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주가

🔥로또+주식+메타버스+비트코인=해알사.com

관련 문서 - 해알사.com

주식시장의 구조 - 해알사.com

1. 발행시장

주식을 발행하는 시장으로 1차 시장(Primary Market)이라 하기도 한다. 주식의 발행방식은 직접발행과 간접발행으로 나뉜다. 직접발행은 기업이 금융기관 없이 직접 주식을 파는 방법인데, 보통 비상장기업이 자신의 주식을 팔 때는 사모발행으로 하기 때문에 대개 이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직접공모라는 특이한 발행방식이 있지만 그렇게 하면 발품팔면서 살사람 찾아다니는 게 보통 귀찮은 게 아니므로 흔치 않은 케이스. 대부분의 주식발행은 간접발행으로 이루어진다. 간접발행의 경우 기업이 자본금을 출자하기 위해 금융기관을 거쳐 기업공개(IPO)나 유상증자를 하거나 주식을 살 투자자를 사모로 찾아주기도 한다. 금융기관은 이 발행한 증권을 살 매수자를 모집하는 역할을 하며, 만일 IPO가 망했을 경우 덤터기 써주는 역할도 한다.


해외에서는 골드만삭스JP모건 체이스, 도이체방크 같이 투자은행(Investment Bank)이라는 대형 금융기관의 가장 중요한 업무가 발행시장 업무로 IPO는 투자은행의 ECM(Equity Capital Markets; 주식자본시장) 부서에서 진행한다. 투자은행의 이름이 달리 은행인 게 아닌지라, 상업은행이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예금받듯 투자은행은 돈이 필요한 기업이 돈이 남는 기업한테 돈을 빌리거나 (=채권) 투자를 받을수 있도록 (=주식) 판을 깔아주는 Banking을 하기 때문에 은행인 것이다.

한국은 거대 투자은행이 존재하지 않아 주요 증권사가 IB 부문을 두어 ECM 부서에서 담당한다. 한국에서 가장 IPO 주관사업건을 많이 따내는 기업은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으로, 으레 이 세 기업을 IPO 빅3라고 부른다. 2020년 기준 이 세 회사의 공모액만 합쳐도 2020년 전체 IPO의 58.3%를 차지할 정도. # 보통 IPO를 주관한 증권사에서만 공모주 청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고 싶으면 저 세 회사에서 증권계좌를 가지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2022년에서는 주식시장이 불황으로 바뀌면서 LG에너지솔루션 정도를 제외하면 이렇다할 대어가 없어져서 빅 3의 개념이 희박해지고 있으며, 2021년부터 성장세를 이어오다가 LG에너지솔루션 거래를 성공시킨 KB증권이 압도적인 수익을 차지하게 되었다. 원래 KB증권은 20년대 전만 해도 채권발행시장(DCM)에서 강했고 주식에서는 급이 약간 낮았으나, 2022년 KB증권이 ECM, DCM, 심지어 국내 증권사중에서 M&A 거래도 최고를 달성하며 IB시장에서의 입지를 굳히게 되었다.

2. 유통시장 - 해알사.com

주식을 유통하는 시장으로 2차 시장(Secondary Market)이라 하기도 한다. 한번 발행된 주식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시장으로, 보통 주식시장이라 말하면 이 유통시장을 가리킨다. 유통시장은 장내시장과 장외시장이 있는데, 장내시장은 한국의 경우 흔히 코스피라 말하는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이나 코스닥시장이 여기에 해당된다. 어느 정도 안전성이 검증된 두 시장뿐만 아니라 코넥스, K-OTC장외시장도 존재한다.


유통시장 참여자는 크게 셀사이드와 바이사이드로 나뉘는데, 셀사이드(Sell-Side)는 거진 투자은행증권회사의 S&T(Sales and Trade) 부서를 일컫는 말로 주식 영업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고 중개수수료(Brokerage) 이익을 취한다. 이를 위해 리스크는 낮추고 수익률은 높이는 절묘한 구조화 상품을 만들고 마진을 챙기기도 한다.


