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에서 구 차원의 자원 순환 배출 활동에 참여하던 주민들로부터 우유팩 수거의 정책의불편함에 대해 듣게 됨
•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우유팩 교환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주1회 평일 오후3시간만 운영되어행정구역 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수거에 동참하고자 해도 시간적, 공간적 접근성이 낮음.
• 종이팩 분리배출에 대한 홍보 부족으로 주민들의 인식이 낮아 종이류로 함께 배출이 됨.
• 마을 내에 설치된 종이팩 수거함이 있긴하나, 수거 시스템이 없어 방치되고 있음
• 국내현황을 살펴보면 우유팩과 멸균팩 수거 시스템이 편의성이 없어 대부분 종이와 함께배출되며 국내 재활용율 2021년 기준 14%로 점점 낮아지고 있음.
• 종이팩 재활용 수거율을 높여 고품질 종이 재활용으로 미용티슈 등으로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쓰레기 감소와 함께 숲보전 효과까지 환경에 이바지할 수 있음
• 종이팩 재활용을 통해 마을단위에서 재활용과 자원순환 체계시스템 모델 실험과 대안 마련
• 계양3동 마을 내에 종이팩 수거 거점과 담당 주민 마을 활동가를 통한 수거율 높이기
• 종이팩 수거 주민참여자 확산 및 네트워크 강화
• 지역의 카페와 학교(어린이집)의 참여를 통한 환경인식 고취
• 수거활동 인력을 모집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통해 향후 지속발전가능한 모델로 자리매김
• 마을연구원 모집 : 자원순환에 관심있는 주민들 홍보와 모집
• 자료조사 : 종이팩 수거와 재활용과 관련한 자료와 사례조사
• 이해관계자 워크숍 : 동행정복지센터, 자원순환 관리사, 카페 점주, 구청 청소관리과 등 종이팩
재활용과 관련한 이해관계 워크숍을 통한 상황공유와 해결방안 마련
• 종이팩수거 실험 : 각 거점별 종이팩 수거함 설치와 수거 모델 시범사업 진행
• 중간 회고 워크숍 : 실험을 통한 중간평가를 통한 수정보완책 마련
• 종이팩 수거 공유회 : 이해관계자 수거실험에 대한 회고와 지속가능성 확보방안 마련
• 행정복지센터 이외에 종이팩 수거 거점 5곳 확대와 지속가능한 3곳 이상 유지
• 계양 3동 우유팩 수거량에 20%이상 증가
• 종이팩수거에 참여하는 기관(카페, 유치원, 학교) 5곳 확보
• 종이팩 수거단에 직간접으로 참여하는 마을연구원 20명 (직접 10명 + 간접 10명)
• 종이팩 수거에 참여하기 전단계 참여자의 인식과 리빙랩 사업 진행 이후의 인식변화 조사
종이팩이 자원으로써 높은가치를 지닌다는 인식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지표화
• 종이팩 수거거점 5곳 확대와 지속가능한 3곳 이상 유지
- 아이파크 아파트 2곳, 귤현경로당 1곳, 동양도서관 1곳,포엘거점 1곳으로 총 5개 장의 수거거점으로 확보되었으며 2025년에도 지속적으로 진행될 예정임.
- 포엘 거점은 동행정복지센터처럼 종이팩유가보상 진행하여 귤현동 주민들의 참여가 높음 .
• 종이팩 수거에 참여하는 기관(카페, 유치원, 학교) 5곳 확보
- 이디야카페, 어퍼스트로피카페, 프로브카페, 컴포즈카페, 꿈나무어린이집,귤현초등학교에서 종이팩 수거 참여기관으로 진행됨.
- 카페 4곳, 어린이집 1곳, 초등학교 1곳의 참여로 진행됨.
- 귤현초등학교는 수거함과 홍보활동 지원으로 아이들의 자발적인 활동과 연계해서 효과가 큼.
