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hongminki00@gmail.com ; hminki@kli.re.kr
논문
소득세와 자산보유세가 자산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예산정책연구, 2025.
최저임금이 임금분포에 미친 영향, 산업노동연구, 2025.
한국 고용 구조의 변화(2000-2021년), 경제발전연구, 2023.
노동시장 수요독점력 측정, 경제발전연구, 2022.
정부지출의 고용 효과, 예산정책연구, 2022.
산업연관표 패널자료를 이용한 정부지출 승수 추정, 경제분석, 2021. [stata data] [ stata do file ]
양도차익(자본이득)의 추세와 불평등에 대한 영향, 경제발전연구, 2021
코로나19와 1차 재난지원금이 가구 소득과 지출에 미친 영향 (이승호 공저), 한국사회정책, 2021.
코로나19와 긴급재난지원금이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노동리뷰, 2020.
2018년 최저임금 인상의 효과 추정, 경제발전연구, 2019 [자료(excel)]
- 2018년 최저임금 인상의 고용 효과, 노동리뷰, 2018년 5월호
보정 지니계수, 경제발전연구, 2017 [ stata do file (stata ver.14)]
소득불평등 현황과 대책, 노동리뷰, 2017년 4월호
최상위 소득 집단의 직업 구성과 직업별 소득 분배율, 사회경제평론, 2016 [결과 표(excel)]
최상위 소득 비중의 장기 추세 (1958-2013) , 경제발전연구, 2015 [자료 및 결과] (2012년까지) [원자료 (1958-1985)]
노동리뷰 원고 :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최상위 임금 비중의 장기 추세 (1958-2013) , 산업노동연구, 2015 [자료 및 결과 (2022년까지 수치 갱신)]
육아휴직제도의 여성 고용 효과 (윤자영 공저), 노동정책연구, 2014
노동패널의 표본이탈과 불평등 지표 (최효미 공저), 조사연구, 2014
조사방법과 히핑(Heaping)과의 관계 (배기준, 이상호 공저), 조사연구, 2014
대규모 고용조정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경제평론, 2013
An Imputation for Statistical Inference with Coarse Data (with J., Kim), Canadian Journal of Statistics, 2012.
Semiparametric Estimation of Dynamic Discrete Choice Models with Unobserved Heterogeneity .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2012.
비정규 근로와 간접고용의 사용이 기업의 생산성과 이윤에 미치는 영향 , 경제발전연구, 2012.
Decomposition of Effects of Social Security on Private Savings . Journal of Pension Economics and Finance. 2012.
Impacts of Sports' Characteristics on the Labor Market , (with J., Whang, S., Yee, S., Lee), International Review for Sociology of Sports. 2012.
졸업정원제와 대졸-고졸 임금격차 (조가원 공저), 경제연구, 2011.
노동소득분배율의 경기변동성 , 사회경제평론, 2011.
정규-비정규 임금추정에 대한 논의 , 산업노동연구, 2010.
차입제약이 국민연금 가입에 미치는 영향 , 재정정책연구, 2010.
구조적 모형을 이용한 실업급여제도의 효과분석 , 응용경제, 2010.
노동조합과 연구개발투자 (이상민 공저), 산업관계연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