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MBL (Marine Biogeochemistry Lab @Jeju, Korea)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biogeochemical processes involved in the global carbon cycle from coastal groundwater to global ocean systems. In addition, we investigate how to respond aquatic ecosystem and marine organic matter to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and anthropogenic activities. For tracing organic matter origins, point- and nonpoint-source pollutants, and fluxes through system boundaries, we apply optical techniques,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isotopic approaches, and cutting-edge sensors.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해양생지화학 연구실👨👧👦입니다. 🤜🤛🏽
제주도 주변 환경🤿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양 시스템🚢에서 생지화학분야의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연안 지하수부터 대양🌊을 아우르는 전 지구의 탄소순환과 그와 연관된 생지화학적 현상들을 이해하고자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해양오염☢️에 따른 해양환경과 유기물의 거동과 반응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화학 성분의 거동을 밝히기 위해서, 분광기법✨, 방사성동위원소 추적자🕵️, 최신 센서🦾 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저희 팀의 활동이 궁금🤷♀️하거나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의 이메일 주소📧로 문의 바랍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관련 콘텐츠 무단도용 및 수정, 편집을 금합니다.❌
Duration: 2025–2030
Project Overview
- This project aims to predict futur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land-derived material loads under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in Korea's subtropical marine regions. Special focus is placed on identifying the driving factors and mechanisms behind large-scale macroalgal (seaweed) blooms. The results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adaptive response strategies and sustainable marine ecosystem management systems.
Duration: 2025–2030
Project Overview
- This research focuses on comprehensive environmental surveys of subtropical waters around Jeju Island, with an emphasis on characterizing the marine microbiome. By integrating microbiological data with oceanographic conditions, the project aims to build a scenario-based diagnostic and forecasting system for climate-driven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2025 Sampling cruises in coastal Jeju
서울대 황청연 교수님 연구팀/경북대 박종수 교수님 연구팀/연세대 김지현 교수님 연구팀과 제주연안 환경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에 관한 공동조사를 수행하였습니다.
2025.08 Release of Application note
분광분석법(A-TEEM)을 이용한 양식장 배출수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결과가 Application Note로 HORIBA 홈페이지🌐에 발표되었습니다. Adam Gilmore 박사의 Linkedin🔗에도 소개되었습니다.
2025.02 Congrats on your graduation
지상아, 임진주, 김희아 학생이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이번에 졸업합니다. 앞으로 더 좋은 일들 가득하길 바랍니다! 현재 진행 중인 연구는 계속 이어갈 예정입니다. 좋은 연구 결과들, 곧 소개드리겠습니다.
2024.10 Field practice course on coastal Jeju
2024년 2학기 해양조사장비실습 과목 현장실습으로 이호테우해변에 방문하였습니다. 학생들과 함께 지하수, 해수, 연안유출수 시료를 채취하고 라돈과 유기탄소, 영양염을 분석할 예정입니다.
2024.8 Joint sampling in Kongsfjorden
경북대 김민경 교수, Northwest University의 Ling Fang 교수와 북극권 Svalbard에서 공동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노르웨이, 중국, 독일 기지 관계자분들과도 행복한 시간이였습니다. 좋은 연구결과로 다시 뵙겠습니다!
2024.4 Joint sampling in Jeju
한국해양대 오용화 교수님 팀이 제주를 방문하셨습니다. 제주 동부연안 지하수 관정 공동 조사를 진행하고, 샘플링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해주셨습니다.
2024.02 Visiting EMBL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우리 연구실원들 모두 서울대학교 김규범 교수님 환경해양생지화학연구실(EMBL)에 방문했습니다. 오랜만에 방문하여 좋은 시간 보냈습니다.
2023.12 AGU23 conference (San Francisco, USA)
유기물 광특성을 이용한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수괴분석 결과로 AGU23 학회에 참석하였습니다.
2023.10 The grand prize for poster presentation at KOSEB
한국환경생물학회(KOSEB) 정기학술대회에서 김희아 학생이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의 수상했습니다. 축하합니다!
2023.9 Joint sampling in Jeju
경북대 김민경 교수님 팀과 중국 Northwest University에 Ling Fang 교수님이 제주를 방문하셨습니다. 연구실 소개, 연구협의, 지하수 공동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2023 Sampling cruises in coastal Jeju
제주대학교 해양생지화학연구실(MBL)에서는 제주도 연안 지하수, 해양수질, 방사성동위원소 시료를 채취하고 있습니다. 곧 좋은 연구성과 소개하겠습니다.
2023.7. Visiting Northwest University in China & Xi'an AMS center
경북대 김민경 교수님, 중국 시안에 Ling Fang, Yunchong Fu, Peng Cheng 세 교수님과 시료분석 및 연구협의 진행하였습니다. 추후 제주 워크숍에서 뵙겠습니다.
2023.6. ASLO conference (Palma de Mallorca, Spain)
ASLO2023 학회에 참석하였습니다. 다음에는 우리 연구실 학생들과도 준비해서 동행합시다.
2022.12. Plogging & Sampling at Coastal Jeju Island
제주 연안 시료 샘플링을 하며 해안가 플로깅까지 한 뜻 깊은 조사였습니다. 추운날씨에 다들 고생했습니다. 다음에는 플로깅 사진도 많이 남겨오겠습니다!
2022.10. The excellence award for presentation at J-Leaders
이공계 여대생 활동단 J-Leaders 성과발표회에서 임진주, 지상아 학생이 우수 발표상을 수상했습니다. 축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