제비꽃속 (Viola) 의 종간 유연관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6: 43-61.
28. 허수정, 권순배, 변학수, 서정식, 유기억. 2004. RAPD를 이용한 고추냉이의 유연관계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2: 31-35.
27. 오영주, 백원기, 유기억, 이우철, 김성필. 2003. 자병취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6: 194-199.
26. 유기억, 장석우. 2003. RAPD분석에 의한 결구상추의 품종간 유연관계 분석. 한국원예과학기술지 21: 273-278.
25. 황석중, 유기억, 호교순, 김혜진, 임학태. 2002. 형태 및 RAPD분석에 의한 상추 (Lactuca sativa) 품종의 종내 유연관계 분석. 원예학회지 43(5): 575-581.
24. Yoo, Ki-Oug, Kwang-Jin Chang, Cheol-Ho Park, Byoung-Jae Park, Michio Onjo and Hak-Tae Lim. 2000. Intraspecific variations of the Yam (Dioscorea alata L.) based on external morphology and DNA marker analysi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3(3): 211-218.
23. 유기억, 이우철, 류승렬. 2000. 자생지별 금강초롱꽃의 외부형태 및 수리분류. 자원식물학회지 13: 80-88.
22. Hee-Juhn Park, Sang-Hyuk Kwon, Ki-Oug Yoo, Won-Tae Jung, Kyung-Tae Lee, Joo-Il Kim and Yong Nam Han. 2000. Isolation of Magnolialide and Artesin from Cichorium intybus: Revised Structures of Sesquiterpene Lactones. Natural Product Sciences 6(2): 86-90.
21. 유기억, 이우철, 오영주. 1999. 모데미풀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4): 312-323.
20. 박용진, 유기억. 1998. 경포도립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환경생태학회지 40: 155-169.
19. 유기억, 김원배, 엄영현. 1998. 고랭지 치커리의 유용성분과 품종별 유연관계 분석 II. 치커리 11품종의 분류학적 연구. 농업과학논문집 40: 155-169.
18. 유기억, 박희준, 이경태, 김원배. 1998. 고랭지 치커리의 유용성분과 품종별 유연관계 분석 I. 치커리 11 품종에서 sesquiterpene lactone물질인 10β-hydroxycichopumilide와 10β- hydroxyguaia-4-en-6,12-olide의 분리 동정 및 일반성분분석. 농업과학논문집 40: 141-154.
17. 유기억, 김원배, 박희준, 임학태. 1998. 자생지별 산마늘의 표피 초미세구조, 해부학, 화분학 및 세포학적 특성 탐색. 한국원예학회지 39(3): 260-265.
16. 유기억, 이우철, 김원배, 박희준, 임상철, 장형태. 1998. 산마늘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수리분류학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1(2): 210-216.
15. 박희준, 김원배, 유기억, 정원태. 1998. 산마늘의 고소득 작물화를 위한 기능성 물질 분석 - 유황화합물, 아미노산 및 사포닌 성분의 산지별 및 부위별 함량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1(1): 51-59.
14. 이우철, 백원기, 유기억, 1997. 강원도 약용식물 분포에 관한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0(4): 275-291.
13. 유기억, 안상득, 유창연, 박경열, 임학태. 1997. 증폭된 DNA다변성에 의한 삼지구엽초의 종내변이. 한국원예학회지 38(2): 183-187.
12. 유기억, 김원배, 류승열, 서종택, 엄영현, 임학태. 1997. PCR기술을 이용한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의 종내 변이. 원예학회지 38(2): 192-132.
11. 유기억, 김종화, 임학태. 1996. 무궁화 품종내의 favonoid 성분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3): 224-229.
10. 유기억, 김종화, 안상득, 전익조, 홍정기, 유창연, 김시창, 임학태. 1996. DNA마커 지문법에 의한 취나물 5종(청옥취, 개미취, 참취, 수리취, 곰취)의 비교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3): 305-310.
9. 유기억, 이우철, 김정기, 김원배, 최관순, 김병현, 김정간, 김종화, 임학태. 1996.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의 생리 생태적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37(4): 561-567.
8. 유기억, 이우철. 1996. 한국산 초롱꽃과(Campanulaceae)식물의 외부형태. 식물분류학회지 26(2): 77-104.
7. 유기억, 이우철, 백원기, 서종택, 김원배, 김병현, 김정간. 1996. 산마늘의 자생지 환경 및 생태적 특성 연구. 농업과학논문집 38: 654-659.
6. 유기억, 김종화, 홍정기, 홍대기, 방순배. 1996. 누룩치(Pleurospermum kamtschaticum Hoff.)의 특산 채소화를 위한 연구. 1. 재배화를 위한 생태적 특성과 재배환경. 농업과학논문집 38: 31-41.
5. 유기억, 이우철, 김남수, 임학태. 1996. RAPD방법에 의한 금강초롱꽃과 근연분류군의 비교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37(2): 324-328.
4. 유기억, 이우철, 이진영, 임학태. 1995. 금강초롱꽃과 근연분류군의 비교연구 2. 표피의 미세구조, 화분학적 형질 및 동위효소 분석. 자원식물학회지 8(3): 302-318.
3. 유기억, 이우철, 임학태. 1995. 금강초롱꽃과 근연분류군의 비교연구 1. 외부형태 및 해부학적 형질. 자원식물학회지 8(3): 223-236.
2. 유기억, 이우철. 1995. 한국산 초롱꽃과의 종자 형태.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5(2): 61-70.
1. 유기억, 이우철. 1989. 한국산 더덕속(Codonopsis)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9(2): 8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