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순천대학교 수학교육과 부교수
연구분야 (Research Interests)
수학교육 공학 (Technology)
수학과 교육과정 (Curriculum)
융합(STEAM)교육 (STEAM Education)
영재교육 (Education of the Gifted)
주소 및 전자우편 (Address & E=mail)
57922,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55 사범대학1호관(E3) 수학교육과 410호
Room 410,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55 Jungang-ro, Suncheon-si, Jeollanam-do (Seokhyeon-dong) 57922, Republic of Korea
ngheo@scnu.ac.kr
학력 (Education)
2002.03. ~ 2006.02. 국립순천대학교 수학교육과 (이학사)
2008.03. ~ 2011.08.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육학석사)
석사학위논문: GSP를 활용한 문제해결에 관한 사례연구: 고등학교 3학년 일차변환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윤종국)
2012.03. ~ 2018.02.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육학박사)
박사학위논문: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중심 STEAM 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이재학)
경력 (Employment)
2023.03. ~ 국립순천대학교 수학교육과 부교수
2020.03. ~ 2023.02. 국립순천대학교 수학교육과 조교수
2018.03. ~ 2020.02.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겸임조교수
2017.03. ~ 2017.08.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시간강사
2016.03. ~ 2016.08.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시간강사
2011.03. ~ 2020.02. 대전송촌고등학교 수학교사
2006.03. ~ 2011.02. 동신고등학교 수학교사
대외활동
학회 임원
2020.08. ~ 2022.08. 대한수학교육학회 무임소이사
2021.01. ~ 2024.12. 한국수학교육학회 분과이사
2023.03. ~ 2025.02. 한국학교수학회 연구이사
2025.01. ~ 2026.12.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이사
2025.01. ~ 2026.12. 호남수학회 사업이사
2025.03. ~ 2027.02. 한국학교수학회 홍보이사
편집위원
2021.01. ~ 현재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편집위원
2021.01. ~ 2022.12.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A <수학교육> 편집위원
2025.01. ~ 현재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학연구> 편집위원
2025.01. ~ 현재 한국수학교육학회 <이론수학과 교직수학> 편집위원
기타
2013.03. ~ 2014.02. 한국교육방송공사 EDRB 콘텐츠연구회 연구위원
2021.12. ~ 2023.12. 한국과학창의재단 초등교과용도서 검정심의회 연구위원(초등 수학 교과용도서 5-6학년군)
2022.10. ~ 현재 전남교육정책 정책평가위원회 위원
논문 (Papers)
허남구(2025). 수학교과서의 공역 서술 방법에 따른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평가 문항 해석 차이: 조각마다 정의된 함수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8(2), 163-176.
허남구(2025). 예비수학교사의 수학화 능력의 신장을 위한 일반화된 피보나치 수열의 항등식 탐구. 이론수학과 교직수학, 32(2), 139-151.
Heo, N. G. (2025). F_n+2 F_n-2 -F_n ^2 = (-1)^n-1. Mathematics Magazine, 98(2), 145.
Heo, N. G. (2025). Proof WIthout Words: Lagrange's Cosine Identity. The College Mathematics Journal, 56(2), 153.
허남구(2025). 대학 인문사회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 345-354.
김규민, 문정후, 김민규, 이은유, 허남구(2024). 디오판토스 방정식 x^2+py^2=pz^2의 연구. 과학영재교육, 16(3), 366-373.
허남구(2024). 대응의 관점에서 음함수 또는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에 관한 교과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4), 585-597.
Heo, N. G.(2024). Visual Proof of Catalan's Identity for the Fibonacci Numbers. Mathematical Intelligencer, 46(3), 331.
허남구(2024). 원뿔왜상을 소재로 한 수학적 탐구 기반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 285-298.
허남구(202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본 수학> 교과서의 선분의 중점 지도에 관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0), 317-328.
허남구(2024).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도달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 495-506.
허남구(2024).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2' 교과서의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 319-335.
Heo, N. G. (2023). Another Proof of Euler's Inequality. Mathematics Magazine, 96(5), 516-520.
허남구(2023). van Schooten의 연동장치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수학교육 논문집, 37(3), 483-495.
