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Self-introduction (자기소개)
Who?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Communication from University of Pennsylvania in 2011. His dissertation, titled The Impact of Deliberation on Social and Semantic Networks: Citizens’ Mental Models of Bioethical Issues in Genetics Using Automated Textual Analysis (Supervised by Dr. Joseph N. Cappella), investigates the impact of online discussions on small group networks and their opinion operationalized as textual networks of main themes. Young Min Baek received his B.S. degree in the same major from Yonsei University in 2002, and M.A.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Iowa State University in 2005 and 2006, respectively.
단행본(Books): 제가 서술한 도서들의 예시데이터와 R코드는 아래의 "Data & R Codes"를 누르시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출판사 홈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 가능).
저술
B15) 백영민 (2024). 《R을 이용한 실험데이터분석》. 서울: 한나래
B8b) 백영민 (2023). 《R기반 데이터과학: tidyverse 접근(개정판)》. 서울: 한나래.
B14) 백영민 (2023). 《R기반 네트워크 분석: ERGM과 SIENA》. 서울: 한나래
B13) 백영민·박인서 (2022). 《R기반 복합설문 데이터 분석》. 서울: 한나래. [*202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B12) 백영민·박인서 (2021). 《R을 이용한 결측데이터 분석: 최대우도(maximum likelihood) 및 다중투입(multiple imputation) 기법을 중심으로》. 서울: 한나래. [*2022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B11) 백영민·박인서 (2021). 《R기반 성향점수분석: 루빈 인과모형 기반 인과추론》. 서울: 한나래.
B6b) 백영민 (2020).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개정판)》. 파주: 한울.
B10) 백영민 (2019). 《R기반 제한적 종속변수 대상 회귀모형》. 서울: 한나래.
B9) 백영민 (2018). 《방법론적 사유: 방법론적 사유: 입말로 풀어쓴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한나래. [example.csv]
B8) 백영민 (2018, 2023). 《R기반 데이터과학: tidyverse 접근》. 서울: 한나래. [*2018년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표창]
2018년 제1판 1쇄
2023년 제2판 1쇄
B7) 백영민 (2018). 《R을 이용한 다층모형》. 서울: 한나래.
B6a) 백영민 (2017, 2018, 2019).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파주: 한울.
2017년 8월 제1판 1쇄
2018년 6월 제1판 2쇄
2019년 8월 제1판 3쇄
B5) 백영민 (2017). 《R를이용한 사회과학데이터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B4) 김영석·김경모·백영민 (2017). 《사회과학조사방법》. 파주: 나남.
B3) 김영석·백영민·김경모 (2017). 《SPSS 명령문을 활용한 사회과학 통계방법》. 파주: 나남.
B2) 백영민 (2016). 《R을 이용한 사회과학데이터 분석: 응용편》.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 가급적 최근의 R사용방식에 대해 설명하는 《R기반 데이터과학: tidyverse 접근》을 보실 것을 권합니다.
B1) 백영민 (2015). 《R을 이용한 사회과학데이터 분석: 기초편》.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 가급적 최근의 R사용방식에 대해 설명하는 《R기반 데이터과학: tidyverse 접근》을 보실 것을 권합니다.
번역
T8) Napoli, P. M. (2019). Social media and the public interest: Media regulation in the disinformation age. 백영민 역(2022). 《소셜미디어와 공익: 가짜뉴스 시대 미디어 정책》 한나래.
T7) Katz, E. & Lazarsfeld, P. F. (1955). Personal Influence: The part played by people in the flow of mass communications. 백영민·김현석 역(2020). 《퍼스널 인플루언스 매스 커뮤니케이션 흐름에서 인간의 역할》. 한나래. [*202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T6) Taggart, P. (2000). Populism. Open University Press. 백영민 역(2017). 《포퓰리즘: 기원과 사례, 그리고 대의민주주의와의 관계》. 파주: 한울
T5) Webster, J. G. (2014). The Marketplace of Attention: How Audiences Take Shape in a Digital Age. MIT Press. 백영민 역(2016) 《관심의 시장: 디지털 시대 수용자의 형성》.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T4) Shannon, C E. & Weav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백영민 역(2016) 《수학적 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T3) Mosco, V. (2014). To the Cloud: Big data in a Turbulent World. Paradigm Publishers. 백영민 역(2015) 《클라우드와 빅데이터의 정치경제학》.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T2) Lazarsfeld, P. F., Berelson, B., & Gaudet, H. (1944/1948/1968). People's Choice: How The Voter Makes Up His Mind in a Presidential Campaign. 백영민 역 (2015)《국민의 선택: 대통령 선거캠페인기간 유권자는 어떻게 지지후보를 결정하는가?》.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T1) Napoli, P. M. (2011). Audience evolution: New technolog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media audiences. 백영민·오현경·강남준 역 (2013).《수용자 진화: 신기술과 미디어 수용자의 변화》. 서울: 나남.
단행본 장(章)(Book Chapters)
백영민 (2024). 소통학연구의 설계, 측정, 그리고 분석기법. 이준웅·백혜진·정성은 편.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지평 》 (57~99쪽) 서울: 나.
백영민·김희정·한규섭·장슬기·김영석 (2020). 정치적 이념성향에 다른 정파적 신문노출: 여론지도층으로서의 칼럼기고자와 일반대중 비교연구. 지병근·윤광일 편. 《여론과 정치 》 (123~163쪽) 서울: 박영사.
