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도재우, Jaewoo Do
교육(공)학 박사
연구 및 전문영역: 미래교육, 디지털교육, 원격교육, 에듀테크, 학습분석, 질적연구
E-mail: do@gjue.ac.kr / jaewoo.do@gmail.com
Office: 041-850-1725
현) 에듀테크 소프트랩 사업관리위원회(2025~)
현)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심의위원회(2025~)
현) 질적연구학회 편집위원(2024~)
전) 국가교육발전계획 지원위원회(2024-2025)
전) 시도교육청 평가위원(2024)
전) 에듀테크 진흥방안 TF(2023)
전) 한국사학진흥재단 연구심의위원(2023-2024)
전) 교육부 교육정책 자문위원(2023-2024)
최종 학위
2018년 8월, 철학 박사,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교육심리 및 상담학과
- 세부전공: 학습환경 및 교육연구(교육공학, 교육심리, 문화연구 융합 전공)
- 박사논문 주제: 교수들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설계 과정에 대한 이해
※ Concurrent Degree: 교육공학 석사(2017.05)
주요 경력
2024년 3월 ~ 현재, 조교수,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2019년 12월 ~ 2024년 2월, 연구위원, 한국교육개발원 미래연구본부
- 디지털교육지원센터 총괄: T.O.U.C.H 교사단 연수과정 개발, AI DT 수업모형 개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정책 이해 제고
- 건강장애 학습지원 사업(스쿨포유) 총괄: 맞춤형 교육 위한 학습분석 플랫폼 개발 및 운영, 메타버스 체육대회 기획 및 운영
2019년 2월 ~ 2019년 12월, 박사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개발 및 운영
2018년 9월 ~ 2019년 2월, 조교수 & 교수발전처장, 몽골민족대학교
2017년 1월 ~ 2018년 8월, 수업조교,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Offic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주요 연구 및 기고문 링크
저서 및 역서
(2025) 질적 종단연구방법론. 학지사.
(2025)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5. 테크빌교육.
강의 및 특강
2025년 5월: EBS 특집 다큐 AI 디지털 교과서, 수업을 혁신하다! 출연 및 자문
2025년 2월: EBS 클래스업, 교실을 깨워라, "교실이 행복해지는 AI 디지털교과서 수업" 패널 출연
2023년 ~ 현재: 경기도, 대구, 경북, 경남, 전북, 전남, 강원, 충북, 충남교육청 및 지역교육청 등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과 AI 디지털교과서 이해 관련 교사, 관리자, 전문직, 학부모 대의
- (2023-현재) 교장 자격연수 국가정책과정에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강의
- (2023)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 "하이터치하이테크 교육의 이해" 온라인 직무연수 강의 촬영
2023년 ~ 현재: 질적연구 학회, 전남대, 서울시 교육청, 교원대 등
- 질적연구방법론, 현장연계연구 설계 등 연구방법론 강의
2023년 1월: EBS 특별 생방송 "교육 대전환의 시대"
- 1부 디지털 인재를 키워라 패널 출연
2021년 9월 ~ 202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 신교수매체론, 교육공학연구방법 강의
2021년 3월: EBS 미래교육플러스 99화, 100화
- 새로운 교육이 온다! 1부. 교실 AI를 만나다. 2부 미래세대를 이끄는 인공지능 교육 패널 출연
출판 논문
도재우(2025). 초등 예비교사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45(1), 303-317.
도재우(2025).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인식 비교분석. 정보교육연구.
김수진, 이지원, 도재우(2024). 디지털 전환에 대비한 학습자의 온라인 콘텐츠 활용 양상 탐색. 교육연구논총, 45(4), 87-112.
도재우(2024). 디지털 대전환에 따른 교육 변화의 특성을 반영한 자기주도학습 역량 진단도구 개발. 정보교육연구.
도재우, 김수진. (2024). 중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인식과 경험 연구. 교육연구, 46(2), 287-309.
임종헌, 도재우. (2024). 질적 종단 연구 실행 과정 분석을 통한 방법론적 특징과 실천 전략 탐색. 질적탐구, 10(1), 1-39.
도재우, 김민경, 김형순, 김민정. (2024). 건강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주체별 요구분석. 교육발전, 43(3), 681-704.
Moon, J., Lee, D., Choi, G. W., Seo, J., Do, J., & Lim, T. (2023). Learning analytics in seamless learning environments: a systematic review.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1-18.
김수진, 도재우, 권수완, 양슬기, & 어정인. (2023).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교육연구, 45(1), 99-119.
도재우, 어정인, 나용재, & 김수진. (2022).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9(4), 261-289.
김수진, 황준성, & 도재우. (2022). 원격교육법제 정비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교육문화연구, 28(5), 43-69.
도재우, 최선혜, 박규리, & 김수진. (2022). 원격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교육회복을 위한 수업 전략 탐색: 사례 분석을 통한 학습 지원, 심리ㆍ정서 지원, 사회성 지원 전략 탐색. 교육문화연구, 28(1), 199-221.
도재우, 유정헌, 한원영, 최선혜, 박규리, & 김태영. (2022). 온라인 교사의 메타버스 기반 원격 수업 운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9, 225-254.
Seo, J., Moon, J., Choi, G. W., & Do, J. (2022). A Scoping Review of Three Computational Approaches to Ethnographic Research in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TechTrends, 1-10.
도재우, 어정인, & 권수완. (2021). 원격교육 콘텐츠 질 확보를 위한 프로토타이핑 사례 연구. 인문사회 21, 12(6), 2491-2506.
정영식, 이은주, & 도재우. (2021). 성인 학습자의 학습 추이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 모델 개발 및 평가.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5), 813-824.
