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DT 첫 관측 영상 및 동영상 다운로드 사이트


(2024-02-14)

7DT 첫 관측 영상 및 동영상 내용

이번에 공개된 영상은 2023년 10월 10일부터 시작된 7차원 망원경 시험 관측을 통해 얻어졌다. 공개된 것은 조각가자리 은하(NGC 253 은하), 나선성운(Helix Nebula), 삼렬성운(Trifid Nebula)의 총 3가지이다.

 - 특히 나선성운의 경우 여러 파장에서 관측한 형형색색의 모습을 공개하였다. 나선 성운의 다채로운 모습은 수소, 산소, 황, 헬륨 등 다양한 원소들에서 기인하는 것이며, 각 색깔(파장)에서의 빛의 강약은 나선성운을 이루는 가스의 온도와 화학적 조성 등을 알려준다.


● 조각가자리 은하(일명 NGC 253 은하): 약 1,0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나선은하이다. 별자리의 하나인 조각가자리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그렇게 이름이 붙여진 은하이다. 남반구에서 볼 수 있는 은하 중 별들이 활발하게 형성하고 있으며 겉보기 크기가 꽤 큰 은하 중의 하나라 은하진화 연구에 유용한 은하이다. 

● 나선성운(Helix Nebula, 일명 NGC 7923): 별이 진화하는 과정의 막바지에 나타나는 ‘행성상 성운’단계에 있는 천체이며 지구로부터 약 650 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별이 수명을 다하는 단계에 이르면 많은 양의 가스를 분출하는데 이러한 가스들이 별 주변에 퍼져 분포하는 구름의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 ‘행성상 성운’이다.

● 삼렬성운(Trifid Nebula, 일명 M20 또는 NGC 6514): 산개성단, 방출성운, 반사성운이 한곳에 모여 있는 천체이며 우리은하의 나선팔 중 하나인 방패-센타우르스(Scutum-Centarum) 팔의 별형성 지역에 있다. 하늘에서는 궁수자리 북서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구로부터 약 4,100광년 떨어져 있다. 별의 탄생을 연구하기 위하여 허블우주망원경 등으로 빈번하게 관측된 천체이다. 

영상/동영상에 대한 보도자료는 7차원망원경 첫 관측영상 공개 링크 참고.

문의: 임명신 (서울대/중력파우주연구단) at myungshin.im@gmail.com

              김지훈 (서울대/중력파우주연구단) at jhkim.astrosnu@gmail.com

Contents

동영상: 3개의 동영상 - video 1 (7DT 전경), videos 2 & 3 (다파장으로 본 나선성운의 모습)

그림: 10가지 그림 - 그림 1 - 3 (7DT), 그림 4 (NGC 253 은하), 그림 5-6 (7DT 시야와 달/JWST 시야 비교), 그림 7 - 8 (나선성운), 그림 9 (삼렬성운), 그림 10 (7DT 원리 설명)

Video1_7DT@ElSauce_flyby.MP4

동영상 1(Video 1): 7차원 망원경과 주변 전망을 보여주는 동영상. 사진 속 인물들은 연구팀의 임명신 교수, Project manager인 김지훈 연구교수(서울대 천문우주연구센터), 7차원 망원경 현지 관리를 하는 ObsTech사 공동대표인 Andres Jordan 교수 및 Vincent Suc 박사. [Credit: ObsTech사/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

Download (375.6 MB)

Video2_7DT_Helix_720pHD.mp4

동영상 2(Video 2): 그림 8의 나선성운의 다채로운 모습을 묶어서 보여주는 동영상이다. 720p HD(53MB), 1080p Full HD(119MB), 2160p 4k UHD(73.9MB) 3가지 포멧으로 제공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임명신(서울대)]

Download [720p HD (52.3 MB), 1920p Full HD (116.1 MB), 2060p 4k UHD (72.9 MB)

With BGM [720pHD (52.4 MB), 1920p Full HD (116.3 MB)]

YouTube Video

YouTube Shorts

Video3_HelixNebula.mp4

동영상 3(Video 3): 동영상 2와 내용은 비슷하나 일부 caption을 빼고 간소화시킨 버전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임명신(서울대)]

Download (73.9 MB)

그림 1: 현재 50% 구축 완료된 7차원 망원경의 모습 [Credit: ObsTech/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

Download (315 KB)

그림 2: 현재 50% 구축 완료된 7차원 망원경의 모습 2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

Download (3 MB)

그림 3: 7차원 망원경의 야간 관측 모습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김연식(한국천문연구원)]

Download (858 KB)

그림 4: 7차원 망원경이 촬영한 조각가자리 은하(NGC 253 은하)의 모습[필터 및 노출시간: 파랑: g(600초), 초록: r(600초) + m650(1,800초) - m675(1,860초), 빨강: i(600초)]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정만근(서울대)]

Download [Medium resolution (2.9 MB)]

그림 5: 7차원 망원경의 시야 크기를 보여주는 사진. 7차원 망원경 사진과 보름달 크기를 비교하였다. 7차원 망원경은 보름달 6개가 가득 찰 정도로 넓은 시야를 자랑한다. 배경 사진은 7차원 망원경이 찍은 NGC 253 은하이다.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

Download (273 KB)

그림 6: 7차원 망원경의 시야 크기를 보여주는 또 다른 사진. 그림 5에 보여주는 보름달에 더해 제임스웹 망원경의 시야(NIRCAM 카메라 시야 기준)도 비교하고 있다. 7차원 망원경의 시야는 제임스웹 망원경 영상관측기기 시야의 약 1,000배에 달한다.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

Download (275 KB)