* 이 글은 《한국언론학보》 제60권 1호(2016)에 출간동일저자들의 동일제목으로 기출간된 바 있음.
백영민 (2017). 전통적 내용분석과 컴퓨터 기반 텍스트 분석: 토픽모형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331-377쪽). 한국언론학회 편 《데이터시대 언론학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etersen, T., Jackob, N., Roessing, T., & Baek, Y. M. (2017). Der Einfluss der Nutzung sozialer Netzwerke aud die Wahrnehmung des Meinungsklimas. In Janura, O., Wendelin, M., Adolf, M., & Wimmer, J. (Eds.), Zwischen Integration und Diversifikation (pp. 229-244). Wiesbaden, Deutschland: Springer.
백영민 (2012). 데이터마이닝 기반 시청률 예측모형 (183~205쪽). 한국언론학회 편 《융합과 통섭, 다중매체환경에서의 언론학 연구방법》 서울: 나남.
백영민 (2012). 성장모형 (395~422쪽). 한국언론학회 편 《융합과 통섭, 다중매체환경에서의 언론학 연구방법》 서울: 나남
신문열독률 모형관련 데이터 [여기를 누르세요]
신문열독률 모형관련 STATA 명령문 [여기를 누르세요]
인터넷이용자 성장모형 데이터 [여기를 누르세요]
인터넷이용자 성장모형 R 명령문 [여기를 누르세요]
인터넷이용자 성장모형 Mplus 명령문/결과 [여기를 누르세요]
Peer-reviewed Journals (학술논문)
Yonsei Faculty Information: http://ee.yonsei.ac.kr/faculty/member.do?mode=view&userId=pQXSuj%2FBDWN176s3YgiWbA%3D%3D
한국어 논문집(Research Paper Written in Korean)
K48) 박창현·백영민 (2025). 후보자의 표정과 유권자의 마음: 기계학습 기반 이미지 알고리즘을 활용한 후보자 선거포스터 정서분석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 62권 1호. 1-26. https://doi.org/10.22174/jcr.2025.62.1.1
K47) 장경은·백영민 (2024). 팬데믹 기간 코로나19 관련 허위정보는 어떻게 건강을 위협하는가?패널데이터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 68권 4호. 5-30. https://doi.org/10.20879/kjjcs.2024.68.4.001
K46) 백영민 (2024). 외신보도노출은 어떻게 한국인의 국가자부심을 고양시키는가? : 한국에 대한 해외관심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73호. 91-129.
K45) 백영민 (2024).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감정변화와 방역정책 의견변화의 안정성과 변동성: 경험표집기법(experience sampling method)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61권2호. 5-56. https://doi.org/10.22174/jcr.2024.61.2.5
K44) 이지원·백영민 (2024). 유튜브 동영상의 부적절한 언어사용이 동영상 성과지표에 미치는 효과: 비속어·욕설 등장여부 및 빈도와 조회수 및 좋아요수의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4권 1호. 98-146. https://doi.org/10.14696/jcs.2024.03.24.1.98
K43) 강현희·백영민 (2023). 해석 수준 이론을 적용한 사회적기업 관련 메시지 구성 전략.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16권 1호. 3-41.
K42) 장경은·백영민 (2023). 코로나19 백신접종 수용집단, 주저집단, 거부집단 분석: 인구통계학적 배경, 정치성향, 코로나19 관련 인식, 사회 신뢰, 커뮤니케이션 행동 변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4권 2호. 23-54.
K41) 강현희·백영민 (2022). 구조적 토픽 모형을 활용한 사회적기업 관련 담론 분석.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15권 2호. 169-206.
K40) 장경은·백영민 (2022). 코로나19 장기화와 정치적 양극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등장과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2권 3호. 201-240.
K39) 장경은·김선호·백영민 (2022). 선거여론조사 응답자는 어떤 시민인가? 정치참여로서의 선거여론조사 응답과 여론조사의 대표성 위기. 《조사연구》 23권 3호. 29-64.
K38) 장경은·백영민 (2022). 공중보건인가, 시민권인가: 개인적·사회적 방역지침 준수인식과 코로나19 방역정책 평가. 《언론정보연구》 59권 3호. 98-147.
K37) 서유지·홍민정·백영민·김현석 (2022). 한국어판 도덕기반사전 제작 및 활용: 국내 5개 언론사 사설의 도덕기반 분석. 《언론정보연구》 59권 2호. 49-102.
