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의 안전한 수행을 위한 분석 기술과 런타임 환경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바이너리코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 악성코드, 펌웨어, 상위언어 코드, 각종 바이트 코드 등 다양한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방법을 고안하고 도구를 만들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일을 합니다. 이를 위해 컴파일러의 코드 생성, 최적화를 위한 분석방법, 유사도 분석 기법, 프로그램 합성 기법, 머신러닝 기법 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 구현에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PLASLAB 이름에 맞게) 주제에 따라 Java, Python, C/C++, Solidity, Go-lang, Ocaml, Rust 등 다양합니다.
2006년 설립되어 올해까지 19년차입니다.
박사과정 4명, 석사과정 4명, 대학원생은 총 8명입니다. 이 중 파트타임 학생은 3명 (국가보안기술연구소 , 요기요, 카카오)입니다.
개인 차가 매우 큽니다. 석사는 2(+)년, 박사는 3년~6년정도입니다. 석사는 저널, 해외학술발표를 각각 1건씩 정도 가지고 졸업하는 것 같습니다. 박사는 경쟁력이 생기면 졸업합니다.
출퇴근 시간은 대략 10시 ~17시이며, 주로 결과 위주로 얘기하게 되어 그 외의 시간은 비교적 자유로운 편입니다. 단, 세미나나 미팅 등의 약속이 있으면 거기에 맞추어야합니다.
학생은 연구실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 내에서 연구주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연구를 시작하면 일주일에 약 한 번은 지도교수와 1:1 미팅을 하게되는데, 프로젝트 마감이 다가오거나 논문 마감이 있으면 좀 더 자주 지도를 받습니다. 실무적인 부분은 연구실 선배들의 도움이 있고 비슷한 주제를 가지는 동료들과 의견 공유가 활발합니다.
그 밖에도 프로젝트를 하는 연구소의 박사님들이나 다른 학교 교수님의 공동 지도를 받는 경우 좀 있고, 성격상 다른 연구팀과 연구 결과를 토의해아하는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그 동안 연구를 목적으로 공동작업 및 토의했던 기관 :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중국 텐진공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주대, KAIST, 가천대, 우리과보안랩, 한양대, 슈어소프트테크, 블랙펄시큐리티...)
다른 일정과 겹치지 않는다면 일주일에 1~2번 정도 진행됩니다. 논문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진행보고를 하고, 관련 논문을 돌아가면서 발표합니다. 그 외에도 학부 수업 조교 미팅 등 추가 회의가 있습니다.
한달에 1~2번은 교수님과 다 함께 회식을 하고, 학생들끼리 비정기적으로 회식을 하거나 놀기도 합니다. 세미나나 회의를 점심시간에 하면서 도시락을 먹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MT 는 별도로 가지 않지만, 랩 인원 대부분이 함께 가는 학술대회 참가로 대신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평창, 제주도...)
회사과제 보다는 정부, 연구소 과제를 더 많이 하고 있지만, 이론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구현물이 나오는 과제 위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학위기간동안 프로그래밍 실력을 유지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랩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점이 너무 낮다면 그만큼 다른 실력으로 보강하면 됩니다. 프로그래밍언어개론, 컴파일러개론을 수강하고 들어오면 좋습니다. 코딩을 너무 싫어한다거나 새로운 것을 도전해보는 것을 싫어한다면 적응이 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영어는 잘 하면 논문 읽을 때나 해외논문 작성, 발표에서 시간이 상대적으로 덜든다는 장점은 있지만, 그렇다고 아주 잘할 필요는 없습니다. 영어보다 국어(글쓰기, 말하기)를 잘하는 것이 훨씬 더 강조됩니다.
다른 연구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프로젝트와 자신의 연구 논문 발표, 기타 랩 생활을 통해서 전문인으로 성장해서 나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실 학생들간 분위기가 따뜻하고, 연구실에 원두커피와 간식이 늘 있다는 것, 1년에 1번 정도는 해외 학회에 참석하게 된다는 것도 장점일 수 있습니다. 괜찮은 월 급여를 받고 있는 상황도 장점일 것 같습니다.
석사 졸업후에는 IT 전문 직종에 취업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연구소, 공기업, 박사 진학 등도 하고 있습니다. 박사를 마치는 경우 교수, 연구원, 기업 취업 등의 진로가 있습니다.
eschough_at_cnu.ac.kr (지도교수), youjeong.noh14_at_gmail.com (랩장), 또는 아무 랩 구성원에게나 문의하시면 더욱 친절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