그림 7: 7차원 망원경이 촬영한 나선성운의 모습. 고해상도 및 저해상도 그리고 zoom-in 버전 제공 [필터 및 노출시간: 파랑: g(7,380초), 초록: g(7,380초), 빨강: m650(10,380초)]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임명신(서울대)]

Download [Medium resolution (3.9 MB), Low resolution (0.33 MB)]

Download Zoom-in version (1.9 MB)

그림 8(a-d): 7차원 망원경이 여러 색깔로 촬영한 나선성운의 모습(각 그림에 대한 설명과 여러 해상도 영상 다운로드 옵션은 아래 각 영상 상세 caption 참조). 12개 파장에서 촬영한 영상을 3개씩 묶어 4개의 컬러 영상으로 나타냈다. 어떤 파장으로 나선성운을 보느냐에 따라 나선성운이 매우 다채로운 모습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파장에서 천체를 살펴보면 천체를 이루는 천체를 이루는 구성 원소나 천체의 온도, 가스의 물리적 특성 등을 알 수 있다. 고해상도(700-990MB) 및 저해상도(lowres: 15-20MB) 버전 및 관측파장을 표시한 버전(+caption) 제공. 관측파장을 표시한 버전은 저해상도 2가지 버전(lowres: 15-20MB, lowestres: 1-2MB)만 제공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임명신(서울대)]

Figure 8a

Figure 8b

Figure 8c

Figure 8d

 그림 8-a: 370nm, 500nm, 650nm 파장 영상을 파랑, 초록, 빨강에 대응시켜 만든 컬러 이미지이다. 녹색(500nm)은 중앙에 있는 섭씨 120,000도로 온도가 매우 높은 별에서 오는 강한 자외선과 성운의 뜨거운 가스에 산소 원소가 반응할 때 발생하는 빛이다. 주변부의 빨간색 지역은 녹색 부분보다 조금 더 차가운 수소와 질소 원소에서 이루어진 가스가 내는 빛을 보여준다. [필터 및 노출시간: 파랑: u(370nm, 2,820초), 초록: m500(2,700초), 빨강: m650(10,380초)]

Without caption [Highest resolution tif (714.6 MB), Medium resolution (19.3 MB)]

With caption [Medium resolution (20.7 MB), Low resolution (1.3 MB)]

8-b: 400nm, 525nm, 및 675nm 파장 영상의 컬러 합성 이미지. 그림 6-a와는 달리 빨간색으로 표시된 675nm 파장에서만 황(S) 원소에서 나오는 빛이 보인다. [필터 및 노출시간: 파랑: m400(2,640초), 초록: m525(3,180초), 빨강: m675(2,580초)]

Without caption [Highest resolution tif (695.4 MB), Medium resolution (14.2 MB)]

With caption [Medium resolution (14 MB), Low resolution (0.99 MB)]

8-c: 425nm, 600nm, 및 700nm 파장 영상의 컬러 합성 이미지. 이 파장대에 빛나는 원소가 거의 없어서 매우 어두운 모양이나, 헬륨(He) 원소에서 나오는 빛이 희미하게나마 보인다. [필터 및 노출시간: 파랑: m425(3,120초), 초록: m600(2,880초), 빨강: m700(3,180초)]

Without caption [Highest resolution tif (990.3 MB), Medium resolution (14 MB)]

With caption [Medium resolution (13.9 MB), Low resolution (1 MB)]

8-d: 450nm, 625nm, 및 725nm 파장 영상의 컬러 합성 이미지. 녹색은 630 nm 근처에서 발생하는 산소 원소에 기인하는 빛을, 빨간색은 아르곤(Ar)에 의해 713.6nm에서 발생한 빛을 보여준다. [필터 및 노출시간: 파랑: m450(2,820초), 초록: m625(3,180초), 빨강: m725(2,820초)]

Without caption [Highest resolution tif (532.8 MB), Medium resolution (12.3 MB)]

With caption [Medium resolution (10.4 MB), Low resolution (0.96 MB)]

그림 9: 7차원 망원경이 촬영한 삼렬성운의 모습. 빨간색은 갓 태어난 별들의 강한 별빛을 받아 전리된 수소가 내는 색이며, 파란색은 가까운 성간운이 별빛을 반사하면서 나타나는 색이다. 빨강, 파랑 성운 속에 있는 밝은 점들은 갓 태어난 무거운 별들이다. [필터 및 노출시간: 파랑: g(900초), 녹색: r(900초), 빨강: m650(1,800초)]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백승학(서울대)]

Download [High Resolution (63 MB), Low Resolution (207 KB)]

그림 10: 7차원 망원경의 원리를 보여주는 그림. 20개 색깔(필터)로 NGC 253 은하를 순차적으로 관측할 때 나타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7차원 망원경은 이러한 다채로운 영상을 한번에 얻을 수 있다. 아래 그림은 각 중대역 필터의 감도를 파장별로 보여준다. [Credit: 서울대학교 중력파우주연구단/정만근(서울대)]

Download (12.5 MB)

□ Credits

  - 7DT 프로젝트 총괄 책임자: 임명신(서울대)

  - 7DT 프로젝트 매니저: 김지훈(서울대)

  - 데이터 베이스 관리 책임: 장서원(서울대)

  - 자료처리 및 분석: 백승학(서울대)

 - 7DT 관측 총괄: 최현호(서울대)

 - 7DT 자료 전송 담당: 문홍재(서울대)

 - 그리고 기타 7DT 멤버들

 - 칠레 엘사우스 천문대 현지 관리: ObsTech사

Updated on 2024-02-13 by M. Im (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