K36) 박인서·백영민 (2021). 어린이 미디어 이용에 관한 부모 중재효과 연구: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한 복합설문분석. 《한국언론학보》, 제65권 6호. 5-46. doi.org/10.20879/kjjcs.2021.65.6.001 [KCI, corresponding author]
K35) 박인서·백영민 (2021). 선거기간 설문조사의 응답률 변화 연구: 설문응답 모형 및 설문조사방식을 기반으로. 《언론정보연구》, 제58권 3호. 5-45. [KCI, corresponding author] https://doi.org10.22174/jcr.2021.58.3.5 [KCI, corresponding author]
K34) 백영민·강현희 (2021). 담론적 제도주의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 이론 및 연구방법론의 함의.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17권 2호. 5-47. https://doi.org/10.20879/ct.2021.17.2.005 [K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K33) 박인서·백영민 (2020). 생태학적 추론(ecological inference, EI) 모형을 활용한 사전투표제 도입에 따른 국회의원선거의 투표참여방식 변화 연구. 《한국정당학회보》, 제19권 3호. 39-72. [KCI, corresponding author]
K32) 백영민·안수찬·김위근 (2019). 언론수용자의 언론인 접촉경험과 언론신뢰: 언론인접촉-언론신뢰 가설에 대한 실증 테스트. 《한국언론학보》, 제63권 5호. 119-151.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5.004 [KCI, main author]
K31) 김경운·박현호·백영민 (2019).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이 잠재적 범죄자의 범죄 실행의지와 상황적 기회요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찰학연구 》, 19(1). 1-34. [KCI, co-author]
K30) 노준형·백영민 (2019). 기업 루머 이슈에서 등장하는 토픽변화 및 위기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담론경쟁: 토픽모델링 접근. 《광고홍보학보 》, 21(1). 145-187. [KCI, co-author]
K29) 주은혜·백영민 (2018). 미투운동은 누구에게 어떤 과정을 통해 지지받는가? 미디어의 동원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2(6). 37-65. [KCI, corresponding author]
K28) 이혜선·백영민 (2018). 라이프스타일은 누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 인구통계학적 집단별 라이프스타일이 방송클립영상시청에 미치는 효과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3). 115-160. [KCI, corresponding author]
K27) 백영민·김경운·박현호 (2018).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이 치안환경 인식개선에 미치는 효과- CCTV 설치알림판 부착전․후 거주민의 치안환경 인식 비교 . 《치안정책연구》, 32(2). 181-218. [KCI, main author]
K26) 백영민·김경운·박현호 (2018). CCTV 설치현황에 대한 인식과 CCTV 치안효과 인식이 거주민의 체감안전도에 미치는 효과. 《경찰학연구》, 18(3). 9-34. [KCI, main author]
K25) 백영민·박미사 (2018). 데이터 과학시대 텍스트 데이터 분석기법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제도화를 위한 제언: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차원축소 기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9(1). 188-209. [KCI, main and corresponding author]
K24) 김희정·백영민 (2018). 당신의 선택이 확실합니까? 정치성향테스트가 이용자의 정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1). 111-152. [KCI, corresponding author]
K23) 김선호·백영민 (2018). 19대 대선 기간 후보자 간 의혹제기에 대한 팩트체크 뉴스의 설득효과: 팩트체크 뉴스 판정결과와 지지후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55(1). 161-194. [KCI, corresponding author] [*2019 한국갤럽학술상]
K22) 백영민·김선호 (2017). 팩트체크 뉴스 노출, 영향력 인식, 공유 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61(6). 117-146.[KCI, main author]
K21) 김동준·백영민 (2017). 반대기업정서의 부정적 효과와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기업위기상황과 사과주체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10(4). 15-41.[KCI, corresponding author]
K20) 김예란·김용찬·채영길·백영민·김유정 (2017). 공동체는 발명되어야 한다: 서울시 마을미디어 형성과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81, 40-74. [연구재단등재지, 공동저자]
K19) 백영민·이상엽·유경한 (2016). 위기의 순간인가, 기회의 순간인가? 언론학 교육과정 개선의 성공을 위한 시론. 《사이버커뮤니케이션》, 33(4), 317-349. [연구재단등재지, 주저자·교신저자]
K18) 백영민 (2016).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본 포퓰리즘의 등장과 대의민주주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 12(4), 5-56. [연구재단등재지, 단일저자]
K17) 채영길·김용찬·백영민·김예란·김유정 (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커뮤니케이션 이론》, 12(2), 4-46. [연구재단등재지, 공동저자]
K16) 주형욱·백영민 (2016). 기업의 공익연계 마케팅에서 기업-공익 적합도는 언제, 어떻게 긍정적 소비자 태도로 이어지는가? 공익연계 TV광고 메시지에 대한 소비자 귀인의 매개효과와 기업 CSR 평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20(3), 1-32. [연구재단등재지, 교신저자]
K15) 백영민·김용찬·채영길·김유정·김예란 (2016). 시민들의 가치지향, 정치적 이념성향, 그리고 마을 공동체 활동 참여의 관계: 서울시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7(1) 225~248 쪽 [연구재단등재지, 주저자]
K14) 장경은·백영민 (2016).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건강통제영역 인식성향이 메르스 피해관련 책임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3), 36-65 [연구재단등재지, 교신저자]
K13) 홍자경·백영민 (2016). 시청자의 가구형태는 음식프로그램 시청효과 발생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조절된 매개과정 모형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2), 127~153쪽 [연구재단등재지, 교신저자]
K12) 백영민·김희정·한규섭·장슬기·김영석 (2016).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른 정파적 신문 노출:여론지도층으로서의 칼럼기고자와 일반 대중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보》, 60(1), 99~132쪽 [연구재단등재지, 주저자]
K11) 권영학·김용찬·백영민 (2014). TV 건강프로그램 시청경험은 어떻게 건강증진행동으로 이어지는가? 건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4), 350-370. [연구재단등재지, 교신저자]
K10) 정일권·김은미·백영민 (2014). 인터넷 이용과 커뮤니케이션 규범 변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8(3), 284-313 [연구재단등재지, 공동저자]