허남구(2022). 2015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관점에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1), 701-7130
허남구(2022). 예비수학교사의 비대면 수학체험전 운영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 715-731.
허남구(2022).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1), 557-570.
허남구(2022). 중학교 수학영재 학생들의 말이 없는 증명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의 이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9), 295-310.
허남구(2022). 예비수학교사의 정보처리 역량 함양을 위한 블랜디드 수업의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6), 335-350.
허남구(2022). 수학 문제 해결 관점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활용에 관한 소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5), 707-718.
허남구(2021). 동적 기하 환경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연속 스펙트럼 활용에 대한 소고. 수학교육, 60(4), 543-554.
허남구(2021). 비대면 수학체험전 운영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1), 65-80.
허남구(2021).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6), 419-433.
허남구(2021). 동적 기하 환경에서 수학적 탐구 활동을 위한 'What-If-Not' 전략의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4), 353-367.
Heo, N. G. (2021). A New Proof of the Ionescu-Weizenboeck Inequality. Mathematics Magazine, 94(2), 135-136.
허남구(2020). 학생 주도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571-587.
허남구(2020). 인공지능 소재 R&E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중등 수학 교과 지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673-689.
허남구(2020). Paradox Puzzle을 활용한 초등영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401-417.
허남구(2019). 연속확률분포의 정의와 도입 방법에 대한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연구. 수학교육, 58(4), 531-543.
허남구(2019). 예비수학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개발 활동이 디지털교과서 효과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47-60.
허남구(2019). 말이 없는 증명(Proof Without Words)에 대한 연구 동향: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7), 867-882.
허남구(2019). 교사의 STEAM 교과 지식 차이에 따른 STEAM 수업의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33-53.
허남구(2019). 델파이 조사를 통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중심 STEAM 교육에서의 교사 역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 219-252.
허남구(2018). 동적 기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천문 현상의 수학적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949-968.
허남구, 강향임, 최은아(2017). 지수함수 그래프의 구성 맥락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27(3), 411-430.
허남구(2017).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례 연구: 기하와 함수를 중심으로. 학습자교과교육연구, 17(15), 99-120.
Heo, N. G. (2017). Proof Without words: Pythagorean Theorem via Ptolemy's Theorem. Mathematics Magazine, 90(3), 187.
허남구(2017). 택시기하에서 이차곡선의 정의 방법에 따른 그래프의 개형 탐구. 수학교육 논문집, 31(2), 103-121.
허남구(2017). 이차곡선의 작도 활동에서 나타난 유추적 사고. 수학교육학연구, 27(1), 51-67.
허남구(2016).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0), 364-372.
허남구(2016). 역함수와의 교점을 구하는 과제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 55(3), 335-355.
허남구(2016). GSP를 활용한 일차변환 지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921-938.
허남구, 류희찬(2015).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청람수학교육, 7(2), 79-100.
Heo, N. G. (2015). An Interesting Geometric Proof of Viviani's Theorem. Mathematics and Computer Education, 49(3), 166.
Heo, N. G. (2015). Proof Without Words: Machin's Formula. Mathematics and Computer Education. 49(2), 91.
Heo, N. G. (2015). A New Proof of the Pythagorean Theorem.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22(5), 451.
허남구, 류희찬(2015). 활동 중심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학연구, 25(2), 241-261.
Heo, N. G. (2015). Proof WIthout Words: The Pythagorean Theorem. The College Mathematics Journla, 46(1), 51.
허남구(2014). 기하학적 방법을 통한 이차곡선 접선의 작도에 관한 연구. 과학영재교육, 6(3), 125-133.
저역서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공통수학1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공통수학2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기본수학1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기본수학2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대수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확률과통계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미적분1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강윤수, 박희숙, 정수연, 허남구(2024). EXCEL과 함께하는 대학수학. 서울: 경문사.
강윤수, 김권욱, 김민주, 김방옥, 김이슬, 박희숙, 신향근, 이혁준, 임미란, 정권수, 정수연, 허남구(2021). 대학교양수학. 서울: 경문사.
