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체명 Gender and Chemicals
독일연방 환경·자연보호·원자력안전부의 지원은 받아 MSP 연구소가 운영하는 프로젝트 플랫폼으로, 여성과 화학물질관련 정책 자료를 꾸준히 발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ipen.org/toxic-priorities/women-and-chemicals
▶ 단체명 IPEN (독성물질 사용 저감을 위한 글로벌 환경보건네트워크)
스웨덴에 기반을 둔, 유해화학물질 저감을 위한 전문가-운동가 네트워크로 한국의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도 2016년에 가입하였다.
웹사이트 https://ipen.org/toxic-priorities/women-and-chemicals
▶ 단체명 Women in Europe for a Common Future
92년 리우선언 이후 유럽의 각국의 활동가, 단체들이 모여 1994년 설립한 네트워크 단체. 정기적으로 유해물질과 쓰레기, 화학정책 일반과 국제협약을 젠더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꾸준히 자료를 발표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wecf.org/safe-chemicals/
▶ 단체명 Center for Health, Environment and Justice
미국의 유해화학물질 활동단체, 1978년 뉴욕 러브커넬사건이라 불리는 화학물질 불법 매립 문제를 지역사회에서 대응하며 설립되었다.
웹사이트 http://chej.org/
▶ 단체명 Health and Envrionment Alliance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유해화학물질 전문가-운동가 네트워크로 EU의 화학물질 관리 정책대응 및 연구를 진행한다.
웹사이트 https://www.env-health.org/
▶ 단체명 Envriomental working group
화학물질 제도, 노출저감을 위한 전반적인 활동을 하는 전문가, 활동가 네트워크다.
웹사이트 https://www.ewg.org/
▶ 단체명 Women’s Voices for the Earth
생필품의 독성이 여성과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사회적 변화를 촉구하는 미국의 여성주의 단체다.
웹사이트 https://www.womensvoices.org/about/why-a-womens-organization/
▶ 단체명 Silent Spring Institute
미국 매사추세츠 주에 자리한 침묵의 봄 연구소는 1995년 유방암에 걸린 여성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되었다. 매사추세츠는 미국 안에서 유방암 발병률이 5위 안에 손꼽히는 지역이기 때문에 환경과 여성건강을 주로 연구하며 비영리 연구를 목표로 한 연구소를 설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