K9) 조윤경·백영민·김반야 (2014). SNS 관계망에서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사회적 지지감을 형성시키는가? 관계망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2(2). 5-31 [연구재단등재지, 교신저자]
K8) 백영민·최문호·장지연 (2014). 한미 정권교체에 따른 주한 미대사관 외교문서의 주제와 감정표현 변화: 위키리크스 공개 외교전문의 컴퓨터 언어처리 분석. 《언론정보연구》. 51(1). 133-179. [연구재단등재지, 주저자/교신저자]
K7) 장윤남·김영석·백영민 (2013). 트위터 공간에서의 허위합의지각: 네트워크 동질성(network homogeneity)과 이념강도(ideological intensity)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5). 271-296. [연구재단등재지, 교신저자]
K6) 백영민·조윤경·노경래·이원혜 (2013). 공직자의 말과 민주주의: 인사청문회에서 후보자 해명방식의 정치적 효과. 《한국언론학보》. 57(4), 192-217. [연구재단등재지, 주저자&교신저자]
K5) 백영민·김은미·이준웅 (2012). 자기응답방식에서 나타나는 인터넷이용시간 과도응답과 그 원인: 인터넷 연구의 가설검증시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6(2), 124-144. [연구재단등재지, 주저자&교신저자]
K4) 지숙영·이중식·김은미·백영민 (2012). 한국의 공연문화 소비 지형의 기술: 개인의 온라인 티켓 구매 기록 분석. 《藝術經營硏究》. 제 20집. 209-231. [연구재단등재지, 공동저자]
K3) 백영민·윤석민 (2005). 지상파 방송사내 부서별 하위문화의 차이: MBC를 대상으로. 《韓國言論學報》49(3), 129-152. [연구재단등재지,주저자]
K2) 윤석민·백영민(2005). 커뮤니케이션 정책 연구의 현황과 과제.《커뮤니케이션理論》1(1), 191-226. [연구재단등재지,공동저자]
K1) 강남준·백영민 (2004). 대안적 여론조사의 표본편파(Sample Bias) 문제점과 가중치를 사용한 보정방법: 성향점수 가중과 반복비례 가중을 중심으로. 《言論情報硏究》41(2), 43-78. [연구재단등재지, 공동저자]
영어 논문(Research Paper written in English)
E48) Jang, K. & Baek, Y. M. (Accepted for publication). Learning from YouTube? The role of exposure to partisan YouTube channels and news literacy in political learning during the South Korean General Election Campaig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Politics. https://doi.org/10.1080/19331681.2024.2414007 [SSCI, corresponding author]
E47) Jang, K. & Baek, Y. M. (2025). The higher the news literacy, the wider the partisan gap on misinformation acceptance?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news literacy, partisanship, and exposure to partisan YouTube channels on misinformation acceptance. New Media and Society, 27(3), 1299-1317. https://doi.org/10.1177/14614448231191142 [SSCI, corresponding author]
E46) Baek, Y. M., Ihm, J. & Kang, C. (2023). Does mission concreteness make a difference in nonprofit performance?: Automated text analysis approach to the importance of concrete mission statements. Nonprofit Management & Leadership. 34(2), 409-431. https://doi.org/10.1002/nml.21570 [SSCI, main-author]
E45) Choi, J., Park, R., Baek, Y. M., & Lee, J. (2023). Unraveling the thought probes of US Legislators on trade negotiations: Sentiment analysis of the 108th and 112th US Congressional speeches. Pacific Focus, 38(1), 83–104. https://doi.org/10.1111/pafo.12220 [SSCI, Co-author]
E44) Kim, H. J., Kang, C., & Baek, Y. M. (2022). Thematic trends and changes in the Journal of Human Service Organizations: Management, Leadership, and Governance. Human Service Organizations: Management, Leadership, & Governance. 46(1), 11-35. https://doi.org/10.1080/23303131.2021.1980476 [SSCI, Co-author]
E43) Kang, C. H., Baek, Y. M., & Kim, E. H.-J. (2022). Half a Century of NVSQ: Thematic Stability Across Years and Editors.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51(3), 658-679. https://doi.org/10.1177/08997640211017676 [SSCI, Co-author]
E42) Park, R. & Baek, Y. M. (2021). Talking About What Would Happen Versus What Happened: Tracking Congressional Speeches during COVID-19. Journal of Social and Political Psychology. 9(2), 608-622. https://doi.org/10.5964/jspp.6153 [SSCI, Corresponding author]
E41) Baek, Y. M. (2021). Journalistic values in modern democracy: Balancing power between constitutionalism and populism.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18(1), 8-21. https://doi.org/10.20879/acr.2021.18.1.8 [KCI, single author]
E40) Ihm, J., & Baek, Y. M. (2021). Why do participants in voluntary organizations leav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congruence and length of stay. Nonprofit Management & Leadership. 31(3), 505-524. https://doi.org/10.1002/nml.21442 [SSCI, Corresponding author]
E39) Baek, Y. M. & Ihm, S. (2021). Word Use as an Unobtrusive Predictor of Early Departure From Organizations.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40(2), 238-259. https://doi.org/10.1177/0261927X20944543 [SSCI, Lead author]
E38) Park, M., Yoo, S. W., & Baek, Y. M. (2020). Perception of Feminists and the #Metoo Movement: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Subtle and Implicit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17(2). 10-40. [KCI, corresponding author]
E37) Lee-Won, R. J. Joo, Y. K., Baek, Y. M., Hu, D., & Park, S. G. (2020). “Obsessed with retouching your selfies? Check your mindset!”: Female Instagram users with a fixed mindset are at greater risk of disordered eat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7, 110223. https://doi.org/10.1016/j.paid.2020.110223 [SSCI, co-author]
