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93-119 1993.11.12 제목: IETF Trip Report 작성: 원 태환 (weon@cosmos.kaist.ac.kr), 김 병학 (bhkim@cosmos.kaist.ac.k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출장기간 1993.10.30 ~ 1993.11.9 2. 일정 10.30 - 휴스턴 도착 10.31 - New comer's orientation 11.1 ~ 11.4 - IETF 세션 참가 11.4 - 샌프란시스코 도착 11.5 ~ 11.7 - 스탠포드 대학 방문 및 도서 구입 11.8 ~ 11.9 - 서울도착 3. IETF conference 개요 IETF activity의 기본철학은 아래와 같은 David Clark가 했던 말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We reject kings, presidents, and voting. We belive in rough consensus and runing code." 이말은 누구의 독주도 거부하고 그대신 우둔한 만장일치와 같은 투표에 의한 행동도 거부한다는 의미로 실제로 IETF session에서 RFC작업을 진행할때, 타 conference나 meeting처럼 단지 voting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technical한 discussion및 presentor의 idea에 대해서 comment하고 그에따라서 전반적인 comment의 흐름에 의해서 그 idea를 거부할 것인지, revise할 것인지등이 결정된다. 또한 IETF working group은 소수의 core member가 주도하고 그리고 대부분의 followup 하는 사람들로 구성된다. core member의 경우는 WG 초창기부터 관여하고 실제로 prototyping등의 experience를 가진사람들이다. 대부분의 discussion은 이들에 의해서 주도되고있다. 예외적인 경우로는 7월 Amsterdam meeting인데, 이때 50% 이상이 신참자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진도가 아주적게 나갔다고 한다. 그리고 IETF meeting의 다른 특징으로써는 meeting의 분위기이다. Unix International이나 ODP등은 회사나 다른 조직들 사이의 서로 다른 requirement를 조정하는데 meeting시간의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는반면, IETF는 주로 이전 미팅에서 agenda로 만들어진 technical한 issues, status, RTF documentation work등에 시간을 모두 할애한다. 또한 미팅초에 새로운 issue등이 제안되는등 flexible한 것이 주요 특징이다. 그리고 미팅에 참가한 사람들이 주로 어떤 이해를 따지기 보다는 technical한 issue를 Internet에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관심을 갖는 open mind를 가지는 engineer들의 미팅이다. 대부분의 WG이 bottom up의 입장을 가지고 필요한 부분에 대한 확장을 하고, 기존의 spec과의 상충되는 점을 제거하는 일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의견들이 완전히 technical한 주제로 구성되어 그 WG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자신이 원하는 최종결과물에 대한 인식이 없이는 의견의 제시가 어렵다. 4. IETF 참가 세션 4.1 IPNG Area - 김병학, 원태환 - White Paper에 의한 Open Process에 의한 진행 - WWW and gopher server운영(계획) - ALE(Address Length Extension ?) WG,requirement WG, transition WG, testing WG define and review board - Houston 미팅이후에 - outline white paper 작성 - solicit for the white papers - Seattle에서 ALE WG - time frame 결정예정 requirement WG - requirements and time frame 만들기로 함 - IPNG area내의 working group들의 shufling이 예상됨 4.2 MOBILE IP - 김병학 - mobile ip internet draft 소개 및 토론 - CMU internet draft 소개 및 토론 - open issues - encapsulation - Jan. core group meeting 4.3 ST2(첫번째 세션만 참가) - 김병학 - Craig Patridge의 st2소개 - IBM ENC의 st2 Implementation 소개 (Heidelberg) HeiTs - Transport service for multimedia, realtime HeiRAT - Qos negotiation, reservation, scheduling main goal - real time, guranteed, multi-user 선택 이유 - A/V data, multimedia support Resource reservator - end to end , QoS guranteed, throughput Flow Spec - QoS Class(guranteed,Best-effort,Reqular) st and scmp의 분리, scheduling가능 확장 (현재는 sender oriented service인데, receiver oriented service도 포함해야 한다. scalibility, security) - st2 Testing result (DSI) - st2의 문제점 나열 그리고 토론(해야할일) 4.4 ATM(첫번째 세션만 참가) - 김병학 - draft 소개 - Multiple virtual circuit - IP Multicast - ARP on atm - ATM UVI 3.0 (atm forum) - selector Multiplexer(Lis's) - LAN emulation - Application bindin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이 ip level에서 필요하다) 4.5 WITHER ATM - 김병학 - ANSI Class Y 에 대한 설명 Class Y requirement ASAP(As Soon As Possible) AMAP(As Much As Possible) Service Model closed loop control congestion notification resource reservation control ... - 구현이 힘든점 complicated parsing many NSAP address filed management ill-defined restart semantics 4.6 IIIR(두번째 세션만 참가) - 원태환, 김병학 - type registry . MIME group의 content description에 대해 참고하기로 함. e-mail list : ietf-types@server.path.net . type identification을 위해서 고려될 information : platform, program name, version, etc - vision paper review . group view라는 점에서 rough consensus가 모아지지 않음 . 