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ing Papers
“The Impact of Mandatory Retirement Age on Employment of Elderly and Young Workers: Evidence from Korea,” (with Chulhee Lee and Seongjin Jin) [Slides]
"Housing Wealth, Labor Supply, and Retirement Behavior: Evidence from Korea," BOK Working Paper 2022-5. [Paper]
Book
Publications
Jongwoo Chung, & Booyuel Kim. 2024. "Impact of microfinance on income generation: Evidence from a rural community-driven development programme in Myanmar."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36(3), 1866-1879. [Paper] [Data]
Junesoo Lee, Jongwoo Chung, & Booyuel Kim. 2023. "Leaders need to be led: complementary followership in the context of community-driven development program." Asia Pacific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6(2), 159-183. [Paper]
Jongwoo Chung & Chulhee Lee. 2023. “Technology, job characteristics, and retirement of aged workers: evidence from automation and IT adoption of firms in Korea."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32(4), 930-955. [Paper]
Jongwoo Chung & Booyuel Kim. 2022. "Heterogeneous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Literacy and Fund Investment Behaviors: Evidence from South Korea during the Financial Crisis." Seoul Journal of Economics, 35(2), 159-186. [Paper] [Data]
Booyuel Kim, Junesoo Lee & Jongwoo Chung. 2021. "Double-edged cohesion: Multidimensional impacts of community governance’s cohesion in community-driven development." Community Development, 52(4), 486-504. [Paper]
성원,유인경,정종우.(2024).초저출산 원인 및 정책 효과 분석: OECD 국가 분석을 중심으로.경제분석.30(3).71-101.
김혜진, 정종우. (2023).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별 고용인력 변화와 정책대안별 효과 추정: 여성 및 고령자 고용확대를 중심으로. 경제분석, 29(3), 85-115.
주재원, 김부열, & 정종우. (2019). 북한이탈주민들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 신뢰도, 네트워크 그리고 적응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3(4), 45-82.
정종우. (2017). 중.고령자의 건강 악화가 조기은퇴에 미치는 영향 연구-근로형태 별 비례위험모형 분석. 한국노년학, 37(4), 871-891.
김재홍, 이용석, & 정종우. (2013). 공연시장에서의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연구. 법경제학연구, 10(2), 261-284.
Reports
혁신과 경제성장 - 우리나라 기업의 혁신활동 분석 및 평가. 2024.5월 중장기 심층연구. (이동원, 성원, 최이슬, 김동재, 조태형 공저)
정년연장의 고령자 고용효과 분석:사업체별 정년규정을 중심으로. 고령자 노동시장의 수요측 분석 제4장. KLI 정책연구 2023-17. (이철희, 진성진 공저)
초저출산 및 초고령사회: 극단적 인구구조의 원인, 영향, 대책. 2023.11월 경제전망보고서 중장기 심층연구. (황인도 외 10명 공저)
노동공급의 추세적 변화에 대한 평가 및 전망 -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을 중심으로. 2023.5월 경제전망보고서 중장기 심층연구. (이동원, 김혜진, 성원, 염지인, 김도완 공저)
OECD 국가별 패널 자료를 통한 우리나라 저출산 원인 및 정책 효과 분석. BOK 이슈노트 제2023-32호 (성원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