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e Professor
Kunsan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1. PERSONAL INFORMATION
Phone : +82-63-469-4473
Email: jseyang@kunsan.ac.kr
2. EXPERIENCES
2022-Present Kunsan National University
2012-2022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8 Visiting Scholar at Ohio State University (OSU)
1998-2001 LG-CNS System
2020.09~2022.08.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지부장
2022.03~08.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정책국장
2021.02~2022.02 한국노동경제학회 상임이사
2021~ KDI 경제정책 자문위원
2022~ 2023한국경제포럼 편집위원
2022~ 한국경제학회 경제토론 패널위원
2023.03~ 2025.02 군산시 인구정책위원회 위원
2023.05~2025.04 새만금발전협의회 위원
2023.05~2025.04 군산시 소비자정책 심의위원회 위원
2023.07~2024.06 한국경제통상학회 사무국장
3. RESEARCH INTERESTS
Agent-based Model, Income Distribution, Inequality, Labor Market,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Economic Growth, Macroeconomics, Evolutionary Game Theory, Behavioral Economics.
4. ARTICLES IN INTERNATIONAL JOURNALS
Dynamics of Firm’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An Agent-based Approach. Computational Economics 60, 2022, pp. 1317–1351, https://doi.org/10.1007/s10614-021-10206-6.
Social Violent Event in Childhood and Human Capital: The Long-run Effect of Exposure to the Gwangju Uprising in Childhood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61(8), 1242–1257. https://doi.org/10.1080/00220388.2025.2456907.
5. ARTICLES IN KOREAN JOURNALS
□ 「LINC사업 일반대학 참여자의 노동시장 이행 효과: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분법을 중심으로」, 직업과 자격 연구, 13권 2호, 2024, 99-128.
□ 「이중차분법과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한 LINC+사업 전문대학 참여자의 노동시장이행효과」,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4권 1호, 2024, 19-42.
□ 「중장년층의 직업이동 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46권 3호, 2023, 31-66.
□ 「직업훈련 교ㆍ강사의 특성이 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과 자격 연구, 11권 1호, 2022, 127-146.
□ 「고령층 경력경로 유형화와 결정요인 분석: 경제활동상태에 근거한 시퀀스 분석」, 직업과 자격 연구, 10권 3호, 2021, 1-26.
□ 「직업훈련 교·강사 노동시장의 임금결정요인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24권 2호, 2021, 179-204.
□ 「한국의 대기업은 어떤 청년을 선호하는가?」(채창균 공저), 직업능력개발연구, 22권 3호, 2019, 99-127.
□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 동학:행위자 기반 모형 접근」, 경제학연구, 66권, 4호, 2018, 51-91.
□ 「정부의 취약계층 대학생 지원정책의 효과 분석」, 노동정책연구, 18권, 1호, 2018, 103-133.
□ 「노동시장상황과 대학생의 졸업유예 결정」, 응용경제, 17권 4호, 2015, 27-56.
□ 「기업의 지식과 좋은 일자리: 기업의 지식, 숙련노동 수요, 좋은 일자리의 상보성을 중심으로」(김봄이, 반가운, 나동만 공저), 산업관계연구, 25권 3호, 2015, 27-58.
□ 「마이스터고 정책의 초기 노동시장 효과 분석」(김유미 공저), 노동경제논집, 37권 3호, 2014, 75-99.
□ 「지방대학 졸업생의 지방중소기업 취업과 이직결정요인 분석」,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7권 2호, 2014, 153-177.
□ 「자녀의 교육성과에 가구배경이 미치는 영향: 형제‧자매‧남매의 학교정보를 이용한 분석」, 노동정책연구, 13권 1호, 2013, 1-32.
□ 「한국의 세대간 소득 이동성 추정」, 노동경제논집, 35권 2호, 2012, 79-115.
6. Awards and Honors
Bae Moo Ki Academic Award, given by the Korean Society for Labor Economics(February 2013).
최우수논문상,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