E36) Coduto, K. D., Lee-Won, R. J., & Baek, Y. M. (2020). Swiping for trouble: Problematic dating application use among psychosocially distraught individuals and the paths to negative outcom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7(1), 212-232. https://doi.org/10.1177/0265407519861153. [SSCI, co-author]
E35) Lim, C. Y., Park, M. ,& Baek, Y. M. (2019). Discovering Research Topics in the Communication Field from 1997 to 2017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12(1). 21-64. https://doi.org/10.20879/acr.2019.16.1.21 [KCI, corresponding author]
E34) Baek, Y. M., Kang, H., Kim, S. (2019). Fake News Should Be Regulated Because It Influences Both “Others” and “Me”: How and Why the Influence of Presumed Influence Model Should be Extended. Mass Communication & Society. 22(3), 301-323 https://doi.org/10.1080/15205436.2018.1562076 [SSCI, main & corresponding author]
E33) Park, S. Y. & Baek, Y. M. (2019). Citizens' Ambivalence Toward Female Politicians: Why Ambivalence Matters For Gender Equality in a Democracy. Journal of Women, Politics & Policy. 40(2), 309-329. https://doi.org/10.1080/1554477X.2019.1583031[SSCI, corresponding author]
E32) Jang, K. & Baek, Y. M. (2019). When Information from Public Health Officials Is Untrustworthy: The Use of Online News, Interpersonal Networks, and Social Media during the MERS Outbreak in South Korea. Health Communication. 34(9), 991-998 https://doi.org/10.1080/10410236.2018.1449552 [SSCI, corresponding author]
E31) Kim, S. & Baek, Y. M. (2019). Medical Drama Viewing and Healthy Lifestyle Behaviors: Understanding the Role of Health Locus of Control Beliefs and Education Level. Health Communication. 34(4), 391-402. https://doi.org/10.1080/10410236.2017.1405483 [SSCI, co-author]
E30) Jang, K. & Baek, Y. M. (2018).How to Effectively Design Public Health Interventions: Implications from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Beliefs on Healthy Dietary Behaviors among US adults.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6(5). 664-674 [SSCI, corresponding author]
E29) Kim, H. M. & Baek, Y. M. (2018). The Power of Political Talk: How and When It Mobilizes Politically Efficacious Citizens’ Campaign Activity during Election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8(3), 264-280. [SSCI, corresponding author]
E28) Park, S. Y. & Baek, Y. M. (2018). Two Faces of Social Comparison on Facebook: The Interplay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Emo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9(1), 83-93. [SSCI, corresponding author]
E27) Baek, Y. M., & Won, S. (2017). The Rise of Non-institutional Politics in Mount Sungmee: Local Residents’ Political Movement Participation as Reaction to Central Government Intrusion into Their Life-worlds. 《사회과학논집》, 48(2). 25-46. [KCI, first author]
E26) Baek, Y. M. & Kim, H. (2017). Third-Person Perception for Foreign Media Influ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National Culture Policy Support. 《사회과학논집》, 48(1), 43-64. [KCI, first author]
E25) Park, M., Park, J., Baek, Y. M. & Macy, M. (2017). Cultural Values and Cross-cultural Video Consumption on YouTube. PLOS ONE. 12(5): e017786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77865 [SCI, corresponding author]
E24) Baek, Y. M. & Kim, H. M. (2016). Cultural Distance and Foreign Drama Enjoyment: Perceived Novelty and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60(3), 527-546 [SSCI, main & corresponding author]
E23) Shin, H. K., & Baek, Y. M. (2015). Forms of Expression of Angry Voters and Sad Voters: the Effects of Discrete Emotions and Emotional Expression on the Voting Participation through Approach-Avoidance Action Tendencies.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2(4), 248-278. http://dx.doi.org/10.15206/ajpor.2015.2.4.248. [not listed on SSCI, corresponding author]
E22) Kim, K., Baek, Y. M., Kim, N. (2015). Online news diffusion dynamics and public opinion formation: A case study of the controversy over judges' personal opinion expression on SNS in Korea. The Social Science Journal. 52(2), 205-216. 10.1016/j.soscij.2015.02.001 [SSCI, co-author]
E21) Baek, Y. M. (2015).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Distance and Cross-cultural Music Video Consumption on YouTube.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33(6), 730-748. 10.1177/0894439314562184.
E20) Baek, Y. M. (2015). Political Mobilization Through Social Network Sites: The Mobilizing Power of Political Messages Received From SNS Friends. Computers in Human Behaviors, 44, 12-19. 10.1016/j.chb.2014.11.021 [SSCI, single author]
E19) Baek, Y. M., & Jung, C. S. (2015). Focusing the mediating role of institutional trust: How does interpersonal trust promot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 Science Journal. 52(4), 481-489. 10.1016/j.soscij.2014.10.005.