다양한 information server와 client에 현재 존재하고 있는것과 앞으로 나타날 새로운 client와 server대한 고려가 함께 되어야함. - Resource Transponder transdponder ------------------------------------------------ | Gopher | Wais | WWW | ------------------------------------------------ | | | ----- | | RLS | | ----- | ------------------------------- | URN ----> URL | ------------------------------- | | \ ----------- ----------- ----------- |Transponder| |Transponder| |Transponder| |Resource | | Resource | | Resource | ----------- ----------- ----------- layered architecture for function ---------- | Agent | <---- updating pointer ---------- |Metainfo| <---- author, size,... , may be changed ---------- |Resource| ---------- - HTML / HTML + / HTTP Gopher document를 1994년초에 RFC로 등록할 예정 - Gopher0 introduction 서로 다른 gopher implementation사이에서의 interoperability의 문제가 Gopher RFC-draft의 애매함으로 야기됨. -> revision결정 4.7 APPLES - 김병학 - appliaction area의 여러 그룹에 대한 소개 - IIA(Integrated Information Architecture) . 기존의 그룹 사이에 겹치는 내용과 지난친 WG의 분할로 인한 문제의 해소 . apples@surfnet.nl apples-request@surfnet.nl . efficiency of current model structural changes definition of functional boundaries . Don't break anything . Architectural statement 4.8 AVT - 김병학 - option for diverse application - option == 0일때 문제 발생 (?) - JPEC standard 소개 - API for video (protype 소개) - IMA Networking Fog 소개 (Multimedia System Service) (don.hoffman@eng.sun.com) 4.9 DHC - 김병학 - report on interoperability testing - review of outstanding problem ciaddr other small problem client id/ class id id issues what values can be used as client ID ? overloading client id with client - server behavior class id issues under spec'ed over spec'ed what is it ? interface to DNS - strategy fot advancing protocol spec. - discussion of small problem - review of current ID problem - DHCP - WIDE(Keio univ.) presentation 4.10 MMUSIC - 원태환 a. 지난 미팅때에 session control protocol draft에 대한 검토. - minor revision, 주로 comment는 session control protocol에서의 지나친 필요없는 overhead까지 다루려고 한데에서 비롯됨.(예를들어 multimedia information exchange) - revision후 Seattle에서 IESG로 넘겨질것으로 보임 b. Agreement Protocol - ISI의 Eve schooler의 presentation이 있었음. - MMUSIC WG, "An Agreement protocol for Distributed Control of Multiparty Multimedia Teleconference" . 주로 작업을 Eve Schooler(ISI), Abel Weinrib(Bellcore), Scott Shenker(Xerox PARC)가 작업을 했음 . 1st DRAFT 수준임 . Bala와 마찬가지로 groupcast의 reliability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 . Seattle meeting이 있기 전까지 계속적으로 revision 할것임(e-mail discussion/revision) . 가장많은 토론은 Internet상의 scalability에 관련된 overhead및 failure model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 집중됨 c. 기타 - Bala Rajagopalan, "Consensus and Control in Wide-Area Group Communication" . 기본적으로 reliable한 multicast protocol을 가정하고 있음 . 기본적으로 network partition failure에대한 거시적인 state consistency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contribution 했음 - Scott Schenker(Xerox PARC)의 "An Algorithm for Managing Shared Teleconference State" 에 관한 presentation이 있었음. . Bala와 마찬가지로 session state의 consistency에 관해서 모델을 세우고 algebra 와 generic operation으로 지원하고자 하고 있음. . completeness가 아직 prove안됨 - Steve Casner(Xerox PARC)의 RTCP에 관한 presentation이 있었음 . RTCP를 reliable group communication을 지원하기위해서 어떻게 변경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토론이있었음 . 기본적으로는 reliable group communication을 위해서는 RTCP function과 mmusic 고유의 기능을 가져야 하는것로 결정됨 . session local identifier로써 RTCP의 packet format의 SDES를 사용할 수 있음. d. 결론 - session control protocol과 agreement protocol간의 관계 ---------------------------- session protocol ---------------------------- agreement protocol ---------------------------- reliable groupcast protocol ---------------------------- 즉 session 의 critical common state에 대한 update operation은 agreement protocol에 의해서 consistent session state 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member들 사이에 암묵적인 약속이 있음. - agreement protocol서 이야기하는 state consistency problem은 collaborating group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issue임. - 아직 reliable group communication에 대한 semantic에 관련된 optimization에 관한 presentation이 없었음. - Eve schooler과 group communication에 관하여 서로 e-mail discussion하기로 함 - 이 부분에 대해서 contribution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4.11 URI - 원태환 - 이제까지 URI draft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 결정 - real function 에 관한 언급이 URI draft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확인. - URN/URL/URC사이의 migration