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96-227 96.2.8 사무국 제 목 : 제 26차 한국전산망협의회 (KNC) 회의록 ---------------------------------------------------------------------------- 일 시 : 1996년 2월 7일 (수) 15:00 - 18:00 장 소 : 뉴힐탑호텔 7층 (아이네트기술 협찬) 참석자: 첨부 참조 1. 회의록 검토 ( KNC-95-216 ) 가. FIRST 가입 추진 및 IR-FORUM구성 (IR-FORUM/포항공대에서 담당) o FIRST가입지원 및 예산신청은 KNC, 정통부와 협의함. (6월까지) o IR이 없는 ISP는 CERT-KR에서 지원하는 것이 좋겠음 o IR-FORUM의 기술그룹은 누구나 참여가능하도록 함. FIRST: Forum of Incident Response Security Team IR-Forum: Incident Response Forum 나. 정보엑스포'96 o 역할 및 기능 - 네트워크위원회 : 네트워크구성, 라우팅 정책 - 서버위원회 : 소프트웨어 구현, 라우팅 구현 o 45Mbps 회선이용에 관한 미국/일본의 사례 조사 - 이용에 관한 해석. 단, 상용은 제외 2. 정보통신부 안건에 대한 의견 (KNC-96-218) o 정책에 대한 Feedback이 필요한 경우 working group을 구성하여 일정기간 연구 및 보고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 좋겠음. o KNC 법인화 빠른 시일내로 추진필요 o 중소ISP에 대한 지원방안 -정부의 행정처리 과정시 단기간 신속한 처리 바람. -기금사업 참여방법에 대한 가이드 필요 -기금 제공 전후 Risk 고려, 활성화 효과 분석이 필요함. o 1차기금사업(2월)에 인터넷기술개발 과제가 포함 됨. (2/7 일간신문 광고, 4월에 추가공모) o 요금구조 -과당경쟁시만 개입. 원칙적으로 요금규정은 안함. 공정경쟁체제 , (미국 경우 ISP 자체적인 요금정책 설정) -요금 구조에 대한 최저 가이드라인 필요함 o 호주 텔스트라 : 한국통신의 참조모델, 통신선로의 도매판매로 ISP와 조화. o 프랑스 미니텔 : 성공사례였으나, 지금은 유럽에서 멀티타입 인터넷 최하 수준. 이러한 외국 사례에 따른 정부의 인터넷 정책 및 원칙 수립. o 인터넷에 대한 우리나라 자체적인 전략이 필요함 o 일본은 인공위성을 통한 아시아국가를 E1급으로 사용토록 지원하는 국가차원의 AIII 과제를 추진 중임. 이러한 국가적 견지의 인터넷 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정부는 정책 수립. 3. 정기보고 o KRNIC (KNC-96-219) - 총 IP 주소 블록 Class B : 48개 Class C : 202.30 - 202.31 block 203.255 - 203.234 block - 총도메인등록현황('96.2.6 기준) 722개 o CERT-KR (KNC-96-220) - 96년 사업활성화를 위해 기업체를 통한 보안 프로젝트 후원체제구축계획 4. 회의참가보고 o APRICOT/APNIC/APNG (KNC-96-226) o ISOC/CIX (KNC-96-224) o SG-INET (KNC-96-223) - 역할정립 필요 - 근본적으로 국내 인터넷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해결력을 가진 그룹이 되어야 함 - 상호 견제와 공동 협력관계 , operation know-how 및 정보공유 5. KIX o 1단계 KIX : 현재 한국전산원에서 운영 국내 연결현황도 (KNC-96-228) o 2단계 KIX : 2개 운영센타(한국전산원, 한국통신)를 갖고 운영. 분산형 IX를 갖는 한국형 모델(Position Paper)하는 것이 좋겠음 position Paper에 대한 정리 (다음 KNC회의시 KT에서 준비 ) o IX에 대한 study필요함 - MAE-EAST, MAE-WEST => GIX => National IX => NAP - 미국 NAP은 실패, 유럽은 진행 중이다. 실패한 사유 분석 - IX에 관한 기능, 역할을 정립하여야 한다. - ATM 기반의 IX 형태는 실패한 것 같다. - MAE-EAST는 너무 bottom-up 접근을 하였으며, 기술력과 Scalability가 없어서 기술 발전을 못 따라가고 있다. 