- 매월 1회 종이팩구하는 아침등굣길 캠페이을 통해 학생, 학부모회, 마을 주민 들의 호응을 만들어냄.
• 종이팩 수거단에 참여하는 마을연구원 20명(직접 10명 + 간접 10명)
- 종이팩 개인 실천단에 럭키밀키실천단 밴드에 21명이 참여하여 종이팩 수거 인증에 참여 함.
- 종이팩 수거 기획단에 총 10명이 참여하여 종이팩거점 운영, 수거와 홍보교육 캠페인 진행함.
- 귤현초등학교 학생 5인, 수거 참여 기관에 5인 등 10인이상이 참여함.
• 종이팩 수거활동에 대한 주민인식변화 조사
- 조사기간: 2024. 11. 11 ~ 11. 17(7일) / 조사대상: 계양3동 주민 중 20세 이상 성인 70명 / 조상방식: 오프라인, 온라인
- 조사목적: 종이팩 배출 현황 파악 통한 종이팩 재활용 활성화 방안 도출
- 조사결과 : 근거리에 종이팩 수거함을 설치하고 종이팩 유가보상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편의성을 높이면 종이팩 재활용참여에 대한 의자가 높음.
• 계양3동 종이팩 수거량에 20%이상 증가
- 종이팩 리빙랩 활동을 통해 7월 부터 11월까지 약 5개월간 1,000리터 우유팩 기준 5,500장을 수거
- 계양 3동 7월 부터 11월까지 전체수거량은 1,000리터 기준으로 약 26,000장이며 5,500장은 전체 수거량의 약 20%에 해당하는 양으로 증가에 기여함.
- 멸균팩은 계양3동 행정복지센터에 수거하지 않아 별도 수거하여 수거하는 기관에 택배를 통해 보냄.
• 탄소중립마을 너머 사회적협동조합은 인천 계양구에 위치했으며 마을에서 주민들이 주도하는 전환마을을 만드는 주민단체입니다. 시민참여햇빛발전소를 만들어 지역에너지 전환을 실현하고 마을 단위의 자원순환과 생태전환을 꿈꾸는 곳입니다. 인천시교육청의 찾아가는 생태전환교실의 일환으로 "에너지놀이교실-솔라시"를 진행하고 있으며 마을에서 공동체텃밭 "우리동네 텃밭놀이터 고랑"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소규모 제로웨이스트샵을 운영하면 마을단위 숲체험 교실 "우리동네 초록이"를 운영중입니다. 마을에서 주민들이 함께 즐겁게 탄소중립을 실현해 나가는 많은 활동을 합니다.
• 홈페이지 : http://netzer0.town / 이메일 : netzerotown2050@gmail.com / 주소 : 인천시 계양구 양지로 151 2층 너머홀
• 종이팩리빙랩 활동에 대한 문의 : 은하수(010-6363-1997)
• 1993년 인천배달환경이라는 이름으로 창립해 활동하다가 1996년 7월 인천녹색연합으로 재창립하여 지금까지 1,800여명의 회원과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인천 자연생태 곳곳의 가치를 기록하고 알리며 야생동물과 그들의 서식지를 지키기 위한 활동을 합니다. 환경오염현장을 감시하며 환경권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미세먼지와 쓰레기 없는 지구, 자연과 사람이 조화로운 사회를 그려 가기 위한 활동을 만들어 갑니다.뿐만 아니라 농촌체험과 환경캠프, 회원참여프로그램 등 미래세대를 위한 다양한 생태교육을 통해 시민들의 생태적 감수성을 높이는 활동, 그리고 자연을 살리는 먹을거리와 녹색생활 캠페인을 통해 생활속의 환경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 홈페이지 :https://greenincheon.org / 이메일 :greenic@greenincheon.org / 주소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새로65번길 13 602호
• 종이팩리빙랩 활동에 대한 문의 : 또랑(010-9486-9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