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키워드는 메타버스와 ESG입니다.
메타버스는 현실과 연동되는 가상세계를 지칭합니다. 1992년 등장한 개념이지만 기술의 부재로 오랫동안 공상 과학의 영역에 남아 있었죠. 그러나 4차 산업혁명으로 메타버스 세계를 구현할 네트워크와 그래픽, 인공지능(AI) 등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차 산업으로서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신종 코로나 팬데믹으로 비대면 사회가 일상화하면서 관심과 기술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시장 규모 전망치는 초기 단계란 점에서 천차만별이지만 지난해 4787억달러(약 564조원)에서 2024년 7833억달러(약 923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여기에 각 기업은 ESG 경영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단어로 기업 활동에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 경영을 고려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두 개념은 전혀 다른 듯 하지만 밀접하게 연관돼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사회 전반으로 확장하면서 회의, 발표, 출장 등 탄소 발생을 유발하는 오프라인 활동을 가상세계에서 비대면 활동으로 대체하고 탄소배출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에서 펼쳐지는 각종 캠페인은 환경(E)과 사회(S) 영역에서 뚜렷한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 대표 기술 중 하나인 가상현실(VR)은 치매 예방과 인지강화에 활용하거나 VR 디바이스를 활용한 장애인 케어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으로 활용됩니다.
이에 조선미디어그룹의 ICT 전문매체 IT조선은 창간 13주년을 맞아 메타버스 ESG 콘퍼런스를 진행합니다. 4월 20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디지털트윈 시대의 환경·책임·지배구조를 주제로 메타버스와 ESG를 대표하는 각 전문가가 참여합니다.
행사명 : 2022 메타버스 ESG 콘퍼런스
주 제 : 디지털트윈 시대의 환경·책임·지배구조
일 시 : 2022년 4월 20일(수) 오전 9시 30분 ~ 오후 5시
장 소 :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 1층 그랜드볼룸
IT조선 유튜브 '테크잼 연구소'
주 최 : IT조선
후 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서강대학교
미디어후원 : 조선일보, TV조선, 조선비즈
문의처 : 사무국 eventit@chosunbiz.com
*발표자 동의를 얻은 발표 자료는 행사 종료 1주일 이내에 사전예약자에 한해 이메일로 전달 예정됩니다.
*상기 계획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