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활동
칼럼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남는 법 (한국경영자총협회 월간 KEF e매거진, 2024년 7,8월호)
금리 인하 발목 잡는 집값 (서울경제, 2024. 7. 15)
금융정책의 새 패러다임: 지속 가능한 포용금융 (한국일보, 2024. 7. 11)
자영업자 금융지원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국일보, 2024. 6. 13)
민생 어려움 가중시키는 민생회복 지원금 (한국일보, 2024. 5. 16)
한은 금리인하 더 미뤄선 안 돼 (한국일보, 2024. 4. 18)
인적자본 축적은 노동생산성 제고의 열쇠 (한국일보, 2024.3. 21)
소득 이동성 높이면 출산율 오른다 (서울경제, 2024.3. 4)
경제 기초체력 이대로는 안 된다 (서울경제, 2023.11. 6)
바람직한 부동산시장 수요관리 정책 (국토연구원 [월간 국토] 2023년 8월 (통권502호))
상저하저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대응 (한국경영자총협회 월간 KEF e매거진, 2023년 7,8월호)
[이슈 리포트]디지털 뱅크런 현실화…'광속 도산' 막으려면 예금보호한도 올려야 (서울경제, 2023. 4. 6)
경고등 켜진 미국 경제 (서울경제, 2023. 3. 20)
기준금리 동결로 물가 안정 가능하다 (서울경제, 2023. 2. 8)
금융당국, 위기대응능력 보일 때다 (서울경제, 2022. 12. 21)
금융당국의 금리 규제는 毒 (한국경제, 2022.12.19)
다가오는 복합위기, 투자와 수출 활성화로 극복하자 (한국경영자총협회 월간 KEF e매거진, 2022년 12월호)
韓銀, 섣부른 낙관론 경계해야 (한국경제, 2022.11.21)
제2 레고랜드 사태 막으려면? (서울경제, 2022.10.31)
고공행진 유가, 금리 인상이 최선 (한국경제, 2022.10.12)
대형마트와 골목상권 상생안 다시 논의할 때다 (동아일보, 2022.10. 4)
환율 안정을 앞당기려면 (서울경제, 2022. 9.19)
인구절벽, 여성 인력으로 풀자 (한국경제, 2022. 9.14)
국제 금값 하락세 원인 진단과 전망 (IBK MAGAZINE <WIN CLASS>, 2022년 27호)
'시장경제 복원' 포기하지 말아야 (한국경제, 2022. 8.10)
韓銀·정부 물가대응 엇박자, 괜찮나 (한국경제, 2022. 7. 5)
최저임금 인상보다 기업투자가 먼저다 (한국경제, 2022. 6. 2)
한국에 충격 준 美 연준의 실기 (한국경제, 2022. 5. 5)
'IMF 부동산 처방' 맹신할 필요 없다 (한국경제, 2022. 3. 31)
'퍼펙트스톰' 위기와 韓銀의 길 (한국경제, 2022. 2.24)
韓銀 '화살' 부족한데 과녁 늘린다니 (한국경제, 2022. 1.20)
가계대출 잡으려다 민생경제 무너질라 (한국경제, 2021.12.23)
미래재정, 진지한 논의 필요한 때 (한국경제, 2021.11.18)
생색내기 청년대책 대신 공정한 기회를 (한국경제, 2021. 8.30)
누구를 위한 최저임금 인상인가 (한국경제, 2021. 7.29)
인공지능의 도전: 노동의 위기인가, 기회인가? (한은소식, 2021년 6월호)
주택 수요 억제로 집값 잡을 수 있을까 (한국경제, 2021. 5.31)
인터뷰 및 언론보도
[신문 읽어주는 교수님] 쿠팡 로켓배송과 무료배달을 통한 편의의 새로운 지평, 앞으로의 일상은? (한양뉴스포탈 NEWS H, 2024. 4.12)
새마을금고, 포용금융 적임자… 노인·저소득자 버팀목 돼야 (한국일보, 2024. 1. 25.)
[신문 읽어주는 교수님] 레고랜드 사태 발발, 한국경제의 현주소는? (한양뉴스포탈 NEWS H, 2022.11.17)
유혜미 교수 "L자형 침체 불가피, 2023-24 불황온다" (여성동아, 2022. 10. 26)
[Interview] 거시경제학자 부부 유혜미 한양대·석병훈 이화여대 교수 “유류세 깎는 물가 정책, 인플레 장기화 우려…금리 인상과 엇박자 (이코노미조선, 2022. 8. 3)
[3040 파워 이코노미스트]① 석병훈·유혜미 교수 “세금 깎는 물가정책, 인플레 장기화 유발…금리인상과 엇박자” (조선비즈, 2022. 7. 11)
[3040 파워 이코노미스트]② 석병훈·유혜미 교수 “출산금 아니라 육아비 보조해야 저출생 극복 가능” (조선비즈, 2022. 7. 11)
임금도 수요·공급이 결정…무작정 올리면 일자리 줄어든다 (한국경제, 2022. 5. 31)
ESG가 '스태그플레이션' 주범? "비용충격 불러"...문재인 정부 일자리 정책도 원인 (아시아타임즈, 2022. 5.26)
“文정부 최저임금 인상, GDP 1%·고용 3.5% 감소” 40대 경제학자 논문…SSCI 국제 학술지에 실렸다 (조선비즈, 2022. 5. 22)
원화, 국제결제 비중 0.1%…"한국이 기축통화국 된다? 비현실적" (한국경제, 2022. 2.23)
한국은 기축통화국?…"달러 못 구하면 금융위기 직결"[김익환의 외환·금융 워치] (한국경제, 2022. 2 22)
'눈덩이 빚' 文 정부, 인플레이션 잡을 마음 있나? [김익환의 BOK워치] (한국경제, 2021. 11. 18)
고점 경고에도 뛰는 집값에 놀란 정부, 알맹이 없는 담화문만 재탕 (동아일보, 2021. 7. 28)
종부세·거래세 인상…결국 집값 밀어올려 (매일경제, 2021. 7. 28)
“‘文 정부 수요 억제’ 정책, 집값 띄우고 주택 공급 줄였다”… 40대 경제학자들, 학술지에서 일갈 (조선비즈, 2021. 7. 28)
코로나 만큼 어두운 韓미래…갈수록 바닥기는 노동생산성 (매일경제, 2020. 5. 4)
유혜미 한양대 교수 "추락하는 노동생산성 증가율…10년전과 비교하면 반토막" (매일경제, 2020. 5. 4)
'일 더하는 숙련노동자' '직장 내 질투의 힘'…비밀 밝혔다 (매일경제, 2020. 4. 26)
유혜미 한양대 교수 수상소감 "해외 데이터 8년간 분석해 근로시간 입증" (매일경제, 2020. 4. 26)
매경이코노미스트賞 유혜미·이기영 교수 (매일경제, 2020. 4. 26)
맞벌이 부부, 아내 소득 많을수록 육아시간도 증가 (경향신문, 2019.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