고상숙, 권성룡, 김서영, 김재식, 도주원, 백석윤, 서보억, 옥보명, 이광상, 이서빈, 이성현, 이소명, 이화영, 주홍연, 한인기, 한혜숙, 허남구(2021). 학교수학과 작도교육. 서울: 경문사.
공역(2021). 미분적분학(제9판). 서울: 경문사.
김원경,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조민식, 방금성, 윤종국, 신재홍, 김기탁, 박희정, 심주석, 오혜정, 이동근, 정재훈, 허남구(2019). 확률과통계 교과서/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김원경,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조민식, 방금성, 윤종국, 신재홍, 김기탁, 박희정, 심주석, 오혜정, 이동근, 정재훈, 허남구(2019). 미적분 교과서/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김원경,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조민식, 방금성, 윤종국, 신재홍, 김기탁, 박희정, 심주석, 오혜정, 이동근, 정재훈, 허남구(2019). 기하 교과서/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류희찬, 여승현, 정원오, 조수윤, 차인숙, 허남구(2014). 수학적모델링 기반 스마트수학 UP - 1. 수학과 스마트러닝. 서울: EBS.
학술발표
The 2025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Honam Mathematical Society (2025.06.20.)
The Variability in the Existence of Inverse Functions across Different Textbooks
2025 춘계학술대회 (한국수학교육학회, 2025.02.15.)
교직수학과 수학교육의 연구 방향과 미래 비전 (with 한인기, 김화경, 노은환, 도종훈, 서보억, 서종진, 유익승, 이성현, 최근배)
2024 추계학술대회 (한국수학교육학회, 2024.11.02.)
정의역과 공역의 서술 방법에 따른 역함수의 존재에 관한 과제 해석
제9회 현장수업연구포럼 (교육과학연구소, 2024.01.04.)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대학수학: 기본수학의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2023 국제연합학술대회 (2023.12.08.)
연동장치를 이용한 타원의 작도
제28회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학술발표회 (2022.12.02.)
동적 기하 환경에서 연속 스펙트럼을 활용한 영재 수업 사례
2022 추계학술대회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12.02.)
What If Not 전략과 스펙트럼을 활용한 추측 생성 방안 연구
제8회 현장수업 연구 포럼 (교육과학연구소, 2022.12.02.)
온라인 소수 선택 과목 운영 사례 - 고등학교 기하 중심으로
제50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2022.11.19.)
이차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와 지수함수의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제49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2022.06.18.)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의 활용: Polya의 계획 단계와 반성 단계를 중심으로
2022 호남수학회 학술대회 (2022.06.17.)
동적 기하 환경에서 What if not 전략과 연속 스펙트럼을 활용한 기하적 지식의 확장
Joint Societies for Mathematics Education: KSME & KSESM (2021.12.10.)
동적 기하 환경에서 스펙트럼 활용에 대한 소고
제7회 현장수업연구포럼 (교육과학연구소, 2021.11.26.)
예비수학교사의 원격교육 역량 신장 방안
제48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2021.11.20.)
유리함수, 무리함수와 지수함수의 역함수 존재성 분석: 수학교과서의 서술을 기준으로
2018 춘계 학술대회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04.07.)
택시기하에서 이차곡선의 정의 방법에 따른 그래프의 형태
제51회 수학교육학 연구논문 발표대회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05.27.)
유추를 통한 이차곡선의 작도
2016 국제수학교육학술대회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10.15.)
역함수와의 교점을 구하는 과제에 대한 교과서 분석
제49회 수학교육학 연구논문 발표대회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05.21.)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난수 생성 아이디어에 관한 교사들의 이해
활동 중심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 - 이차곡선을 중심으로
The 3rd KNUE Technology Conference for Mahematics Education (2015.08.05. - 07.)
New Cabri for Korean Teachers
Some action-based mathematical materials developed with CabriLM (with Lew, H.-C.)
APEC Khon Kaen Lesson Study Meeting (2014.09.15.)
Forest Fire in High School Mathematics (with Lew, H.-C.)
The 2nd Meeting of Asian Technology Coference in Mathematics Korea Chapter (2014.08.06. - 09.)
A Study on Conputational Thinking of Teachers in Probabilty Problem Solving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with Kang, H.)
