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입매출전표 주의할 점(통장정리를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
외상 처리 및 거래처코드
매입매출은 외상처리 한다.
매입 : 유가증권 매입,차량운반구 매입, 카드 미지급금은 "미지급금", 나머지 매입은 "외상매입금"
매출 : 유가증권 매각, 차량운반구 매각, 카드 미수금은 "미수금", 나머지 매출은 "외상매출금"
급여 : 미지급비용(월급여,일용직,사업소득,기타소득)
복잡분개 하지 말자
하단분개를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분개를 하지 말자. 그런 사항은 별도의 전표로 분리해서 처리한다.
복잡분개의 사례를 들면 ...
외상매입금을 현금처리하거나,
끝전을 잡손익처리 하거나,
상계처리를 미리 하거나,
수입세금계산서의 경우 통관내역을 추가로 입력하는 경우,
체크카드의 경우 미지급금 대신에 보통예금으로 변경하는 경우
수정하는 시간이 많이 들어가고 통장정리를 복잡하게 만든다.
경비는 미지급금으로 바꾸지 말자
미지급금으로 수정하는 수고를 하지 말자. 본인 말고는 대부분 사람들은 관심이 없다.
고정자산 매입등 일반적 상거래가 아닌 것만
미지급금으로 설정하고
나머지는 자동분개 되었던 외상매입금 그대로 둔다.
중소기업회계기준해설
<유동부채의 예>
미지급금: 일반적 상거래 외의 거래(예: 유형자산․유가증권 구입)에서 발생한 채무(미지급비용 제외)를 말한다
깔끔한 결제수단 : 통장정리 수월...(권장)
체크카드통합 거래처등록
체크카드 통장정리
상계전표 전 미지급금
부가세 신고,통장정리,결산 순서에 따라 간단하게 요약 설명
매입카드(매입담당) : 카드번호별 미지급금으로 자동분개 된다.주로 부가세 신고할 때 이 작업을 한다.
통장출금(자금담당) :
통장에 표시된 체크카드 결제 내역을 찾아서 '체크카드통합' 거래처 코드를 걸고 '미지급금'으로 처리한다.
카드취소로 인한 환불입금도 '체크카드통합' 거래처 코드를 걸고 '미지급금'으로 처리한다.
통장 담당은 매일 이 작업을 한다.
상계전표(결산담당) : 월별 또는 분기별로 상계전표를 만들어 입력한다.
상계전표는
'차변에 카드번호별/미지급금,
대변에 체크카드통합/미지급금'으로 한다.
그 결과,
부가세신고 할 때 만들어진 카드번호별 미지급금 잔액은 없어지고
체크카드통합 미지급금 잔액만 남게 된다.
체크카드통합 미지급금 잔액이 '영'으로 떨어져야 하나, 카드취소로 인한 환불이 늦어지면 잔액이 '음수'가 표시될 수도 있다.
체크카드와 비슷한 방법으로 정리 한다.
카드번호가 여러개인 경우 카드사별통합코드를 만든다.
결산후 부속명세서의 잔액명세는 카드사별로 미지급금 잔액이 표시되어야 한다.
부가세신고 할 때는 자동분개 그대로 둔다.
카드사번호별로 구분해서 미지급금이 만들어진다.
통장정리 할 때는 카드사별통합코드를 걸어준다.
카드사별로 한달에 한번씩 카드대금이 결제된다.
월별,분기별로 상계전표를 만든다.
상계전표는
차변에 '카드번호별코드/미지급금' ,
대변에 '카드사별통합코드/미지급금'으로 표시한다.
결국 카드사별잔액은 "우리카드통합"과 같은 카드사별통합코드 잔액이 마감후 거래처별 잔액이 된다.
통장대체(가상계좌) 거래처등록
‘통장대체(가상계좌)’ 사용방법
통장대체(가상계좌)’는 입금과 출금이 항상 일치하고 잔액은 ‘0’이어야 한다.(아래 화면)
CMS계좌 거래처등록
통장처럼 CMS 붙여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