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Three-Dimensional Optical Engineering Laboratory!
Advisor: Prof. Jae-Hyeung Park
Welcome to Three-Dimensional Optical Engineering Laboratory!
Advisor: Prof. Jae-Hyeung Park
Research Topic
Focus cue support in AR/VR
Maxwellian / Vari-focal / Multi-focal / Light field / holography
Perceptual realism in AR/VR
Resolution / form factor / light efficiency / Eyebox / Occlusion
Holographic and Light-field Displays,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 Deep learning holography
Advanced CGH algorithms, acceleration techniques,
dedicated hardware solutions, and perceptual quality evaluation
Optica Imaging Congress 2025, Digital Holography and 3-D Imaging(DH) 참석, 2025년 8월.
posted on : 2025.08.26
제 15회 International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IMID) 참석, 2025년 8월.
posted on : 2025.08.26
한웅섭, 김민성, 삼일문화재단 장학생 선정 - 1년 (2025년도 2학기, 2026년도 1학기), 등록금 전액, 2025 8월.
posted on : 2025.08.14
신민재, 한국광학회 2025년도 하계 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 수상, 2025년 7월.
posted on : 2025.08.05
한웅섭, 2025 율촌 AI 장학생 선발, 2025년 8월.
posted on : 2025.08.01
Optics & Photonics Congress 2025 (OPC 2025) 참석, 2025년 7월.
posted on : 2025.07.09
[2025.03~2027.08], BK21 FOUR (정보기술 미래인재 교육연구단)
우리 연구실은 BK21 FOUR (정보기술 미래인재 교육연구단,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참여 연구실입니다.
[2024.07~2027.12], 수렴초점불일치 해결을 위한 XR 디스플레이 평가 방법 기술 개발, KETI
VAC 저감을 위한 XR 디스플레이의 가상 초점면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동시에 디바이스의 시야각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2024.07~2027.12], 복합소재 문화유산 고품질 복원을 위한 디지털 문화유산 획득용 광학기술 및 공유 플랫폼 기술 개발, 문화체육관광부
복합소재로 구성된 문화 유산의 3차원 형상 및 색감 / 질감 비접촉 측정 및 복원 기술을 개발합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려대학교, 경북대학교, ㈜포스트미디어, ㈜프리다츠와 함께 수행하며, 우리 연구실은 홀로그래픽 현미경 및 타이코그래피 현미경으로 측정된 문화재 표면 반사광의 진폭 및 위상 분포를 mesh 기반 3차원 형상으로 재구성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2024.04~2028.12], Near-display processing (NDP) 기반의 테라급 라이트 필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연구재단, 미래디스플레이 전략연구실지원사업
초고속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라이트필드 실시간 압축, 시공간 라이트필드 예측 Sparse-to-Dense 렌더링,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광학을 결합하여 1Tb/s 급의 라이트필드 경험을 제공하는 저지연 고해상도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현 기술을 연구합니다. 우리 연구실은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광학 파트를 담당합니다.
[2024.04~2028.12], 차세대 안경형 XR 기기용 경박단소 기하위상변조 메타렌즈의 초점가변 색수차 해소기술 및 고효율화/대구경화 원천기술 개발, 연구재단, 미래디스플레이 전략연구실지원사업
시각적 피로 없는 컴팩트 안경형 XR Glass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하위상변조 메타렌즈 소재/설계/제작/공정 기술과 그 응용 Glass 디스플레이 시스템 기술을 연구합니다. 우리 연구실은 메타렌즈를 활용한 XR Glass 디스플레이 시스템 기술 개발을 담당합니다.
[2024.03~2027.02], VAC 개선을 위한 Maxwellian view 광학 시스템 연구, 삼성디스플레이
VAC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를 저감 시키기 위한 Maxwellian VR 안경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합니다.
[2022.06~2025.05], 무인이동체용 고속스위칭 가변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2D/3D 공간정보 동시획득 기술 개발, 민군협력진흥원
초소형 무인이동체 적용을 위한 고속스위칭 가변 마이크로렌즈어레이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2D 및 3D 공간정보 동영상의 동시획득이 가능한 초소형/초경량 형태의 플렌옵틱 이미징 모듈 및 관련 영상신호처리 기술을 개발합니다. 한국광기술원, 경북대학교, 구미전자정보기술원, 파란텍, 호그린에어와 함께 수행하며, 우리 연구실은 고해상도 2D 영상 기반 3D 영상정보 해상도 향상 기술 개발을 담당합니다.
[2022.03~2027.02], 실사 객체 폐색 가능한 홀로그래픽 증강현실 3D 근안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연구재단 중견연구 과제
Optical-See-Through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자 앞의 실사 물체를 표시되는 가상 영상이 가릴 수 있는 홀로그래픽 3D 증강현실 근안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합니다.
[2022.01~2028.12], 홀로그램 영상 서비스를 위한 Holo-TV 핵심 기술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연광 기반 홀로그램 직접 획득, 동영상 홀로그램 압축, 초고해상도 홀로그램을 실시간 렌더링하는 Holo-TV 핵심 기술을 개발합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희대학교, 경북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와 함께 수행하며, 우리 연구실은 획득한 홀로그램의 노이즈 원인 분석 및 복원 품질 향상 기법의 개발을 담당합니다.
SEOUL NATIONAL UNIVERSITY
Address: 1, Gwanak-ro, Gwanak-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 +82-02-880-5114
Fax: +82-02-885-5272
LABORATORY INFORMATION
Professor’s Office: SNU College of Engineering 301 Building 1106, Seoul National University.
Email: jaehyeung@snu.ac.kr
Lab/Research area: SNU College of Engineering 301 Building 1152-2,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