Development of 12th Grade Digital Textbook for the Quadratic Curves. (with Lew, H.-C.)
A Study on Construction of Tangent Line on Quadratic Curves.
과제
(2023.05. ~ 2023.12.) 2023년 STEM+I 생각교실 운영 (과제책임자: 김정빈). 한국과학창의재단.
(2023.04. ~ 2024.02.) 타원 작도에 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2' 교과서의 비교 분석. 국립순천대학교.
(2022.06. ~ 2022.12.) 2022 개정 과학 수학 정보 환경 교육과정(최종안) 개발 정책연구 (과제책임자: 조향숙). 한국과학창의재단.
(2021.05. ~ 2021.12.) 2021년 교원양성기관 미래교육센터 설치 사업 (과제책임자: 강대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03. ~ 2021.02.) 동적 기하 환경에서 수학적 탐구 활동을 위한 What If Not 전략의 활용. 국립순천대학교.
교수 (Teaching)
학부과정 (Undergraduate Courses)
한국교원대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echnology: 수학과정보화사회 (Mathematics and World of Information; 2016.1 , 2017.1)
국립순천대학교 (Sunchon National University)
Liberal Arts: 대학교양수학 (College Mathematics for Liberal Arts; 2020.1 ~ 2025.1), 기본수학 (Basic Mathematics; 2023.1 ~ 2025.1)
Calculus: 대학수학 (College Mathematics; 2021.2, 2022.1), 대학수학Ⅰ (College MathematicsⅠ; 2020.1, 2021.1), 대학수학Ⅱ (College MathematicsⅡ; 2020.2), 미적분학연습 (Exercise of Calculus; 2020.2)
Set Theory: 논리와집합론 (Logic and Set Theory; 2024. 1)
Linear Algebra: 선형대수Ⅰ(Linear AlgebraⅠ; 2022.2 ~ 2025.2), 선형대수Ⅱ (Linear Algebra Ⅱ; 2023.1 ~ 2025.1)
Abstract Algebra: 현대대수학Ⅰ(Modern AlgebraⅠ; 2025.2)
Real Analysis: 해석학Ⅰ (AnalysisⅠ; 2021.1 ~ 2023.1), 해석학Ⅱ (AnalysisⅡ; 2020.2 ~ 2022.2), 무한세계의탐색 (Study of the infinite world; 2020.2 ~ 2022.2)
Finite Mathematics: 조합및그래프이론 (Combinatorics and Graph Theory; 2023. 2)
Probability: 확률교재론 (Teaching Meterials for Probability; 2025. 2)
Curriculum & Evaluation: 수학교육과정및평가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2020.2~2025.2)
Technology: 공학적도구를활용한수학 (Mathematics using engineering tools; 2020.1 ~ 2025.1)
Mathematics for AI: 인공지능기초수학 (Basic Mathemat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2024. 2 ~ 2025.2)
대학원과정 (Graduate Courses)
한국교원대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echnology: 수학교육공학 (Mathematics Educational Technology; 2018. 1, 2018. 2), 수학교육공학Ⅱ (Mathematics Educational TechnologyⅡ; 2019. 1)
Problem Solving : 수학문제해결론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2019.1)
국립순천대학교 (Sunchon National University)
해석학Ⅰ (Analysis Ⅰ; 2022.1.)
응용수학특강 (Topics in Applied Mathematics; 2024.1.)
수학교육공학 (Mathematics Educational Technology; 2020.2)
수학교수법특강 (Advanced Topics in Mathematical Teaching Method; 2020.1)
수학논리및논술 (Mathematics Logic & Essay; 2020.1)
수학평가방법론 (Methodology and Evaluation of Mathematics; 2020.2)
수학교육론 (Didactics of Mathematics; 2021.1.)
수학교육연구동향 (Current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2021.1.)
수학교재및지도법연구 (Mathematics Material & a Method of study; 2022.2.)
수학학습심리학 (Learning psychology of Mathematics; 2022.1.)
컴퓨터응용수학교육 (Applied Mathematics Education with computer; 2025.2.)
수상
2022.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신진연구자상
2018.02. 한국교원대학교 우수학위논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