path에 관한 document에 관한 revising 작업 진행중. - URL/N/C에서 character set에 대한 information제거하기로 결정. - 주로 대부분의 시간이 URL의 function에 대해서 draft 만드는 작업에 할당됨. -> network posting예정 4.13 RSVP-BOF - 원태환 - RSVP에 대한 필요성은 high bandwidth를 요구하는 application과 real time에 관한 지원 및 multicast에 대한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 scope는 host및 router에서 packet latency를 보장하기위해서 resource reservation하는 방법에 관한 토론이 주로됨 - RSVP 에 관한 paper publication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IEEE Network Journal Sep. 1993 - goal 1-n is not an extention of 1-1 communications 1-n is an universal paradigm, and 1-1 is a special form. - open issues . uid/credential field 어떻게 하면 resource owner를 identify할 것인가 . packet fiter에 대한 일반적인 specification . event driven responsiveness의 향상 . interface to the rest system RSVP to routing module RSVP to ? - 확정된 일정을 가지고 있지않고 94.1에 first Internet-draft작성 예정으로 되어있음 - Reference Mitzel, Estine, "Comparing ST-II and RSVP," (submitted to Conference on InfoComm.) 4.14 NIMROD-BOF - 원태환 (TBC) 4.15 TRAIN-MAT - 원태환 (참석못함) 5. 향후 계획(안) 5.1 국내 IETF followup IETF 참석자들의 활발한 활동에서 미루어보건대 회사나 연구소에에서 Internet의 potential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그러한 단계에 있지않지만 일단 학교를 중심으로 Internet의 사용자로써부터 Internet의 contributor로써 움직임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IETF등의 활동은 차기 Internet에 대해서 issue를 만들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집단이므로 연구라는 차원에서 동기화만 될 수 있다면 될 수 있는 것 같다. 그러기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 여러 국내학술대회에서 IETF 활동에 대한 정확한 소개 - 이작업 은 본 실험실 IETF group 또는 다른 가능성 있는 group 에서 할 수 있어야 한다. 최소한 본 실험실에서는 이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2) 타기관 연구자에 대한 IETF 참석지원 - 초기 단계에서는 Internet에 대한 research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을 적극적으로 IETF meeting에 참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OSIA, SG-INET등에 만들어져야 한다. 결국 이들에의해 차기 국내 IETF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국내 IETF에 관련된 여러 연구들에 대한 coordination - 이 작업은 SG-INET 또는 기타 다른 기관에서 조정이되어야 한다. 5.2 실험실 연구활동 IETF의 활동은 타 기관의 활동보다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유로는 일단 좀더 advanced issue에 대해서 나름대로 경험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들이 Internet에서 동일한 문제 또는 large scale에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려 하기때문으로 보인다. 즉 Internet에서는 나오는 issue들을 본다면 이미 다른 부분에서 small scale이나 다른 곳에서 이미 제기되었고 연구되었던 것이고 그들이 Internet상에서 해결하기위해서 모여서 작업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실에서 IETF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는 여러가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즉 실험실의 연구 활동을 나름대로 IETF와 연계할 수 있는 가능성은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박사과정 - IETF research보다 최소한 3~5년은 진보적인 issue에 대해서 만져야 한다. 석사과정 - IETF issues들 중에서 박사과정학생과 연계하여 research를 수행한다. 6. 자료 6.1 IETF 자료 Eve Schooler, Abel Weinrib, Scott Shenker, "Usage of the Agreement Protocol for Distributed Control of Multiparty Multimedia Teleconferences," Internet Draft, Oct. 29, 1993. Scott Shenker, Abel Weinrib, Eve Schooler, "An Algorithm for Managing Shared Teleconferencing State," Oct.1993. John Stewart, "IETF Structure and Internet Standards Process," 1993. Bala Rajagopalan, "Consensus and Control in Wide-Area Group Communication," AT&T Bell Lab., Oct. 1993. 6.2 구매 (a) 책 (1) Intelligent Multimedia Interfaces, AAAI Press & MIT Press (2) Paul W. Abrahams & Bruce A. Larson, UNIX for the Impatient, Addison Wesley (3) Michael Fraase, The Mac Internet Tour Guide, Ventana Press (4) Mark Gibbs & Richard Smith, Navigating the Internet, SAMS (5) Paul Gilster, The Internet Navigator, Wiley (6) The Virtual Community, (7) Ken Lunde, Understanding Japanese Information Processing, O'Reilly (8) Alex Berson, Client/Server Architecture, McGraw Hill (9) Roy Tennant & John Ober & Anne G. Lipow, Crossing the Internet Threshold, Li (10) Douglas E. Comer & David L. Stevens, Internetworking with TCP/IP Volume III, (11) ATM (12) Gigabit Network (13) Starr Roxanne Hiltz & Murray Turoff, The Network Nation, MIT Press (b) 잡지 WIRED Nov. Issue 6.3 기타 Internet World : The Magazine and Review for Internet Users - a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