바이사이드(Buy-Side)는 개인투자자들은 물론이고 자산운용사, 기금, 헤지펀드, 사모펀드, 또 자금을 운용하는 기업 재무팀 등이 해당되는데 직접 증권상품을 매매하면서 시세차익으로 돈을 벌거나 리스크를 관리하면 수익에 대한 운용수수료와 성과급을 챙긴다.

차트, 호가창, 용어 - 해알사.com

기타 은어에 대해서는 이곳을 참고할것.

1. 개관

재미로 주식을 건드리는 게 아닌 자산을 관리하는 입장이라면 주식투자는 위험-수익의 상충관계를 극복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이론에 따라서 무조건 자산분배를 해야하기 때문에, 말은 주식투자라고 하지만 제대로 된 투자는 채권이나 원자재 같은 다른 분야의 투자와 절대 분리해서 이해할 수 없다. 여러가지 금융자산을 섞어 파는 펀드는 대부분 리스크와 수익을 적절히 혼합하기 위해 주식과 채권을 같이 담은 상품이다. 그렇다고 주식만 담거나 채권만 담은 펀드도 적지는 않지만, 리스크와 수익을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투자자가 확신이 있지 않는 한 권장되지 않는다.


대학에서 정식으로 투자에 대해서 가르치는 과목은 경영학재무관리이다. 투자가 근본부터 기업의 부족한 돈을 금융 시장에서 얻고 노는 돈을 제공해 수익과 리스크를 관리하는 기업금융(Corporate Finance)의 개념에서 등장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재무관리의 하위과목인 투자론은 안정적인 수익과 낮은 리스크를 지향하는 자산배분의 마인드셋으로 전개가 된다. 하지만 현대 경제에선 금융경제의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경제학에서도 금융경제학이란 이름의 과목으로 다루고 있다. 학부생 입장에선 기업금융을 어떻게 잘 하느냐는게 재무관리고, 금융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가 금융경제학이지만, 어차피 상경계 금융권이 그놈이 그놈이라 실무적으로든 학술적으로든 같은 분야 취급이다.


특별히, 주식과 채권이나 원자재같은 기초자산에 대한 선물옵션 등의 파생금융을 다루는 금융수학이나 금융공학이 있는데, 이름에 난데없는 공학이 끼어든거부터 느껴지는 더럽게 난해한 난이도로 악명이 높으며, 수학, 물리학의 천재들이 소위 퀀트라는 금융권 일자리를 얻어 천문학적인 수입을 얻고 있다고 하면 대개 금융공학 지식을 활용해 파생상품을 건드는 케이스다. 다만 요즘에는 현물 알고리즘 트레이딩 분야도 퀀트들을 많이 고용하는 편이다.

2. 방법 - 해알사.com

2.1. 자산배분

자산배분(Asset Allocation)이란 투자금을 주식, 채권, 부동산, 원자재, 외환 등 상관관계가 서로 다른 자산으로 구성하는 것을 뜻한다. 즉, 다양한 성격의 자산군에 자금을 분산투자해서 리스크을 낮추는 전략이다. 주식에 내 투자금이 100% 집중되어 있으면 주식시장이 좋지 않은 대세 하락기에는 수익률 방어가 어렵기 때문에 리스크 분산을 위해 현금, 채권, 부동산, 원자재, 외환과 같이 리스크를 보완해주는 자산에 분산투자 한다는 개념이다.


흔히 투자 고수들이 하는 이야기로 "집 한채는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주식을 시작해라" 는 말이 있다. 이런 말이 나온 이유는 재산의 일정 부분은 부동산에 자산배분이 된 상태에서 주식을 투자하면 분산투자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심리적인 안정감을 갖고 투자할 수 있고, 주식이 망하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집 한 채는 있으니 재기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자산배분 투자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격언이라 하겠다.


