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편 Trailer
포스터 Poster
로그라인
1970년대 초, 길에서 우연히 발견된 미오카.
어린 시절 자신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미오카는 가족을 찾기 위해 여러 차례 한국을 찾는다. 하지만 매번 돌아오는 건 조작된 서류와 감춰진 기록.
K-Number의 진실은 무엇이며, 사라진 서류는 무엇을 감추고 있을까?
시간과 국경을 넘어, 숨겨진 진실이 풀리기 시작한다.
Logline
In the early 1970s, Mioka was found by chance on the street, unable to remember her own name. As time passed, Mioka traveled to Korea multiple times in search of her birth family. Each time, however, she returned with manipulated documents and concealed records. What is the truth behind the K-Number, and what secrets lie hidden within the missing documents?
Across time and borders, a buried truth begins to surface.
기획의도
개별 입양기관은 아동을 해외로 입양 보내기 위한 숫자 분류 체계를 만들었고 그 중 다수의 아동들이 ‘K-‘에 번호가 붙여진 채로 해외로 보내졌다. 한국의 입양기관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아동을 양부모 국가로 배달해주는 ‘우편입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양부모에게 막대한 수수료를 요구했다. 입양기관은 더 많은 아동을 입양보내기 위해 아동의 출신서류를 위조하는 일도 서슴지 않았고, 입양 아동을 확보하기 위해 고아원(보육원)이나 아동임시보호소, 산부인과를 비롯한 미혼모 시설까지 손을 뻗쳤다.
해외로 입양 간 아동은 성인이 되어 한국으로 돌아온다. 돌아온 해외입양인은 자신이 가진 서류의 기록이 틀리다는 걸 알고 입양기관에 원본서류를 요청하지만, 입양기관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원본서류를 감춘다. 한국정부는 여전히 무책임하게 방임한다. 마치 해외입양인이 돌아올 줄 몰랐다는 듯이.
Director’s Note
Individual adoption agencies established a numerical classification system for sending children abroad for adoption, and many of these children were assigned numbers prefixed with "K-" before being sent overseas. Korea was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that allowed a system called ‘proxy adoption,’ where people could adopt a child without visiting Korea to see the child. In return, adoption agencies demanded exorbitant fees from adoptive parents.
Children who were adopted abroad are returning to Korea as adults. They realize that their adoption documents are incorrect and ask the adoption agencies for the original documents, but the agencies hide them for unknown reasons. The Korean government remains irresponsible as if they didn't expect the adoptee to return.
Pre Production 2019 - 2022
Production 2022 - 2023
Post Production 2023 - 2024
상영
2024 부산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 관객상
2024 서울독립영화제 장편경쟁 대상
2025 덴마크코펜하겐 다큐멘터리영화제 팩트어워드 경쟁 부문
2025 5월 14일 극장 개봉
Screening
2024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Documentary Audience Award
(Wide Angle- Documentary Competion section)
2024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Grand Prize
(Feature Competition)
2025 CPH:DOX F:act Award Competition
2025 Theatrical Release in 14th May
<돌 속에 갇힌 말>(2004) 조연출을 시작으로 <메이드 인 한국인 - 해외입양을 말하다>(2004), <버라이어티 생존토크쇼>(2009)를 연출했다. 이후 <자, 이제 댄스타임>(2014)으로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흰기러기상을 수상했다. 다큐멘터리 외에도 단편 극영화 <물물교환>(2015)를 연출했으며, 국제 공동제작 다큐멘터리 <아편전쟁>(2020)에 프로듀서와 편집자로 참여했다.
Beginning as an assistant director on Words Kept in a Stone (2004), Jo went on to direct Made in Korean (2004) and Variety Survival Talkshow (2009). She later won the White Goose Award at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for Let’s Dance (2014). In addition to documentaries, she directed the short fiction film Fair Trade (2015). She also contributed as a producer and editor on the internationally co-produced documentary The Opium War (2020).
조연출 l 다빈
프로듀서 l 김덕중
각본 l 남순아, 조세영
촬영 l 조영천
편집 l 이연정
음악 l 김지연
미술 l 109, 우에타 지로
출연 l 미오카 밀러, 케일린 바우어, 선희 엥겔스토프, 메리 쉬라프만 외
제작 l 선보필름
국내배급 l (주)마노엔터테인먼트
해외배급 l Illumina Films
Assistant Director l Dabin
Producer l KIM Dukjoong
Screenwriter l NAM Soonah, JO Seyoung
Cinematographer l CHO Youngchun
Editor l LEE Younjung
Music l KIM Jiyoun
Art Director l 109, UETA Jiro
Cast l Mioka MILLER, Kaylin BOWER, Sun Hee ENGELSTOFT, Mary SCHLAFMAN, and others.
Production l Sunbofilm
Domestic Distribution l Mano Entertainment Co., Ltd.
International Distribution l Illumina Films
2022 영화진흥위원회 독립 예술영화 제작지원작
2022 서울영상위원회 서울배경 독립영화 제작지원작
2023 성남문화재단 독립영화 제작지원작
2023 DMZ Docs 글로벌 피치 심사위원 특별상
2023 부산국제영화제 AND FUND
2024 EIDF 하이독스 피칭 수상작
2024 전주영화제작소 후반작업 현물지원작
2022 Korea Film Council Independent Film Production Support Project
2022 Seoul Film Commission Seoul-Set Independent Film Production Support Project
2023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Independent Film Production Support Project
2023 DMZ Docs Global Pitch Jury Special Award
2023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FUND
2024 EIDF Hi-Docs Pitching Award Winner
2024 Jeonju Film Studio Post-Production In-Kind Support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