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young Song, PhD.
Associate Professor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ork/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mail: woodstock@yonsei.ac.kr
Associate Professor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ork/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mail: woodstock@yonsei.ac.kr
EDUCATION
PhD. Social Work,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S.W.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B.A.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RESEARCH INTERESTS
HOUSING INEQUALITY AND VULNERABLE POPULATION RELATED TOPICS
Homelessness
Housing social policy and services
SOCIAL PROTECTION AND WELFARE STATES
Social protection policies
New risks and challenges and welfare states
CLIMATE CRISIS AND WELFARE STATES
TEACHING INTERESTS
Housing policy and services
Climate change and social policy
Social policy and social security
Social welfare/welfare state history
CURRENT RESEARCH TOPICS
Systematic Review on Climate Change and Fertility
A Critical Review on the 2nd Comprehensive Plan for Welfare And Self-Resilience Support for the Homeless In South Korea From The Housing First Approach
PUBLICATIONS
IN PROGRESS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낙상 두려움의 매개효과 분석 (under review)
노인의 거주주택 적절성이 돌봄 욕구에 미치는 영향 (under review)
Cyber-risk environments and their impact on cyberbullying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 review)
A Critical Review on the 2nd Comprehensive Plan for Welfare and Self-Resilience Support for the Homeless In South Korea From the Housing First Approach (in progress)
생애최초 주택마련 지원제도 국가비교 연구 (in progress)
한국형 홈리스 청소년 개념과 주거복지 방안 (in progress)
주거유지지원서비스의 국제비교 연구: 핀란드, 오스트리아,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in progress)
노인거주 주택 수리 및 개조 정책 국제 비교 (in progress)
PUBLISHED
최윤희, 송아영 (2025). 월세에 거주하는 1인 가구의 주거비 부담에 관한 연구-성별 상호작용 효과의 연령대별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77(1), 63-88.
임가영, 송아영 (2024).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불안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임대인과의 갈등 관계와 주거 안전 인식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 51(4), 5-28. (교신저자)
신자현, 송아영 (2024). 이주노동자의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비전문취업(E-9)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5(3), 75-99. (교신저자)
Song, A. & Yoon, Y. (2024). Housing density, number of rooms,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before and after COVID19.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18(2), doi: 10.1111/aswp.12306
김아래미, 송아영 (2023). 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체성 혼란에 대한 탐색.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3). 135-172. (교신저자)
Yoon, Y. & Song, A. (2022). Types of childhood maltreatment as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n analysis of revictimization among the Korean population.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Song, A., Yoon, Y., & Cho, Y. (2022). The association between polyvictimization in childhood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child abuse in adulthood.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7(9-10) https://doi.org/10.1177/08862605211073088
송아영(2021). 하우징퍼스트의 특징과 원칙: 한국 노숙인 주거정책을 위한 함의(The Principles and Core Elements of Housing First and a Critical Review of Korean Homeless Housing Policy). 사회복지연구. 52(3), 85-116.
Song, A. & Cho, Y. (2021). The association of childhood polyvictimization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in early adulthood,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15(2), 90-101. https://doi.org/10.1111/aswp.12222
Song, A., Wenzel, S. L., & Cho, Y. (2021). Child abuse victimization, depression, and substance use among homeless women: Application of General Strain Theory.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6(17), 8852-8873. https://doi.org/10.1177/0886260519853410
Kim. J., Song, A., Chung, S., Kwak, K. B., & Lee, Y. (2021). The comparative macro-level ageism index: an international comparison. Journal of Aging Social Policy, 33(6), 571-584. DOI: 10.1080/08959420.2020.1750540
조유선, 문아람, 송아영. (2020). 성역할에 대한 여성의 태도와 사회적 규범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The Effects of Women’s Attitudes and Social Norms toward Gender Roles on Fertility Decision in Low Fertility Countries). 비판사회정책, 66, 175-211.(교신저자)
임세희, 송아영 (2020). 아동 주거권 보장을 위한 해외 동향: 최저주거기준과 연계된 주거급여를 중심으로. 국제사회보장리뷰, 13, 116-125.
