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머신러닝 교육 온라인 지원 도구 입니다.
*웹페이지 소개 : 사용자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머신러닝 교육 온라인 지원 도구 입니다.
[학습 순서] 1.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 2. 데이터와 머신러닝 -> 3. 머신러닝 알고리즘 -> 4. 도서를 통한 문제 인식 -> 5. 해결방안 탐색 및 선정 -> 6. 머신러닝을 활용한 문제해결 -> 7. 문제해결 결과 공유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머신러닝 교육 온라인 지원 도구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t200@seoil.sen.ms.kr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학습자용) 활용 지침 : 온라인 지원 도구를 활용할 때 아래의 사항을 확인합시다.
(1) 문의하기 기능 활용하기 : 온라인 지원 도구의 각 페이지 아래쪽에는 온라인 지원 도구에 대한 문의 사항을 질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문의가 있을 경우, t200@seoil.sen.ms.kr 으로 문의하도록 합시다.
(2) 노벨 엔지니어링은 무엇일까? : 노벨 엔지니어링은 소설 및 독서를 의미하는 노벨(Novel)과 공학적인 문제해결을 의미하는 엔지니어링(Engineering)을 강조하는 수업 입니다. 아래에 제시된 노벨 엔지니어링 수업 단계에 관련 자료를 확인해보도록 합시다.
(3) 머신러닝 알고리즘 : 머신러닝은 지도학습, 비지도 학습, 강화학습으로 구분합니다. 그 중에서 중학생의 입장에서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지도학습과 비지도 학습에 해당합니다. 특히, 지도학습 중에서 어떠한 부분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선형회귀 알고리즘이 많이 활용됩니다.
[교수자용] 활용 지침 : 온라인 지원 도구 활용 수업 시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1] 데이터 리터러시 : 데이터 리터러시는 아직 한 가지의 정해진 정의가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온라인 지원 도구를 활용하여서 수업을 진행하실 때, 데이터 리터러시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길러질 수 있도록 고려해 주시는 부분이 필요합니다.
[2] 노벨 엔지니어링 : 노벨 엔지니어링은 아래 그림으로 제시된 "노벨 엔지니어링 단계"와 같이 도서를 선정하는 부분부터 문제 해결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수업 모델 입니다. 온라인 지원 도구를 활용하여서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머신러닝 교육을 진행하는 부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3] 온라인 지원 도구 활용 수업 예시 차시 : 아래 사진과 같이 온라인 지원 도구를 활용하여서 수업을 진행하실 경우, 예시와 같이 대략적으로 10차시 수업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본 온라인 지원 도구는 노벨 엔지니어링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학습자가 독서 활동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수업 활용 기간을 충분하게 설정하는 부분을 권장 드립니다.(아래의 예시는 블럭타임(2차시) 수업을 매주 실시하였을 경우의 예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