김수진, 도재우, & 전제상. (2021).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교원 갈등 유형과 해결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8(3), 221-250.도재우 프로필
김수진, 도재우, & 강성국. (2021).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분석 프레임 개발. 교육논총, 41, 247-270.
도재우, 김수진, & 유미나. (2021). 수업 개선을 위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활용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열린교육연구, 29, 99-127.
Do, J., & Kim, S. (2021). Exploring the Challenges US Instructors Face in Teaching Synchronous Online Course.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0(1), 421-441.
이은주, 도재우, 유미나, 정재원, & 이주윤. (2021). 자기조절학습 지원을 위한 학습 분석 모형 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1), 223-251.
도재우, 김수진. (2021).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등교수업 전략으로서 BYOD 활용을 위한 BYOD 연구동향 및 개념 탐색, 현장수업연구. 2(1), 1-22.
도재우. (2021). 질적연구 수행에서 디지털 도구 활용방안 탐색. 교육연구, 43(1), 1-22.
임다연, 도재우. (2020). 학생선수를 위한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교육문화연구. 26(5). 713-741
도재우, 김수진, & 문제웅. (2020).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중· 고등학교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사례 분석. 질적탐구, 6, 637-681.
도재우. (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Choi, G. W., Moon, J., Do, J., & Lee, D. (2020). Open Educational Resources in Korea. In Current State of Open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Belt and Road” Countries (pp. 63-81). Springer, Singapore.
Moon, J., Do, J., Lee, D., & Choi, G. W. (2020). A conceptual framework for teach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personalized OERs. Smart Learning Environments, 7(1), 1-19.
정승화 & 도재우. (2019).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교육문화연구, 25권 5호. pp. 621~640.
Do, J., & Kim, J. (2018). Introducing Synchronous Online Courses as an Effective Way Of Delivering Online Courses, The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pecial Issue 1, 764-773.
김진희 & 도재우. (2018). 강의계획서 분석을 통한 한국과 미국의 질적연구방법 교과목에 대한 이해. 교육문화연구, 24권 3호, pp.47-64.
Do, J., & Yamagata-Lynch, L. C. (2017). Designing and developing cell phone ap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Inquiry, 23, 757-767. (SSCI)
Yamagata-Lynch, L. C., Deshpande, D., R., Do, J., Garty, E., Mastrogiovanni, J. M., & Teauge, S. J. (2017). Net neutrality and implications to online learning.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18(6).
Yamagata-Lynch, L. C., Do, J., Deshpande, D., Skutnik, A. L., Murphy, B. K., & Garty, E. (2017). Narrative Inquiry with Activity Systems: A Story about Net Neutr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16(1), 1-11. (SSCI)
Howard, C. D., & Do, J. (2017). L2 (Im) politeness in the Synchronous Chat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Teaching English with Technology, 17, 17-45. (SCOPUS)
Yamagata-Lynch, L. C., Skutnik, A. L., Garty, E., & Do, J. (2016). Interactionist Qualitative Research as a Semiotic Mediation Activity. SAGE Open, 6(3), 2158244016666889. (SSCI)
김진희 & 도재우. (2015). 대학에서의 블랙보드 활용에 나타난 특징과 시사점. 교육문화연구, 21권 3호, pp.27-56. (등재지)
Yamagata-Lynch, L. C., Do, J., Skutnik, A. L., Thompson, D. J., Stephens, A. F., & Tays, C. A. (2015). Design lessons about participatory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in a graduate level instructional technology course. Open Learning. 30, 178-189. (SCOPUS)
연구보고서
2025. AI 디지털 시대를 선도하는 교육으로의 대전환.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4. AI 디지털교과서 선정 도움자료.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책임).
2024.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연구학교 효과성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책임).
2024. 디지털 전환 시대 교육격차 변화 양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 (KEDI POLL 2024).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4. 학령인구감소에 따른 연천지역 교육격차 해소. 연천군(공동)
2024. 터치교사단 2기 연수 효과성 분석, 교육부(책임).
2023.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에듀테크 종합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공동)
2023. 디지털 대전환시대의 교원역량 개발을 위한 원격교육연수 발전방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공동)
2023.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전망과 과제. 교육부(공동)
2023. AI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3. 학생의 온라인 생활 연구: 학습자 특성 분석.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3.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23).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3. 국가수준의 교육현안 진단 및 공교육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구축(Ⅱ).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3. 국책연구기관에서 질적 종단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 및 적용 전략.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2. 맞춤형 교육을 위한 스마트 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공동)
2022.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22)(공동)
2022. 건강장애학생 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책임)
2022. '대학설립·운영규정 법령 개정안 마련' 정책 연구(공동)
2022. 미래지향적 괴산교육생태계 구축 방안 연구(Ⅰ)(공동)
2022. 해방 100년,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대한민국 교육체제의 대전환 방안(Ⅱ)(공동)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원격교육 관련 법제 정비 방안 연구(공동)
2021. 건강장애학생 원격수업에서의 학습 참여 증진을 위한 학습 분석 모형 개발 연구(공동)
2021. 국가 재난 상황 대비 방송중·고 운영 방안 연구(책임)
2021. 방송중·고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설계 방안 연구(공동)
2021. 돌봄 추진체계 중장기 개편방안(공동)
2020. 사이버 고등학교 설립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0.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0. 방송중·고 맞춤형 교육지원을 위한 학습 분석 모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20. 코로나 19 대응 국가 수준 원격교육체제 진단 및 과제. 한국교육개발원(공동)
2019. 데이터 생애주기 기반 데이터과학 교육과정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