일본은 WIDE가 주도하고 있다. - 한국형은 NAP 형태인가, IX 형태 인가. Layer 2 또는 Layer 3 수준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ISP들이 가입하기 위한 IX 운영센타의 수용정책은, 한국통신 IX와 한국전산원 IX는 경쟁체제인지 보완체제인지를 협의해야 함. o KIX 연결에 대한 수용정책 및 기능,역할정립 필요 - 한국전산원에 연결된 기존 ISP에 대하여 한국통신 쪽으로 이전시 이에 대한 이점과, 이전 타당성을 제시해야 한다. - IX는 반드시 중립지대일 필요는 없고 기술력을 가졌다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 패켓교환 기능까지는 선택 이다. - 국제회선 및 국내 백본의 공유는 직접적인 것이 아니다. - 한국전산원에서 운영하는 KIX 과제를 정보통신부가 중지할 경우는 문제이다. - 한국통신 KIX 센터는 초고속으로 가는 것이 서비스에 있어 좋은 것 같다. 6. 정보엑스포'96 - 현재의 라우팅 해결, 미러링에 문제있음. : 서버위원회에서 검토 바람. - Funding 지연 - 45M 국내외 access할수있도록 토론중 - 한국은 6월 정보화달에 Openning 7. KRNIC Funding Model o 2년 정도 시범운영하고 부담금액에 대해 장기적으로 검토하여 해결책 마련 o '97년이후(long term solution)의 NIC 모델을 위한 협의는 계속 진행 o 현재 KRNIC 운영에 관하여 - 업무 담당자를 자주 바꾸지 말 것. - International Relation을 갖으며, 국제 활동 강화 o 의견 : KNC법인화 후 KRNIC의 위상에 대해 KNC에서 결정 KRNIC 운영경비 분담모델에 관한 재정지원 기본원칙을 정하는 것이 좋겠음. 8. KNC 운영방안 (KNC-96-221) o 법인 추진을 위한 준비위원회 결성 위원 : NCA(오익균),넥스텔,아이네트기술,한글과컴퓨터,데이콤,KT 기타 비영리기관 참여 고문: 정통부(이상훈) 9. 국내 T3 백본네트워크 현황 o 한국통신 : T3 백본간의 13개 노드 + 3개 노드추가 예정 ('96) 512 Kbps 해외 인터넷 2월서비스. '97년 T2로 해외 인터넷 연결 검토예정. o 데이콤 : 국내 백본간 5개 노드 + 4개 노드추가 예정 ('96) T2/E1 해외 인터넷 4월중 서비스예정 7월에 KIX와의 연동, '97년 T3로 해외 인터넷 연결 예정. 10. 차기회의 : 1996년 4월19일(금) 11. 첨부 (참석자 명단) ------------------------------------------------------------ 기관명 이름 전화번호 E-mail ============================================================ 한국전산원 오익균 0331-289-1670 ikoh@nic.nca.or.kr 하상용 0331-289-1674 syha@nic.nca.or.kr 이소영 0331-289-1679 sylee@nic.nca.or.kr 서울대 신영길 880-6757 yshin@mania.snu.ac.kr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김혜규 042-860-5366 khk@nambu.etri.re.kr 한솔텔레컴 강현태 3457-8183 류지선 3457-5175 정보통신부 이상훈 750-2333 leesh@mic.go.kr 세기문화사 천우윤 3412-3434 엘림네트 김명현 3149-4832 mhkim@ctk.co.kr 아이네트 허진호 538-6941 jhhur@inet.co.kr (주)나우콤 김병렬 590-3932 brkim@inwang.nowcom.co.kr 한국통신 진영민 526-6057 ymjin@hansung.kotel.co.kr SERI 박형우 042-869-1388 hwpark@garam.kreonet.re.kr 한국PC통신(주) 송영주 513-2112 boobtube@hitel.kol.net KTNET 김광명 551-8573 kmkim@ktnet.co.kr 엘림네트 노승현 3149-4815 shro@ctk.co.kr (주)데이콤 김익수 220-7032 iskim@bora.dacom.co.kr 넥스텔 윤재홍 202-9300 yjhong@nextel.net 윤삼수 202-9300 wmind@nextel.net (주)한글과컴퓨터 이주희 631-3970(522) jedi@hnc.co.kr 한국통신 양재수 725-2733/4 jsyang@soback.kornet.nm.kr 포항공대 오영희 279-2529 rhee@vision.postech.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