자산배분에 대해서는 이 글 을 참고해 보자. 주식 40%, 채권 60% 로 투자하는 전략이 가장 고전적인 방법이다. 참고

2.2. 종목선정

2.3. 타이밍 선정

3. 유형 - 더많은정보는 해알사.com

3.1. 패시브 vs. 액티브

패시브 투자는 인덱스 펀드상장지수펀드(ETF)를 사서 지수가 상승하는 만큼의 수익을 얻는 투자법으로, 시장의 수익률을 상회하는 수익을 얻지 못한다. 반면 액티브 투자는 투자자나 펀드매니저가 본인의 분석과 직관에 따라 직접 종목이나 섹터를 선정해 포트폴리오를 짜는 것으로, 시장의 수익률을 상회하는 수익을 얻을수도 있지만, 반대로 시장은 잘나가지만 나 혼자 폭삭 망할수도 있는 방식이다.


상식적으로 주식과 경제에 대해 아는게 없다면 패시브, 주식을 좀 안다하면 액티브 투자를 할 것 같지만, 금융업계에서 패시브 투자와 액티브 투자 중 무엇이 우월한지는 매우 첨예한 화두 중 하나다. 인덱스 펀드를 창안한 존 보글뱅가드그룹을 설립하며 기존 펀드의 안티테제 격 개념으로 S&P 500이나 다우산업지수같은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를 만들었는데, 이게 대박을 치면서 존 보글은 혜성같이 월가의 스타로 자리잡았고, 현재 뱅가드그룹은 세계 2위 자산운용사로 자리를 잡았다.


존 보글의 액티브 펀드는 수수료만 처먹는 거품일 뿐이다!는 주장 뒤로 패시브 투자의 우월성을 역설하는 주장이 크게 늘어났고, 블룸버그에 따르면 5년간 시장수익률을 상회한 미국 액티브펀드는 17.9%, 유럽 액티브펀드는 19.8%에 불과했다는 발표도 존재한다. 때문에 2010년대 들어선 아는 놈들마저 무참히 깨지는 상황인데 굳이 액티브 펀드에 가입하지 말고 오히려 인덱스펀드나 ETF를 사이는 게 훨씬 나은 선택이라는 주장도 상당히 우세해졌고, 마침내 2020년 들어선 패시브 펀드의 자금이 드디어 액티브 펀드의 자금을 넘어섰다고 한다.


이에 동조하듯 워렌 버핏은 월가의 주식 전문가들의 권고를 따르기보다는 값싼 수수료의 S&P 500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더 좋은 실적을 낸다고 오랫동안 주장해왔다. 버핏은 지난달 30일 자신의 투자회사인 버크셔해서웨이 연례 오찬에서 이런 주장을 다시 하며, 실증해 보였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이날 보도했다.

"이건 아주 기초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어떠한 기부기금이나 연금펀드, 거부들도 이를 믿으려고 하지 않는다. 똑똑한 사람들, 일반적으로 부자들인데, 그들은 자문가를 고용하나, 세상의 어떤 자문가도 ‘그냥 에스앤피 인덱스펀드를 사서 50년 동안 기다려라’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런식으로 자문가를 할 수는 없다. 그런 식이면 매년 수수료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문가들은 당신에게 세상의 모든 이유를 들이대고서는, ‘올해는 내가 생각하기에 우리는 해외 주식에 더 집중해야 한다’, 혹은 ‘이 매니저가 공매도에 아주 뛰어나다’고 말한다. 그들은 그렇게 다가와서 수시간 동안 얘기하고, 당신은 그들에게 엄청난 수수료를 지불한다."


하지만 패시브가 무조건 우월하진 않다. 하락장이나 횡보장에선 액티브 투자의 평균이 패시브 투자의 평균보다 우월하다. 상술한 존 보글이 투자세계 최고의 발명품인 인덱스펀드를 들고 등장한 1980년은 미국 주식 장기 강세장의 시작 국면이었다. 1980년 이후로 40년을 보면 패시브의 성과가 훨씬 우월했으나, 그 중간에 있었던 횡보기간인 2001-2009년에는 액티브의 성과가 우월한 편이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세계 정상급 펀드매니저가 S&P 500을 이길 확률은 5년대결시 15%에 불과하며 10년대결시 9%만이 이길수있다고 밝혀져 미국인들에 분노를 삼고 각자가 스스로 관리하는 인덱스펀드에 대거 유입 되었다.

3.2. 투자자 vs. 트레이더 - 해알사.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