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은 대학재정지원의 불균형이 생기는 이유는 학생 수를 기준으로 비교적 균등하게 배분되는 교육비 예산은 늘리지 않고 (OECD 38개국 중 최하위 32위, 대학신문 2022) 무한경쟁방식의 연구비만 늘려 (GDP 대비 연구개발비 세계 2위, 사이언스타임즈 2022) 배분한 결과입니다. 우수기업과 우수학생의 수도권 쏠림에서 비롯되는 기본역량의 차이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 무한경쟁 방식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점점 더 크게 만듭니다.
무한경쟁 일변도의 연구비 배분은 교수 개개인이 연구비를 수주해 오지 않으면 정상적인 학부 교육은 물론 대학원생 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연구조차 할 수 없는 승자독식의 기형적 구조를 만들어, 아무런 잘못도 없는 학생이 영문도 모른 채 최종 피해자가 됩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경쟁은 필요하지만, 최소한의 교육과 연구 환경 구축을 위한 재정은 무엇보다 우선해서 확보되어야 합니다.
대학 연구비의 대부분은 연구 과정을 통한 대학원생 교육과 연구 성과의 공개를 통한 인류사회에 대한 기여를 목적으로 지원됩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에게는 인류사회에 대한 공헌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우리나라 교육의 정상화와 지방대학의 위기 극복이 더 큰 문제입니다.
■ 지금 이 시기에 필요한 교육혁신은 무엇인가?
교육혁신에는 많은 내용이 있겠지만, 오늘은 제가 알고 있는 내용에 국한해서 논하겠습니다. 우리나라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OECD 국가 중 하위수준입니다. 이 비율을 개선하는 방법은 교수 수를 늘리거나 학생 수를 줄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자연스레 학생 수가 줄어드니, 이 시기가 대학교육 정상화를 위한 절호의 기회가 됩니다.
지금까지 시작도 할 수 없었던 소규모의 양방향 소통을 통한 키움(창의)교육은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적정 수준이 되어야 비로소 가능해집니다. 가르침(敎)과 키움(育)이 조화로운 교육(敎育)을 통해 더 우수한 창의적 인재 양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해외 명문대학에서 1,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면 강의와 함께 교수와 학부 학생이 1:1로 함께 고민하는 교육을 병행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일 것입니다.
물론 부패사학은 청산되어야 하지만, 지방의 30개 대학만 육성하고 줄어드는 학생 수만큼 나머지 지방대학의 폐교를 기다리며, 현재의 열악한 교수 대 학생 비율을 그대로 유지해 가는 것은 올바른 정책 방향이 아닙니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은 누구라도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곳에서 자부심을 가지고 배울 수 있는 그 지방 소재의 대학이 있어야 함은 당연히 보장되어야 할 권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