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1이라고 한다면
수성 0.3
금성 0.7
지구 1.0
화성 1.5
목성 5.2
토성 9.6
천왕성 19.1
해왕성 30.0
쉽게 이야기 해서
태양와 해와성 사이의 거리 = 태양와 지구 사기의 거리 × 30배!
별 :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나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해요 ㅠㅠ 지구가 빛을 내는 것은 오로지 태양 덕분입니다. 태양의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빛이 나는 것처럼 보이는 거랍니다.
별자리 : 별을 연결해 사람이나 동물 또는 물건의 모습으로 떠올리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런 것들을 별자리라고 합니다. 사실.... 별자리를 이은 것만 본다면 '이게 무슨 큰곰 모양이야.'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다 옛날사람들이 재미를 위해 붙은 이야기니까 재미로 생각하면 되겠어요~
중요한 내용은 밑줄을 긋고 필요한 내용을 교과서에 적으면서 영상을 시청하도록 합니다.
교과서에 나와있는 별자리 중에서 그리스 로마 이야기에 나와 있는 큰곰, 작은 곰자리 이야기와 카시오페이아 자리 이야기입니다.
이야기를 기억한다면 별자리를 더욱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겠죠?
별자리 이야기 영상을 보고 교과서 60쪽의 빈 공간에 정리하여 적어봅시다.
신기하게도 카시오페이아자리와 북두칠성을 활용하면 밤하늘에서 대략적으로 북극성의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런 북극성은 여러 가지 도움이 되는 소중한 별입니다.
과거에는 방향을 알기 쉽지 않아서 사람들이 북극성을 활용하여 북쪽의 방향을 찾기도 했습니다.
그럼 북극성에 대한 알면 신기하지만 외울 필요는 없는 재미있는 사실들을 살펴봅시다.
그렇다면 이런 북극성을 어떻게 하면 쉽게 찾을 수 있을지 실제로 그림으로 알아보고
여러분들이 가지고 있는 실험관찰의 31쪽 그림에 직접 그려보면서 찾아봅시다.
실험관찰 30쪽 생각해볼까요 에서 나만의 별자리를 만들어보자는 활동이 있는데
이 활동은 바로 옆인 31쪽 밤하늘 그림을 활용하여 표현해봅시다.
원래 별자리는 계절마다 다른 별자리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북쪽하늘의 별자리는 1년 365일 언제나 관측이 가능하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1년 내내 볼 수 있는 북쪽하늘의 별자리 관련 내용을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