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Wise
디지털 리터러시란?
리터러시란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을 말합니다. 지금까지는 글을 통해서만 지식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이 문맹율을 낮추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미래는 디지털 리터러시, 즉 디지털을 읽고, 분석하고, 쓸 줄 아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협회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삶의 역량"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을 잘 다루는 능력' 정도로 생각하거나, '디지털을 윤리적으로 다루는 자세' 정도로 생각합니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는 이런 능력과 자세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을지를 판단하는 능력'은 디지털 리터러시일까요? 아닐까요? 협회는 '문자로 보내는 것이 좋을지, 직접 만나서 대화하는 것이 좋을지를 판단하는 능력'부터 디지털 리터러시라고 정의합니다. 그럼 '디지털에 대한 두려움'은 어떨까요? 시니어들은 이런 두려움 때문에, 또는 클릭 한 번으로 돈이 빠져나가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디지털을 시작도 못합니다.
이제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모든 세대가 세상을 살아가는 법을 새롭게 배워야만 합니다. 직접 사람을 만나 얼굴을 마주 보며 대화하던 아날로그 시대에 필요했던 '공감 능력'과 비언어 소통이 어려운 문자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필요한 '공감 능력'은 다릅니다. 행간을 읽고, 대화와 관계의 맥락을 통해 상대의 생각을 파악하고, 이모티콘을 적절히 이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전달해야 합니다. 2D 화면상에 여러 사람의 얼굴을 보고 대화하는 화상회의나, 3D 공간에서 아바타로 소통할 때는 또 다른 '공감 능력'을 요구합니다. 디지털에 의해 소통의 양이 늘어나고 속도가 빨라지면서 갈등도 증가했습니다. 현재 인류의 갈등관리 능력은 살면서 고작 많아야 50~200명 정도를 상대하던 아날로그 시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제는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의 사람,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 낯선 문화를 갖고 있는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옆 나라 사람들의 생각을 알 수 없고 알 필요도 없었지만, 이제는 좋든 싫든 옆 나라 사람들의 생각을 듣고 반응하고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제 인류는 디지털 사회를 살게 되었기 때문에 그에 맞는 역량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디지털이 삶 자체가 되어가고 있으므로 이제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기술을 잘 다루는 능력', '디지털을 윤리적으로 다루는 자세', '비판적 사고능력' 정도로만 정의해서는 안 됩니다. 이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삶에 필요한 모든 역량"로 인식해야 합니다. 이렇게 접근해야만 아이에서 시니어까지 미래 세대를 위한 교육과 정책 마련이 가능합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교육목표
교육의 목표는 디지털을 잘 활용하여 사람들과 소통하고 융합적으로 생각하며 다양한 해답을 찾아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 있습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는 디지털을 잘 다루는 기술을 가르치는 데에 그치지 않습니다. 디지털은 좋은 도구이지만, 디지털 자체가 목적이 되어 기술 교육에 그칠 경우 많은 문제가 양산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는 디지털을 잘 활용하여 사람들과 소통하고 융합적으로 생각하며 다양한 해답을 찾아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 있습니다.
디지털과 아날로그는 서로 컴플렉스를 갖고 있습니다. 서로 미워하며 배척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둘은 서로 닮아가는 노력도 합니다. 최고의 디지털 기술은 아날로그 감성과 기능을 모두 갖춘 것입니다. 디지털이 아날로그 정신을 배우고, 아날로그가 디지털 정신을 배울 때, 둘의 조화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은 더 커지고 세상은 더 아름다워질 수 있습니다.
(수 단) 디지털 기술, 데이터, 정보, 콘텐츠, 미디어를 활용하여
(목표1) 융합적으로 생각하고, 소통하면서 다양한 해답을 찾고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디지털 능력자’를 양성하되,
(목표2) 공감능력과 인성을 갖춰 자신의 능력을 세상을 이롭게 하는 데 활용할 줄 아는 ‘디지털 홍익인간’이 되도록 합니다.