김아래미, 송아영, 홍영준. (2019).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 기능 재정립 및 실천모델 개발: 지역사회기반참여연구 접근 (Reconceptualization and Practice Model of Community-organizing for Social Welfare Agencies: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pproach). 사회과학연구, 26(3), 161-188. (교신저자)
Chung, S., Jeon, H., Song, A., & Kim., J. (2019).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predictors of social exclusion among older Koreans: Exploring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social exclusion. Social Indicator Research, 144(1), 97-112. DOI: 10.1007/s11205-018-2045-6
Guerrero, E. G., Song, A., Henwood, B., Kong, Y., & Kim., T. (2018). Response to culturally competent drug treatment among homeless persons with different living arrangement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66, 63-69. DOI: 10.1016/j.evalprogplan.2017.10.005
송아영, 김아래미 (2017). 지역사회기반참여연구의 사회복지적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as a new social welfare research and intervention approach). 비판사회정책, 54, 411-452.
송아영 (2017). Intimate Partner Violence: Where We Are and Where We Should Head?. 보건복지포럼. 247, 50-59.
Nam, B., Kim, J. Y., DeVylder, J. E., & Song, A. (2016). Family functioning, resilience, and depress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Psychiatry Research, 30(245), 451-457. DOI: 10.1016/j.psychres.2016.08.063 (corresponding author)
Wenzel, S.L., Cederbaum, J.A., Song, A., Hsu, H.T., Craddock, J.B., Hantanachaikul, W., & Tucker, J.S.(2016). Pilot Test of an Adapted, Evidence-Based HIV Sexual Risk Reduction Intervention for Homeless Women, Prevention Science, 17(1), 112-21. doi: 10.1007/s11121-015-0575-6. PMID: 26103921.
Chung, S., Jeon, H., & Song, A. (2016).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on Health Among Older Koreans at High Risk of Depression. Care Management Journal, 17(2), 70-80. doi: 10.1891/1521-0987.17.2.70. PMID: 27298134.
(publications before 2016 will be updated soon)
NEWSPAPER, MAGAZINE, ETC.
송아영 (2023). 기후위기, 불평등의 문제에 관심을. 월간 복지동향.
송아영 (2022). 주거권 보장, 민감임대시장에 대한 정비부터. 월간 복지동향
송아영 (2022). 보편적 권리로서 주거권을 보장할 후보자, 누구인가. 오마이뉴스.
송아영 (2021). 탈시설과 주거지원. 복지동향.
송아영 (2021). 주거권 보장을 위한 주거복지제도 개선을 위한 논의. 청주복지포럼.
RESEARCH PROJECTS
연구책임
(current projects will be updated soon...)
아동양육(돌봄)위기가구 주거중심 돌봄자립지원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25.5-2025.9
주거복지 이음사업 복지욕구분석 및 연계 용역. 서울주택도시공사. 2024.5 - 2024. 12.
청년월세지원 수혜자 설문조사 소규모 용역. 서울특별시. 2024. 6. - 2024. 7.
청년월세지원 수혜자 설문조사 소규모 용역. 서울특별시. 2022.2. -2022.3.
청년월세지원 대상자 현황조사 소규모 용역. 서울특별시. 2021.9.-2021.10.
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 성과지표 개발. 재단법인 한국자활복지개발원. 2021.7.-2021.11.
2020년 제 2차 노숙인 지원주택 입주신청자 서비스 필요도 사정. 서울주택도시공사. 2020.12.-2021.1.
주거위기가구 주거상담 방안 연구 용역. 서울주택도시공사. 2020.6.-2020.9.
서울특별시 긴급지원주택 제도 마련을 위한 연구 용역. 서울주택도시공사. 2020.1.-2020.3.
시설퇴소예정자 주거상담 매뉴얼 개발 용역. 서울주택도시공사. 2018.9.-2018.12.
성평등주의적 관점에서의 저출산: 여성의 선호 및 성역할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2017.5.-2018.4.
공동연구 및 연구참여
(current projects will be updated soon...)
주거복지 및 주거정책 부문
삼중전환 시기의 저출산 정책 대응 (기후위기와 인구변화 관련 부분 공동연구).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SSK)지원사업, 2024.9.-2027.9.
쪽방주민 실태분석과 시사점. 보건사회연구원. 2024.
노숙인 일자리제공 및 자립지원 실적 평가. 보건사회연구원. 2024.
복지국가 2.0 포럼: 복지국가 제도 개혁 사례 연구(기후변화와 주거복지정책 개혁 사례 담당). 보건사회연구원. 2022.
서비스 연계형 노인주거지원 정책 방향. 보건복지부. 2021.8.-2021.12.
포스트 코로나시대 주거위기가구 진단 및 대응전략. 국토연구원. 2021.1.-2021.12.
2021년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정책 성과평가. 2021. 4- 2021. 12.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보건사회연구원. 2021.4.-2021.11.
제2차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2021.02. 2021.12.
주거복지센터 중장기발전방향. 서울주택도시공사. 2020.6.-2020.12.
