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학 균형발전을 위한 辯
국토면적의 12%에 불과한 수도권에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이 모여 산다는 자체만 해도 충분히 기형적이다. 그런데 이보다 훨씬 더 심각한 것은 대기업 본사의 74%가 수도권에 밀집되어 있고, 연구개발을 통한 지역산업의 혁신을 선도해야 할 지방의 대학원생은 전체의 22%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업과 연구인력의 쏠림 현상은 상상 이상으로 인구의 밀집보다 훨씬 더 심각하고, 이것이 다시 인구의 밀집을 부채질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대한민국 수험생들의 수도권 진학 열풍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향후 지속적으로 학령인구가 감소되면 결국 지방에는 청년이 사라지고 우수 인재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의 기업은 생존을 위해 지방을 떠나거나 도태되어 사라지게 된다. 이런 현상은 4차산업혁명과 더불어 더욱 가속된다. 인공지능을 탑재한 기계의 등장으로 새로운 것을 개발하는 창의적인 일자리는 늘어나고 단순 반복되는 일자리는 점점 사라지는 노동시장의 변화는 가속될 것이다. 이에 우수 인재 유출이 심각한 지방의 미래는 마냥 밝지만은 않다.
한쪽은 지나친 경쟁에 신음하고 한쪽은 역량을 발휘할 기회조차 없는 극단적으로 비효율적인 사회적 편식구조를 이대로 방치하고서, 가장 효율적인 구조 속에 발현될 수 있는 강력한 국가경쟁력을 기대한다는 것 자체가 어리석은 일이다. 그럼에도 학령인구 감소와 4차산업혁명을 이야기하면서도 이것이 콩나물 교실을 해소하여 4차산업혁명을 대비한 토론다운 토론, 실험다운 실험 수업을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임을 말하는 이는 드물고, 벚꽃 피는 순서대로 지방대학이 문을 닫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이에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대안의 하나로 지방대학 균형발전과 대학교육 정상화를 제안한다. 물론 부실/비리사학을 모두 살리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 지방대학 현실 관련기사
○ 중앙일보 https://mnews.joins.com/article/23424558#home
○ 오마이뉴스 https://news.v.daum.net/v/20190524171500715?f=m
부산대학교 교수회 지방대학균형발전위원회에서 지방대학 균형발전을 위한 100만 전자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협조 부탁드립니다. (이 운동은 지방대학 통폐합과는 무관합니다.)
● 배경설명 유튜브 동영상:
● 인스타그램 이미지
https://www.instagram.com/p/BzCSaSDAbTk/?hl=ko
● 서명하기 (3문항 10초 소요):
https://survey.pusan.ac.kr/survey.jsp?p=913&r=02
● 결과보기:
● 지방대학 균형발전 관련기사:
한겨례 http://m.hani.co.kr/arti/society/area/892848.html#cb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513094600051
부산대학교 교수회장 김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