E18) Kim, Y., & Baek, Y. M. (2014). When is Selective Self-presentation Effective? An Investigation of the Moder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Trust’.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7(11), 697-701. [SSCI, corresponding author]
E17) Baek, Y. M., Jeong, I., & Rhee, J. W. (2015). Political Homophily on Social Network Sites and Users’ Poll Skepticism.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5(3), 271-287 [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16) Baek, Y. M., Bae, Y., Jeong, I., Kim, E., & Rhee, J. W. (2014). Changing the Default Setting for Information Privacy Protection: What and Whos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Better Protected? The Social Science Journal. 51(4), 523-533. 10.1016/j.soscij.2014.07.002 [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15) Baek, Y. M., Cho, Y., & Kim, H. (2014). Attachment Style and Its Influence on the Activities, Motives, and Consequences of SNS Use,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58(4), 522-541. 10.1080/08838151.2014.966362 [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14) Baek, Y. M. (2014). Solving the Privacy Paradox: A Counter-argument Experimental Approa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s. 38, 33–42. 10.1016/j.chb.2014.05.006 [SSCI, single author]
E13) Choi, S., Lee, S., Matejkowski, J., & Baek, Y. M.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physical health conditions and healthcare expenditures for younger and older Americans. Journal of Mental Health. 23(3), 140–145. 10.3109/09638237.2014.910643 [SSCI, co-author]
E12) Park, J., Baek, Y. M., & Cha, M. (2014). Cross-cultural comparison of nonverbal cues in emoticons on Twitter: Evidence from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Communication. 64(2), 333-354. 10.1111/jcom.12086 [SSCI, corresponding author]
E11) Baek, Y. M., Bae, Y., & Kim, E. (2014). My Privacy is Okay, But Theirs is Endangered: Why Comparative Optimism Matters in Online Privacy Concer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1), 48-56. http://dx.doi.org/10.1016/j.chb.2013.10.010 [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10) Baek, Y. M., Bae, Y. & Jang, H. (2013). Social and Parasocial Relationships on Social Network Sites and Their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th Users’ Psychological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6(7), 512-517. 10.1089/cyber.2012.0510 [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9) Baek, Y. M. & Lee, A. M. (2012). Minority comparison model: Effects of whites’ multiracial evaluation on symbolic racism and racialized policy preferences. The Social Science Journal. 49(2), 127-138. 10.1016/j.soscij.2011.09.006 [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8) Baek, Y. M., Wojcieszak, M. E., & Delli Carpini, M. X. (2012). Online versus face-to-face deliberation: Who? Why? What? With what effects? New Media & Society. 14(3), 363-383. 10.1111/j.1083-6101.2007.00377.x [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7) Baek, Y. M., Cappella, J. N., & Bindman, A. (2011). Automating content analysis of open-ended responses: Wordscores and Affective Intonation. Communication Methods and Measures. 5(4), 275-296. 10.1080/19312458.2011.624489 [Non-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6) Baek, Y. M., & Landau, J. (2011). White concern about black favoritism in a biracial presidential election. American Politics Research. 39(2), 291-322. 10.1177/1532673X10374169 [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5) Baek, Y. M. (2010). To buy or not to buy: Who are political consumers? What do they think and how do they participate? Political Studies. 58(5), 1467-9248. 10.1111/j.1467-9248.2010.00832.x [SSCI, single author]
E4) Baek, Y. M. (2010). An integrative model of ambivalence. The Social Science Journal. 47(3), 609-629. 10.1111/j.1468-2958.2012.01429.x [SSCI, single author]
E3) Baek, Y. M., & Wojcieszak, M. E. (2009). Do not expect too much!: Learning from late-night comedy and knowledge item difficulty. Communication Research. 36(6), 783-809. 10.1177/0093650209346805 [SSCI, lead & corresponding author]
E2) Wojcieszak, M. E., Baek, Y. M., & Delli Carpini, M. X. (2010). Deliberative and participatory democracy? Ideological strength and the processes leading from deliberation to political eng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22(2), 154-180. 10.1093/ijpor/edp050 [SSCI, co-author]
E1) Wojcieszak, M. E., Baek, Y. M., & Delli Carpini, M. X. (2009). What is really going on? Structure underlying face-to-face and online deliber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12(7), 1080-1102. 10.1080/13691180902725768 [Non-SSCI, co-author]
Courses taught (개설과목들)
Fall 2024,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Fall 2024, Data Social Science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데이터사회과학]
Fall 2024,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I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조사방법]
Fall 2024, Advanced Statistics in Social Welfare, I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고급사회복지통계I]
Fall 2024, Basic statistics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기초통계]
Spring 2024, Reading Communication Classic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Plato's Dialogue, Georgias and Phaedrus, J. S. Mill’s On Liberty. [언론학고전강독: 플라톤의 대화 중 <고르기아스>, <파이드로스>, 존스튜어트밀의 <자유론>]
Spring 2024, Data-driven social analytic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데이터기반 사회분석]
Spring 2024, Secondary data analysis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이차데이터분석]
Spring 2024, Reading Communication Classics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Alexi de Tocqueville, Democracy in America] [언론고전읽기: 알렉시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
Fall 2023,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Fall 2023,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I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조사방법]
Fall 2023, Mass Media Research Methods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매스미디어와 사회조사]
Spring 2023, Data social science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데이터사회과학]
Spring 2023, Political Communication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정치커뮤니케이션]
Spring 202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구조방정식 모형]
Spring 2023, Reading communication classics: Jurgen Habermas'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 고전읽기: 위르겐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변동>]
Fall 2022,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Fall 2022,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atistics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기초통계]
Fall 2022, Reading communication masterpiece: M. H. McLuhan's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 명저읽기: 매크루언의 <미디어의 이해>]
Summer 2022,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Spring 2022, Data social science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데이터사회과학]
Spring 2022,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조사방법I]
Spring 2022, Reading communication classics: John Stuart Mill's On liberty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 고전읽기: 존스튜어트밀의 <자유론(On liberty)>]
Winter 2021, Mass media and the popular culture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대중문화론]
