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기반 그린 바이오 환경제어 센서
스마트팜 기반 그린 바이오 환경제어 센서
외부 생육환경을 적용한 실내 스마트팜 시스템
Innovative farming의 필요성
식량난 극복
: 기후변화에 대응한 식량난 극복/기아 지역에 스마트팜 단지를 개척함으로써 낙후지역 발전 도모(농작물의 상태를 과학적으로 관리, 비료와 농약을 적게 투입해 인체 안전성, 환경보호에도 일조)
재배환경의 제한성 극복
: ICT 융복합 시설/장비 통해 재배 작물 최적 생육환경 유지 및 관리하여 사계절 내내 생산률 확보
농업의 활성화에 기여
: 기존의 전통적 농업과 차별화된 점으로 외부 데이터 저장소 정보를 실시간으로 활용하도록 구현
범지구적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
: 재생에너지 시스템으로 탄소 배출과 시설 가동률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
스마트팜 시스템 전체 구성 개략도
내, 외부 센서로 생육환경 정보 및 생육에 필요한 정보(온/습도, CO2, 풍속, 토양수분, 양액(양액 농도 EC4, 산도 Ph), 수분(배지), 강우, 일사량 등)를 센싱&수집하고 빅데이터화
생육환경 및 생육정보를 최적화 한 후 외부 데이터 저장소에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 (실시간 생장 환경 모니터링과 시설물 제어, 환경 생육 정보 DB 분석 시스템)
실내 스마트팜 시스템에서 시설별 통합 제어 시스템을 구축 (환풍기, 난방, 에너지 절감시설, 천창, 유동 팬, 측창, 차광 커튼, 보온 커튼, 온수/난방수 조절, 모터제어, 양액기 제어, LED 등)
스마트팜 전체 시스템 개략도
표고버섯
청경채
상추
미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