교육방식
디지털 리터러시를 통한 교육은 누군가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방식’이 아니라 스스로 ‘배우는 방식’이며 STCPR에 따라 진행됩니다.
산업혁명 이후 기업이 성장하면서 엄청난 인력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학교가 생겨났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인력을 생산해내야 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교실의 모습이 갖춰졌죠. 이후 200여 년 동안 교육은 ‘가르치는 방식’으로 굳혀졌습니다. 이러한 교육방식은 지금까지 국가와 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이제는 아닙니다.
과거에는 정답 잘 쓰는 사람이 인재였지만, 미래에는 해답을 잘 찾는 사람이 인재입니다. 앞으로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창의적인 대안을 생각해내고, 협업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가 필요합니다. 교육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메타버스 시대
메타버스가 사람들의 삶과 교육의 방식을 바꿉니다.
협회는 메타버스를 "현실과 가상이 융합된 공간으로 나를 대리하는 아바타 또는 디지털 실사를 통해 인간의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는 세계"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메타버스를 호기심의 대상으로 보는 분들이 많지만, 2030년경에는 인간의 대부분 삶이 메타버스에서 이루어지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메타버스는 단순한 가상공간이 아니라 현실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된 세계일 뿐 아니라 현실과 가상의 구분이 어려운 수준으로까지 발전하게 됩니다. 또한 현재는 아바타가 자신을 대신하여 메타버스에서의 삶을 영위하지만, 미래에는 360도 카메라의 입출력 및 편집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영상을 통해 실제 사람의 모습을 보듯 메타버스 상에서 디지털 실사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과의 구분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곧 메타버스로 등교하고, 친구들과 여가 생활을 즐기고, 메타버스를 통해 돈도 버는 세상이 옵니다. 현재 인터넷 없이 생활하기 힘든 것처럼, 스마트폰이 인류의 삶을 바꾼 것처럼 메타버스가 세상을 바꾸게 될 것입니다. 이제 메타버스 시대에 적합한 삶의 방식과 교육의 방식을 배워야 할 때입니다. 새로운 방식을 통해 미래 세대를 키워야 할 때입니다.
메타버스 시대의 인재가 갖춰야 할 메타버스 리터러시
메타버스 시대에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 메타버스 리터러시
메타버스 시대에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더욱 중요해집니다. 메타버스 세상에서는 더 많은 디지털 활용 능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디지털 기술 관련 문제해결 능력도 더 많이 요구됩니다. 또한 아바타로만 생활할 수 있고, 멀티 자아로 활동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리터러시가 보다 강조될 수 밖에 없습니다.
만약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시행했다면, 사람들의 인터넷을 활용하는 능력에서부터 건강하게 사용하는 윤리 의식에 이르기까지 많은 것들이 변했을 것입니다. 제2의 인터넷이라 불리는 메타버스 시대에는 인터넷 시대가 도래할 때 했던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아야 합니다. 본격적인 메타버스 시대가 열리기 전에 충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메타버스에 특화된 메타버스 리터러시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과거와 달리 메타버스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충실히 하고 문제에 대비할 수 있다면, 메타버스의 역기능은 줄이고 순기능은 늘려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협회는 메타버스 시대에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로서 '메타버스 리터러시'를 별도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리터러시란 "내면의 건강함을 바탕으로 메타버스에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세상과 소통하며 이루는 역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중 디지털 세상에서의 '자기 정체성'과 디지털 세상에서 지켜야 할 '자기 규범', 그리고 디지털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서 갖춰야 할 '디지털 시민의식'의 내면 능력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내면 능력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활용 능력과 스스로 학습 능력의 디지털 기본 능력을 근간으로 데이터 기반 비판적 사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콘텐츠 창작 능력, 디지털 관계관리, 가상협력의 응용 능력을 통해 메타버스에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는 역량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