Fall 2021,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Fall 2021, Reading communication masterpiece: Walter Lippmann's Public Opinion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 명저읽기: 월터 리프만의 <여론(Public Opinion)>]
Spring 2021, Recent topics in communication: Fake new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의 최근동향: 가짜뉴스]
Spring 202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구조방정식 모형]
Spring 2021, Practicing thesis data analysis using R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R을 이용한 논문데이터 분석실습]
Fall 2020,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Fall 2020, Regression model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제한적 종속변수 대상 회귀모형]
Fall 2020, Reading communication classics: Aristotle's Rhetoric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 고전읽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Rhetorike)>]
Spring 2020, Data Communication Science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데이터언론학]
Spring 2020,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Spring 2020, R-based Causal inference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고급사회복지 통계론 I: R을 이용한 인과추론]
Fall 2018,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Fall 2018,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Fall 2018, Structural Equation Model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조사방법2: 구조방정식 모형]
Fall 2018, R-based Data Science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고급사회복지통계론 II: R기반 데이터과학]
Fall 2018, Populism, Media, and Democracy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포퓰리즘, 미디어, 민주주의]
Summer 2018, Introduction to R (data science workshop), Yonsei University [R입문 워크샵]
Summer 2018, Statistical text analysis using R (data science workshop), Yonsei University [R기반 통계적 텍스트분석]
Spring 2018, Data Communication Science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데이터 언론학]
Spring 2018, Political Communication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정치커뮤니케이션]
Spring 2018, R programming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R프로그래밍]
Fall 2017,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Fall 2017, Recent topics in communication: Media, populism, and democracy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의 최근동향: 미디어와 포퓰리즘, 그리고 민주주의]
Fall 2017, Research seminar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방송영상 세미나]
Fall 2017, Colloquy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연구 콜로키움]
Fall 2017, Introduction to text-mining with R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R기반 텍스트마이닝 입문]
Summer 2017, Statistical text analysis using R (data science workshop), Yonsei University [R기반 통계적 텍스트분석]
Spring 2017,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Spring 2017, R programming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R프로그래밍]
Winter 2016, Statistical text analysis using R (data science workshop), Yonsei University [R기반 통계적 텍스트분석]
Fall 2016, Data Communication Science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데이터언론학]
Fall 2016,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조사방법I]
Fall 2016, Introduction to thesis writing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논문작성법]
Spring 2016,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Spring 2016, Experimental design and data analyses (full 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실험설계 및 자료분석]
Spring 2016, Mass media and social research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매스미디어와 사회조사]
Fall 2015, Political Communication - Webtoon & Politics (Undergradudate), Yonsei University [정치커뮤니케이션: 웹툰과 정치]
Fall 2015, Reading a new masterpiece in Communication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신간읽기]
Fall 2015,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Fall 2015, Mass media and social research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매스미디어와 사회조사]
Fall 2015, Introduction to thesis writing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논문작성법]
Spring 2015,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언론학연구방법론]
Spring 2015,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 조사방법I]
Spring 2015, Political Communication Seminar (full-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정치커뮤니케이션]
Spring 2015, Mass media and social research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매스미디어와 사회조사]
Spring 2015,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full-time graduat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 2015, Social Scientific Data Analysis Using R,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Fall 2014, Social Scientific Data Analysis Using R,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Fall 2014, Topics in Communication Research: Big Data and Future of Media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Fall 2014,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full 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Fall 2014, Mass media and social research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Summer 2014, How to Use R for Social Scientific Data (workshop), Institute of Communication Research, Yonsei-SNU
Spring 2014,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Spring 2014, Reading Classics in Communication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Larzarsfeld et al. (1944). People's Choice.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Spring 2014,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full 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Fall 2013, Political Communication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Fall 201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ull 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Fall 2013, Science Communication (part-time graduate), Yonsei University
Spring 2013, Political Communication Seminar (graduate), Yonsei University
Spring 2013,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Spring 2013,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graduat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all 2012, Web Audience Research (graduat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 2012, Special Topic (graduat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Winter 2011, Theories of Information Society (undergraduate), Ewha Women's University
Fall 2011, Research Methods in Information User Analysis (graduate), Seoul National University
Fall 2011, Political Communication (undergraduate), Yonsei University
Fall 2010, Multi-level Models using STATA (Workshop), University of Pennsylvania
Fall 2009, Introduction to Political Communication (undergraduat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dvisees (지도학생)
일반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FM15: 박창현 (2024, Spring). 후보자의 표정과 유권자의 마음 : 기계학습 기반 이미지 알고리즘을 활용한 후보자 선거포스터 감정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FM14: 정지웅 (2024, Spring). GPT-4를 이용한 기사 생성에서, 프롬프트의 조건이 모바일 뉴스수용자의 뉴스이용반응에 미치는 영향 : 언론인과 일반인 각 집단의 실험결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FM13: 오지은 (2023, Fall). 군관련 유튜브 시청경험이 장기복무 간부지원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도와 조직충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FM12: Korbe, Mariel Sandra (2020, Sp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ube use, perceived cultural similarity,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among sojourners living in South Korea. Department of Communication, MS thesis.