코로나19의 노숙인/쪽방 주민에 대한 영향 및 정책방안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2020.7.-2020.12.
2019년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정책성과 평가. 보건사회연구원. 2020.4.-2020.11.
서울시 아동 주거지원사업 효과성 연구.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서울아동옹호센터. 2020.3.-2020.12.
비주택거처 아동가구의 주거개선을 위한 연구: 포천시를 중심으로. ver.2.0.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경기북부아동옹호센터. 2020.2.-2020.8.
비주택거처 아동가구의 주거개선을 위한 연구: 포천시를 중심으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경기북부아동옹호센터. 2019.5.-2019.11.
청년층 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 조사. 보건사회연구원. 2019.5.-2020.4.
2018년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정책 성과 평가. 보건사회연구원. 2019.6.-2019.11.
2017년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정책 성과평가. 보건사회연구원. 2018.3.-2018.11.
기타 사회복지 분야
성남시 가정폭력 실태조사 및 관련정책 수립계획.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20.6-2020. 12.
생애주기별 학대 및 폭력 연구: 생애주기별 학대 및 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적 보호 체계의 통합과 연계. 보건사회연구원. 2019.1.-2019.12.
범부처 사회서비스 보장체계 구축 방안 연구: 보장성 분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원. 2018.2.-2018.11.
생애주기별 학대경험의 상호관계성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2017.1.-2017.12.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와 복지관 협력 모델 및 역할 제언 연구. 2018.6.-2018.11.
사회복지관 사업 핵심 전략 연구: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기능 강화 및 모델 구축. 2016.6.-2016.12.
사회복지사 역할 정체성 탐색 연구 보고서: 서울시사회복지협회. 2021
시민참여조사 및 아동청소년 친화정책 4개념 추진 계획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2021.1.-2021.6.
서울특별시 아동종합실태조사. 2021.6.-2021.12.
중구 초등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2019.12.-2020.2.
구리시 제 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2018.6.-2018.10.
강동구 온종일 돌봄모형 구축을 위한 학술용역. 2018.9.-2018.12.
ACADEMIC ACTIVITIES (updating...)
Conference Presentation
유선주, 김석경, 송아영 (2024). 청년 임차 가구 주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월세 지원 정책 현황 분석 연구. 2024년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송아영 (2024). 복지국가 담론의 확대: 다양성과 유연성을 갖춘 복지국가 담론의 필요.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기획토론
송아영 (2023). 지역주직화 기능 재정립 및 실천모델 개발(2019) 이후 이슈들. 지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송아영 (2023). 주거취약 노인을 위한 주거복지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논의. 아셈노인인권포럼
송아영 (2022). 주거복지센터의 쟁점과 과제. 2022 주거복지컨퍼런스
송아영 (2021). 이용자 관점에서 바라본 복지 전달체계의 비판적 검토.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임세희, 송아영 (2021). 코로나 이후 주거생활의 변화가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최저주거기준미달 여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송아영, 김아래미 (2019). 시설거주자의 주거독립욕구와 지역사회 대응에 관한 탐색: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송아영 (2019). 노인주거지원의 변화: 다양성과 대상자 중심으로의 전환. 노인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conference presentation before 2019 will be updated soon)
COMMUNITY SERVICES (updating...)
On Campus Activities
2024.9-현재.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학과장
2024.9-현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소장
2024.3-현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부원장
Academic Activities
2024.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연구이사
2024.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장
2024.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정책위원장
2023. 한국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
2023.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감사
2022-현재. 국제사회보장리뷰 편집위원
2021-2022. 한국노인복지학회 총무분과위원장
2021-2022. 한국노인복지학회 이사
2021-2022.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총무분과위원
2021-2022. 한국아동복지학회 연구분과위원
2021.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국제협력분과위원장
2018.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총무분과 위원장
2017-2018.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편집위원
2017.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실천연구분과 위원.
Community Services
2024.-2025.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센터 자문위원
2024-2026. 한국사회복지사협회 국제교류위원회 위원
2024-현재.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 해외연수 수퍼바이져
2024-현재. 서울특별시 약자동행지수 평가단 평가위원
2024-현재. 한국해비타트 수혜자 선정위원회 위원
2021-현재. 경기도 개발이익 도민환원기금 심의위원회 위원
2020.-2022. 성남시 구(수정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2020. 서울시 노숙인 이용시설 현장평가위원
2019-현재. 서울특별시 중앙주거복지센터 운영위원회 위원.
2019-2020. 우리동네키움센터 전문 컨설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