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이 작성한 자료를 그대로 입력하거나 단순 나열식 기재 지양
→ 학교교육계획에 따라 실시한 교육활동 중 교사 지도하에 학생이 직접 작성한 자료를 활용하여, 교사가 직접 관찰‧평가한 내용 기재
→ 소감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거나 수행평가 결과물의 내용을 그대로 기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토대로 교사가 관찰‧평가한 내용으로 기재
서술형 항목 기재(p.29)
교사 관찰 서술어 예시
학생 입장에서만 기록한 문장은 셀프생기부로 오해받을 수 있습니다!
-다짐함. -생각함. -깨닫게 됨, -알게 됨, -관심을 갖게 됨 등으로만 서술하는 경우
[수정]: 교사가 직접 관찰한 모습을 서술.
주제를 발표함. 높은 성취도를 보임.
수업을 진행함. 이해력을 보임. 관심을 보임.
작성함. 설명함. 활동함. 표현함.소개함.
웃음을 선사함. 리더십을 발휘함.
진지한 성찰이 돋보임.
태도를 견지함. 의지를 표명함.
본보기가 됨. 역할을 함.
분석한 내용이 돋보임.
감상문을 작성함.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줌.
영리함을 보여줌.
적극성까지 보여줌.
박수를 받음. 타인의 귀감이 됨.
*~할 수 있음.(학습의 목표, 기대되는 능력)=> ~함.으로 서술 권장.
교과학습 발달상황(p.104, 121, 123, 124, 128)
▸동일 문장 반복 기록 및 수업 시간에 관찰 불가한 내용 기재 오류 다수
→ 학생들의 교과 특성은 교사가 교과학습 평가 및 수업과정에서 수시ㆍ상시로 기록한 내용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함.
→ 교과별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의 특성 및 학습활동 참여도, 자기주도적 학습에 의한 변화와 성장 정도를 중심으로 기재함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미기재 오류
→ 과세특은 모든 교과(군)의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입력함
→ 교과수업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의 경우 그 사유 입력
▸개인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오류
→ 개세특에는 기재요령 p.124에 제시된 8가지 항목만 입력 가능
(ex. 학교자율과정이 아닌 과목 간 융합수업은 개세특 기재 불가)
→ 수업량 유연화에 따른 학교 자율적 교육활동 내용을 영역별 글자수 제한을 이유로 과세특과 개세특에 나누어 입력하지 않음
▸전문교과Ⅱ의 기초과목, 실무과목은 과목별로 입력
→ 특기할 만한 사항이 있는 능력단위를 포함하여 입력 가능
(※ 능력단위별 500자가 아니라 과목별 500자 입력 가능)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란 입력 불가 항목 기재 오류
→ 기재요령 p.128에 제시된 입력 불가 항목 기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