FM11: Lim, Chaeyun (임채윤) (2019, Spring). Idealized self-portrait photos are not merely due to personality : discovering the mediating role of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tendency on self-photo enhancement behavior. Department of Communication, MS thesis.
FM10: Lee, Yo Han (이요한) (2018, Fall). The modern nomads: Third culture kids' transnational mobility as a moderator of their subjective well-being. Department of Communication, MS thesis.
FM9: 장지현 (2018, Fall). 브랜드 웹툰의 속성이 구매의도와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각된 설득지식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PHD1: 장경은(2020, 봄). 유튜브 정치 동영상을 통해 누가, 무엇을 얻는가? 선거지식, 주변지식, 오정보 수용, 뉴스리터러시 개념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FM12: 박혜진(2020, 봄). 인스타그램에서의 희소성 메시지 가 소비자의 광고신뢰도 , 광고태도 ,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충동구매성향 과 SNS 진정성 인식수준 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FM8: 이서희(2018, 봄). 정보원의 정치적 소속집단에 따른 가짜뉴스 효과: 정보원 호감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FM7: Kim, Kyungmin (김경민) (2018, Spring). Warning sign exposure on video-sharing sites and users' intention to watch illegally uploaded movie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approach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MS thesis.
FM6: Sohn, Hiyoung (손하영) (2018, Spring). Ideologically Congenial Media Consumption and Political Polarization: Focusing on the Mediation Process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Perceived Emotions Toward the Media Messag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MS thesis.
FM5: 김선희(2017, 가을). 국민청원게시판의 특성이 시민들의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청원 작성자에 대한 유사성과 청원 이슈에 대한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FM4: 신하경(2017, 봄). 한국인들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와 외국인의 국적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FM3: 박선영(2016, 가을). SNS 공간에서 자아 및 타자와의 불일치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 : 사회비교 감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FM2: 김혜민(2015, 가을). 페이스북 뉴스기사의 정치적 단서 및 사회적 단서가 수용자의 미디어 영향력 지각에 미치는 효과.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FM1: Shin, Hye Kyung (신혜경) (2014, Spring). From source effects to 'medium effects': The influence of emotional attachment to mobile phones on utility evaluation of a mobile shopping experienc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MS thesis.
언론홍보대학원
PM18: 강민혜(2023, 봄). 스토킹 범죄 기사 내 제시 정보 변화에 따른 언론 수용자의 피해자 비난의도 변화 : 기사 내 가해자 내러티브와 피해자 귀책요인 제시 여부를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17: 신진호(2021, 가을). 위기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의 조직 공공성기대와 책무성: :조직유형과 해명방식에 따른 조직명성 변화 연구.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16: 조흠진(2018, 봄). 브랜디드 콘텐트는 어떻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 효과를 나타내는가? 수용자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15: 노준형(2018, 봄). 기업 이슈에서 발현되는 토픽의 변화및 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 토픽모델링 접근.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14: 이혜선(2017, 가을). 라이프스타일이 방송프로그램 클립 영상 이용에 미치는 영향: 프로그램 장르별 이용양상을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13: 윤지영(2017, 가을). TV 콘텐츠 관련 VOD와 클립동영상 서비스의 간의 경쟁관계 분석: 적소이론을 적용한 이용자 충족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12: 김동준(2017, 봄). 기업 위기 유형별 사과 광고 주체의 변화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11: 박보경(2017, 봄). 앵커에 대한 전문성 인식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이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채널별 메인 뉴스 앵커 비교를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10: 김혜영(2016, 봄). TV PPL에 대한 심리적 반발이 시청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nStyle <겟잇뷰티>를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9: 김수빈(2016, 봄). 사회적 책임활동(CSR) 기사의 최고 경영자 등장여부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소비자 귀인의 매개방식과 CSR프로그램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8: 홍자경(2015, 가을). TV 요리 프로그램의 시청동기가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인식을 매개하여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가구 형태를 조절변인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7: 이보라미(2015, 봄). 블로그의 정보원유형과 정보의 객관성에 따른 설득효과 연구: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효과.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6: 주형욱(2015, 봄). 기업의 공익연계 TV광고가 소비자의 광고태도, 기업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귀인(attribution)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5: 장지연(2014, 가을). 삼성-애플 특허소성 언론보도 성향과 휴대폰 판매 상관관계 연구.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4: 배은정(2014, 봄). 지상파 일일드라마와 뉴스 프로그램의 인접효과에 관한 연구: MBC 평일 메인뉴스 편성 이동전후를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3: 위정수(2013, 가을). 신문기사의 책임귀인 프레임과 독자 프레임효과의 관계분석: 성폭력 사건의 피해자 책임귀인을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2: 서진만(2013, 가을). 언론사의 브랜드 자산이 모바일 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뉴스 앱과 신문사 앱의 비교를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M1: 나채재 (2013, 봄). ‘마니아채널’ 수용자의 채널시청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주)한국낚시채널(FTV) 수용자 조사를 중심으로.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